KR200223501Y1 - 수정액 도포구 - Google Patents

수정액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501Y1
KR200223501Y1 KR2020000034052U KR20000034052U KR200223501Y1 KR 200223501 Y1 KR200223501 Y1 KR 200223501Y1 KR 2020000034052 U KR2020000034052 U KR 2020000034052U KR 20000034052 U KR20000034052 U KR 20000034052U KR 200223501 Y1 KR200223501 Y1 KR 200223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liquid
lid
hole
container body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호
Original Assignee
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호 filed Critical 유광호
Priority to KR2020000034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501Y1/ko

Link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부위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포용 붓과 촉을 갖는 수정액 도포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수정액을, 그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뚜껑의 양측으로 각각 구비된 도포용 붓과 촉에 의해서 사용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도포할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정액 도포구{Correction Liquid Coating Tool}
본 고안은 수정액 도포구에 관한 것으로,특히 사용 부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붓과 촉(鏃)을 갖게 한 수정액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잘못 표시한 여러가지의 문자나 그림 등을 수정하고자 함에는 그 수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수정액을 도포하여 수정함은 주지된 사실이며, 종래의 수정액 도포구에 대한 일예를 도 1에 표시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페인트 도포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 부호(10)은 수정액 도포구를 표시 한 것으로, 종래의 수정액 도포구(10)은 수정액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용기본체(12)는 내부가 빈 대략 원통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상단 개구(14)부근에는 체결부(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 (16)에는 뚜껑(18)이 결합되는데, 상기 뚜껑(18)은 필요에 따라서 체결부(16)에 체결하거나 분리 할수가 있다. 상기 뚜껑(18)의 내주벽 면에는 상기 체결부(16)에 대응하는 나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18)의 아래쪽으로는 길게 돌출부 (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0)의 하단에는 모발(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평소에는 상기 돌출부(20)를 용기 본체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뚜껑(18)을 체결부(16)에 결합해두고, 필요시에는 뚜껑(18)을 열어 한 손으로는 용기 본체(12)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뚜껑(18)을 잡은 채로 모발(22)에 묻어 있는 수정액을 수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칠하면서 수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정액 도포구(10)를 이용하여 문자를 수정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뚜껑(18)을 상기 용기 본체(12)로부터 개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수정액이 쏟아질 염려가 많은 문제가 있고, 뿐만 아니라 사용할때 마다 상기 뚜껑(18)의 개방은 상기 용기 본체(12)내부에 수용된 수정액에 함유된 시너(Thinner)등의 휘발성 용제를 쉽게 증발되게 하여 수정액 자체의 소모를 빨라지게 하는 단점도 있다.
한편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뚜껑(18)에 설치된 니들(Needle)형상의 촉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본체(12)로부터 상기 뚜껑 (18)을 개방하지 않더라도 촉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정액을 활용하여 문자 등을 수정하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는 작은 글씨나 몇개의 제한된 문자를 수정함에는 편리성이 있으나, 넓은 범위의 문자나 그림 등을 수정 함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정 부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붓이나 촉을 구비하여,문자나 그림 등의 수정에 대한 기능성 향상과 아울러 사용에 편리성을 갖게 한 수정액 도포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자나 그림 등의 수정을 위한 수정액을 갖는 수정액 도포구에 있어서, 수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착탈되게 결합되고, 뾰족하게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연통되게 한 수정액 유출공이 형성된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수정액속으로 개구를 통하여 삽탈할수 있게 한 연장봉과 단부에 설치된 모발로 이루어진 붓 을 포함하는 수정액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유출공의 내부에는 그 유출공과 연락되게 한 구멍을 갖는 중공체,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그 끝단이 외부로 돌출 되고 그 이동정도에 따라 상기 구멍의 일측을 개폐하는 침, 상기 침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된 촉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출공의 내부에는 그 유출공과 연락되게 한 구멍이 형성된 중공체, 상기 중공체의 구멍에서 일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로서 회전 되게 결합된 볼로 이루어진 촉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봉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게 원통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유출공과 연락되는 구멍을 갖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패킹을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뚜껑에는 그 뚜껑에 대하여 착탈되게 결합되며 외부에는 클립이 형성된 덮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수정액 도포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방향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뚜껑과 붓 및 촉의 결합상태 만을 분리하여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뚜껑과 붓과 촉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정액 도포구 110 : 용기본체
111 : 원형홈 112 : 개구
114 : 체결부 115, 122 : 나선
118 : 누름부 119 : 패킹
119a : 걸림턱 120 : 뚜껑
123 : 내면 돌출부 123a, 131, 145, 145a : 구멍
124 : 돌출부 126 : 유출공
130 : 촉 132 : 중공체
134 : 침 134a : 볼
136 : 스프링 140 : 붓
142 : 연장봉 144 : 모발
146 : 고정부 150 : 덮개
152 : 클립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수정액 도포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수정액 도포구의 단면도, 도 5는 도 4 뚜껑과 붓 및 촉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100)은 용기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본체(110)은 수정하고자하는 수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에는 좁은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 (110)는 신축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뚜껑(120)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을 그 아래쪽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의 원형단면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나선(115)을 형성한 뚜껑 체결부(114)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용기본체(110)은 도시된 바와같이 그 단면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장축방향의 일측에 누름부(118)를 설치하여두는 것이 좋다. 즉, 누름부(118)를 누르면 용기본체(110)의 내부용적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내부용적이 줄어들면서 내부압력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촉(130)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내부 압력이 높아져 용기본체(110)를 세게 누르지 않더라도 페인트가 원활하게 유출되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10)의 개구(112)에는 패킹(1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킹(119)은 상단에 걸림턱(119a)이 형성된 대략 중공의 원통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수정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수정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의 결합부위를 정밀하게 형성하는 경우 이 패킹(119)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단에는 작업시 덮개(150)를 꽂아둘 수 있는 원형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110)의 위쪽으로 뚜껑(1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뚜껑(120)은 개구(112)의 부근 뚜껑 체결부(114)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내주면에는 역시 나선(122)을 형성하여두는 것이 좋고, 일측으로는 뾰족하게 돌출된 돌출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24) 내부에는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 (112)와 연통되는 수정액 유출공(126)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20)에는 붓(14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붓(140)의 결합상태는 도 5를 보면 상세히 알 수 있다. 상기 붓(140)은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봉(142)과,상기 연장봉(142)의 하단에 설치된 모발(1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장봉(142)의 상단에는 적어도 일측에 구멍(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뚜껑(120)의 내주면에 압입고정되는 고정부(1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붓(140)은 여타의 다른 형태로 뚜껑(120)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지 상기 붓(140)이 뚜껑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10)에 저장되어 있는 페인트가 유출공(126)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구조를 취하면 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100)은 유출공(126)에 결합되는 촉(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촉(130)은 용기본체(110)에 수용되어 있는 페인트가 필요한 경우에만 유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상기 유출공(126)의 끝단 직경을 작게 형성하고 또 상기 덮개(150)를 닫으면 유출공(126)이 막히도록 구성하는 경우 이 촉(130)은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바람직하지는 않다. 상기 촉(130)은 수정액의 유출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로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132)와 중공체(132)의 내부에 결합되어 그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그 이동정도에 따라 구멍(131)의 일측을 개폐하는 침(134)과 침(134)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수정액 도포구(100)에는 덮개(1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덮개(150)는 뚜껑(120)의 바깥쪽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촉(130)을 보호하고 또 유출된 페인트 등이 불필요한 부분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덮개(150)의 일측 외주면에는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1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100)를 이용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수정부위를 수정액으로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 뚜껑(120)을 개방후 붓(140)을 이용하면 쉽게 빨리 수정을 할 수가 있다.
반대로 수정 부위가 작거나 좁은 경우에는 촉(130)을 이용하면 인접된 문자나 그림에 피해를 주지않으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수정액을 도포할 수 있다. 즉, 수정부위가 작은 곳을 수정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용기본체(110)를 잡고 수정액을 도포하고자 하는 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촉(130)의 끝단을 누르면 침(134)은 안쪽으로 밀려들어간다. 이에 따라 침(134)의 일측에 의해 막혀 있던 구멍(131)은 열리게 되고, 용기본체(110) 내부에 있던 수정액은 수정부위에 미세하게 도포할 수 있게된다. 수정액 도포작업이 끝난후 수정액 도포구(100)을 수정부위의 표면에서 이탈시키면 스프링(136)이 침(134)을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침(134)의 일측이 구멍(131)의 일측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고 수정액은 더 이상 유출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뚜껑과 붓과 촉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0)에는 붓(140)이 결합되어 있다. 이 붓(140)은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봉(142)과 연장봉(142)의 하단에 설치된 모발(1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장봉(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일측에는 용기본체(110)를 거꾸로 세울 경우 수정액이 쉽게 유출공(126)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멍(145a)을 형성해두는 것이 좋다. 이 뚜껑(120)의 내부 돌출부(123)의 측면에도 대응되는 형태의 구멍(123a)이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장봉(142)의 결합정도에 따라서 뚜껑 내면 돌출부(123) 또는 연장봉(142)의 어느 일측에만 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단지 수정액이 유출공(126)으로 공급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연장봉(142)이 얕게 결합되는 경우 연장봉(140)은 중공의 것이 아니어도 되고, 또 연장봉(142)이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일측에 형성된 구멍이 내면 돌출부(123)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돌출부(123)에 구멍(123a)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뚜껑(120)의 돌출부(124) 끝단 유출공(126)에는 촉(13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촉(130)은 용기본체(110)에 수용되어 있는 수정액이 필요한 경우에만 유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도 5의 스프링(136)과 침(134)을 없애고 대신에 볼(134a)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액 도포구에 의하면 수정하고자 하는 부위의 넓고 작음에 따라 붓 또는 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수정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할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붓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뚜껑을 열어야 하는 횟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신나 또는 휘발유 등 휘발성 수정액 용제의 증발이 줄어드는 이점과 아울러 좁고 세밀한 부위에도 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정할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또한 촉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붓에 의해서 넓은 수정 부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문자나 그림 등의 수정을 위한 수정액을 갖는 수정액 도포구에 있어서,
    수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착탈되게 결합되고, 뾰족하게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연통되게 한 수정액 유출공이 형성된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수정액속으로 개구를 통하여 삽탈할수 있게 한 연장봉과 단부에 설치된 모발로 이루어진 붓 을 포함하는 수정액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의 내부에는 그 유출공과 연락되게 한 구멍을 갖는 중공체,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그 끝단이 외부로 돌출 되고 그 이동정도에 따라 상기 구멍의 일측을 개폐하는 침, 상기 침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된 촉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의 내부에는 그 유출공과 연락되게 한 구멍이 형성된 중공체, 상기 중공체의 구멍에서 일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로서 회전 되게 결합된 볼로 이루어진 촉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도포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게 원통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유출공과 연락되는 구멍을 갖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패킹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도포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착탈되게 결합되며 외부에는 클립이 형성된 덮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도포구.
KR2020000034052U 2000-12-05 2000-12-05 수정액 도포구 KR200223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52U KR200223501Y1 (ko) 2000-12-05 2000-12-05 수정액 도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52U KR200223501Y1 (ko) 2000-12-05 2000-12-05 수정액 도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501Y1 true KR200223501Y1 (ko) 2001-05-15

Family

ID=7308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052U KR200223501Y1 (ko) 2000-12-05 2000-12-05 수정액 도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5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990A (en) Shoe polish applicator
US4256154A (en) Bottle with retractable funnel top
US20050184095A1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US6254297B1 (en) Marker pen devices
US4917520A (en) Applicator brush
JP2003310346A (ja) 液体容器
WO2005089588A1 (ja) 塗布体付き容器
KR200223501Y1 (ko) 수정액 도포구
JP4726279B2 (ja) 液体塗布具
US6932532B2 (en) Liquid applicator valve
KR200322732Y1 (ko) 차량용페인트도포기구
CA2028000A1 (en) Painting/writing instrument
JP2002225495A (ja) 簡易塗布具
KR200366065Y1 (ko) 액체성 s자형필기도구
KR100659785B1 (ko) 액체성 에스자형필기도구
KR100729792B1 (ko) 필기구 캡 및 그를 포함하는 필기구
JP4589135B2 (ja) 化粧料容器
JP2021091449A (ja) 塗布体付き容器
WO2019133811A1 (en) Dual seal for brush applicator
JPH11138086A (ja) 液塗布容器
KR200197728Y1 (ko) 잉크 보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
KR200274597Y1 (ko) 매니큐어 용기
JP3798232B2 (ja) 液体塗布容器
KR200372865Y1 (ko) 증발방지 거치대를 가지는 액상 립글로스 구조
JP3106974U (ja) 携帯用香水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716

Effective date: 200309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031

Effective date: 200406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