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330Y1 - 약액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330Y1
KR200223330Y1 KR2019990000637U KR19990000637U KR200223330Y1 KR 200223330 Y1 KR200223330 Y1 KR 200223330Y1 KR 2019990000637 U KR2019990000637 U KR 2019990000637U KR 19990000637 U KR19990000637 U KR 19990000637U KR 200223330 Y1 KR200223330 Y1 KR 200223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withdrawal
weight
microprocessor mean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841U (ko
Inventor
김시교
Original Assignee
김시교
주식회사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교, 주식회사세종 filed Critical 김시교
Priority to KR2019990000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33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330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약제와 물을 혼합시킨 약액을 정량인출시켜 주기 위한 약액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대(20)에 착설되는 계량대(30)상에 투입구(44) 및 인출구(41)가 마련되는 약액탱크(40)를 안치하여 인출구(41)에 전동밸브(42) 및 수동밸브(43)를 설치하고, 기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교반모터(50)의 교반팬(52)이 약액탱크(4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고, 기대(20)의 소정위치에 인출간격 입력스위치(62), 인출중량 입력스위치(63), 작동스위치(64), 표시창(65) 등을 구비하는 조작부(61)가 장착된 컨트롤박스(60)를 결합하며, 컨트롤박스(60)의 조작부(61)에 장착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0)과 연계되어 상호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1)에 약액 인출장치(10)의 작동데이타를 입력한 것이며; 약액의 정량인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저장약액의 양을 육안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약액탱크내에 저장되는 약액의 보충시기를 경보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편익을 증진시킨 약액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액 인출장치{MEDICINAL WATER'S FEEDING MECHANISM}
본 고안은 약액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각종 약제와 물을 약액탱크내에 혼입하여 고르게 교반시킨 상태에서 교반된 약액탱크내의 혼합약액을 소망하는 시간간격 및 중량으로 정량 인출시켜 줄 수 있도록 고안된 약액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약제와 물을 혼합한 약액을 정량으로 인출하여 주기 위한 약액 인출장치는 다수종이 안출되어 있는바, 위 인출장치는 다이아 후램식 정량펌프를 사용하는 인출장치와 디퍼식 정량주입기를 사용하는 인출장치로 대분된다.
상기한 인출장치에 있어서, 다이아 후램식 정량펌프를 사용하는 약액 인출장치는 약액의 인출량 설정이 레버에 표시된 눈금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정량인출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장치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시에는 무방하나 장치의 작동을 멈추었다가 재사용할 시에는 석출에 의해 인출구가 막히게 되어 인출장치의 작동불능이 발생하는 등의 다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디퍼식 정량주입기를 사용하는 약액 인출장치는 인출되는 약액의 정량에 대한 확인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디퍼에 담기게 되는 약액의 중량변화로 인해 디퍼의 회전속도가 변화를 일으키게 되므로 정량인출의 보장이 어려우며, 약액의 저장량이 변화할 시마다 장시간 체크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약액 인출장치 주변에 상주해야만 하는 등의 다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약액 인출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약액의 정량인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저장약액의 양을 매우 용이하게 육안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약액탱크내에 저장되는 약액의 보충시기를 자동으로 통보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약액 인출장치의 사용편익을 최대한으로 증진시키고자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약액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약액 인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약액 인출장치20:기대
30:계량대40:약액탱크
41:인출구42:전동밸브
43:수동밸브44:투입구
50:교반모터51:교반축
52:교반팬60:컨트롤판넬
61:조작부62:인출간격 입력스위치
63:인출중량 입력스위치64:작동스위치
65:표시창66:교반모터 기동스위치
70: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1: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
72:인출간격 입력부73:계측중량 입력부
74:인출중량 입력부75:약액저장량 체킹부
76:에러경보 발생부P:약액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약액 인출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약액 인출장치(1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참고단면도 등으로서, 도시된 바를 통해 본 고안은 지면으로부터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작되는 기대(20)상에 계측되는 중량을 전기적인 신호값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계량대(30)를 착설하고, 상기 계량대(30)상에 약액탱크(40)를 안치하여 그 상부에 약제 및 물을 투입시켜 주기 위한 투입구(44)를 마련하며 하부에는 혼합약액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41)가 하향신장되도록 하고, 상기 약액탱크(40)의 인출구(41)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동밸브(42)와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43)를 설치하고, 상기 기대(20)의 상부에 플레이트(21)를 장착하여 그 상부에 교반축(51)이 약액탱크(4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 교반모터(50)를 설치하며, 상기 교반축(51)의 하단에 교반팬(52)을 축설치하고, 상기 기대(20)의 소정위치에 인출간격 입력스위치(62)와, 인출중량 입력스위치(63)와, 작동스위치(64)와, 잔류 약액의 저장량을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창(65)과, 교반모터 기동스위치(66) 등의 조작요소를 구비하는 조작부(61)를 장착시킨 컨트롤박스(60)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약액 인출장치(10)의 블럭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60) 내에는 조작부(61)의 이면에 장착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0)과 연계되어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한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1)이 장착되는바, 상기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1)에는 조작부(61)의 인출간격 입력스위치(62)를 통해 설정입력된 소정의 시간간격에 의해 전동밸브(42)에 'ON'신호를 내려 전동밸브(42)를 열어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인출간격 입력부(72)와, 계량대(30)에서 계측된 저장약액의 중량이 전기적인 신호값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계측중량 입력부(73)와, 조작부(61)의 인출중량 입력스위치(63)를 통해 설정입력된 인출중량에 의해 전동밸브(42)에 'OFF'신호를 내려 전동밸브(42)를 닫아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인출중량 입력부(74)와, 저장약액의 하한계 저장량을 입력시켜 계량대(30)에서 계측된 저장약액(P)의 중량이 입력된 하한선에 도달하게 되면 경보(발광 또는 경보음 등)를 발생시켜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약액저장량 체킹부(75)와, 전동밸브(42)가 'OFF'신호를 받아 닫히기 전에 전동밸브(42)에 또다른 'ON'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경보하여줄 수 있도록 에러경보 발생부(76)가 구비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약액탱크(40)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계측대(30)의 중량을 '0'로 설정한 다음 약액탱크(40)의 투입구(44)를 통해 각종 약제와 물을 혼입하고, 조작부(61)에 구비된 교반모터 기동스위치(66)를 조작시켜 소정속도로 구동하는 교반모터(50)에 축설치된 교반팬(52)에 의해 홉합액이 고르게 교반되도록 한 상태에서 약액탱크(40)내의 약액(P)을 정량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동작순서도에 의거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약액 인출장치(10)의 조작부(61)에 구비된 인출간격 입력스위치(62)를 조작하여 전동밸브(42)의 개문간격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간격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인출중량 입력스위치(63)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중량의 약액(P)이 인출되었을 시에 전동밸브(42)가 폐문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제A단계) 조작부(61)에 구비된 작동스위치(64)를 눌러 주면 약액 인출장치(10)의 정량인출이 개시된다.(제B단계)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1)의 인출간격 입력부(72)에 입력된 소정의 인출간격에 도달하게 되면(제C단계) 인출간격 입력부(72)의 명령에 의해 전동밸브(42)가 열리게 되어 약액탱크(40)내에 저장된 약액(P)이 인출구(41)를 통해 인출되는데,(제D단계) 이때 사용자가 수동밸브(43)를 조작하여 인출구(41)를 통해 인출되는 약액(P)의 양을 가감시킴으로서 설정된 중량의 약액(P)의 직접인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설정된 인출간격내에서 최대한으로 길게 이루어질 수 있게끔 임의조절할 수 있다.(제E단계)
상기와 같이 약액(P)이 인출되어 인출량이 인출중량 입력부(74)에 입력된 소정의 인출중량에 이르게 되면(제F단계) 인출중량 입력부(74)의 명령에 의해 전동밸브(42)가 닫히게 되어 약액(P)의 인출이 중단된다.(제G단계) 위와 같은 동작은 계측대(30)에 의한 저장약액(P)의 계측값이 입력된 계측중량 입력부(73)와 인출중량 입력부(74)의 공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계측대(30)에 의해 항시 계측되고 있는 저장약액(P)의 계측중량에서 인출중량 입력부(74)에 입력된 인출약액의 중량을 감한 신호값이 계측중량 입력부(73)에 입력되면 계측중량 입력부(73)는 위 입력신호를 인출중량 입력부(74)로 전송하고 인출중량 입력부(74)는 전동밸브(42)에 폐문명령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약액 인출장치(10)는 상기 열거한 과정을 반복진행하며 저장된 약액(P)의 인출작업을 진행하는바, 약액(P)의 인출작업중 약액탱크(40)에 저장된 약액(P)이 약액저장량 체킹부(75)에 입력된 하한계 저장량에 이르게 되면 약액저장량 체킹부(75)가 발광 또는 경보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약액(P)의 보충시기를 자동으로 알려 주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출구(41)에 마련되는 수동밸브(43)를 오조작하여 인출중량 입력부(74)에 설정된 중량의 약액(P)이 완전한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간격 입력부(72)에 설정된 인출간격의 시간대에 도달하게 되더라도 에러경보 발생부(76)에서 이를 감지하여 에러경보를 발생시켜 주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인출구(41)의 수동밸브(43)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약액(P) 인출시에 급인출로 인해 발생되는 맥동(脈動)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미세한 맥동까지 완벽하게 제거할 수는 없었는바, 위 발생되는 미세맥동은 시중에 다수종이 시판되고 있는 맥동방지기를 본 고안과 함께 사용하여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약액 인출장치(10)는 약액탱크(40)내에 저장된 약액(P)을 다양한 간격과 중량으로 인출시켜줄 수 있으며, 저장된 약액(P)이 인출간격과 인출중량의 정확한 계측에 의해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약액(P)의 정량인출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약액 인출장치(10)의 인출구(41)에 구비되는 수동밸브(43)를 임의조작하여 저장된 약액(P)의 인출에 직접소요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출되는 약액(P)의 급인출로 인해 발생되는 맥동(脈動)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표시창(65)을 통해 약액탱크(40)에 저장된 약액(P)의 저장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저장된 약액(P)이 한계 저장량에 이르면 경보를 발생시켜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약액 인출장치(10)의 사용편익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인바,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계측중량을 전기적인 신호값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계량대(30)와, 투입구(44) 및 인출구(41)를 구비시켜 인출구(41)상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전동밸브(42)와 수동조작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43)가 설치되도록 한 약액탱크(40)와, 교반축(51)이 약액탱크(4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그 하단에 교반팬(52)을 축설치한 교반모터(50)와, 인출간격 입력스위치(62), 인출중량 입력스위치(63), 작동스위치(64) 등의 조작스위치 및 표시창(65)을 구비하는 조작판넬(61)이 장착된 컨트롤박스(60)를 결합시킨 기대(10);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조작판넬(61) 이면에 장착되며 외부 입력신호를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1)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0);
    상기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0)과 연계되어 상호간의 입·출력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하고, 설정입력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동밸브(42)를 열어 주도록 프로그래밍된 인출간격 입력부(72)와, 계량대(30)에서 계측된 저장약액의 중량이 전기적인 신호값으로 입력되도록 프로그래밍된 계측중량 입력부(73)와, 설정입력된 인출중량에 의해 전동밸브(42)를 닫아주도록 프로그래밍된 인출중량 입력부(74)와, 저장약액(P)의 중량이 하한선에 도달하게 되면 경보를 발생시켜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약액저장량 체킹부(75)와, 전동밸브(42)가 'OFF'신호를 받아 닫히기 전에 전동밸브(42)에 또다른 'ON'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하여줄 수 있도록 에러경보 발생부(76)를 구비하는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71)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인출장치.
KR2019990000637U 1999-01-20 1999-01-20 약액 인출장치 KR200223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637U KR200223330Y1 (ko) 1999-01-20 1999-01-20 약액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637U KR200223330Y1 (ko) 1999-01-20 1999-01-20 약액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41U KR19990021841U (ko) 1999-06-25
KR200223330Y1 true KR200223330Y1 (ko) 2001-05-15

Family

ID=5475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637U KR200223330Y1 (ko) 1999-01-20 1999-01-20 약액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3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625B1 (ko) * 2022-04-12 2022-10-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 스피드 스프레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41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68036B1 (da) Fremgangsmaade til volumetrisk dosering af farvestoffer i malinger og fernisser, og apparat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NO914609L (no) Maalesystem for utlevering av vaeske
US20060157463A1 (en) Food preparation device
US4830509A (en) Automatic system for dissolving dry detergent
CN108096035A (zh) 喂养泵
KR200223330Y1 (ko) 약액 인출장치
EP0118195B1 (en) Measurement and control of viscosity
WO2009099872A2 (en) Automated stainer having stain level detection
CN112557603A (zh) 表面活性剂的测试装置
CN204347014U (zh) 新型溶出度测定仪
JP2681099B2 (ja) 単一容器へ多数の流体を加えるための自動化システム
KR100493570B1 (ko) 액상혼합물 자동 추출분리장치 및 방법
CN213314817U (zh) 一种富血小板血浆(prp)喷枪装置
JPS58105066A (ja) 自動化学分析装置における吸引吐出装置
JPH08272456A (ja) 液体混合装置
CN214807861U (zh) 一种核素自动分药仪
CN110368829A (zh) 一种涂料颜色调配设备
US20150330928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 salt concentration of crude oil
CN218013611U (zh) 一种具有自动配药功能的供液装置
CN219091843U (zh) 一种无人值守公辅系统
CN112414737B (zh) 多功能溢水试验装置
CN219150006U (zh) 自动搅拌设备
CN219722596U (zh) 一种实验室液体溶质溶液自动配制仪
JPH1144629A (ja) 湿式系粒度分布測定装置の試料循環器
CN116692971B (zh) 一种智能水质管理一体机的控制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