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194Y1 - 안전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194Y1
KR200223194Y1 KR2020000035867U KR20000035867U KR200223194Y1 KR 200223194 Y1 KR200223194 Y1 KR 200223194Y1 KR 2020000035867 U KR2020000035867 U KR 2020000035867U KR 20000035867 U KR20000035867 U KR 20000035867U KR 200223194 Y1 KR200223194 Y1 KR 200223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upport
scaffold
horizontal frame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주
Original Assignee
고려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194Y1/ko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옹벽 구축시나 구조물 공사시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 운반이 용이하고 특히, 구축되는 옹벽의 경사도에 관계없이 발판이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전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안전발판 시스템은, 옹벽의 구축시에 거푸집 또는 옹벽의 외측에서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과 이 수직 프레임의 일측 선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 개의 발판 지지대와, 상기 발판 지지대의 수평 프레임에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 지지대의 수평 프레임 선단부에 결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 지지대는 수평 프레임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전발판 시스템{SCAFFOLDING SYSTEM}
본 고안은 안전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옹벽 구축시나 구조물 공사시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 운반이 용이하고 특히, 구축되는 옹벽의 경사도에 관계없이 발판이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전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 구축시나 구조물 공사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안전 난간과 발판의 미확보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 및 전도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및 자재 운반 등을 위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거푸집의 외측에 비계 형틀 즉,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파이프를 결합하여 골조를 만든 후 상기 비계 형틀에 발판 등을 임시로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안전발판은 단순공정으로 행하여지는 옹벽 거푸집 공정상 콘크리트 타설 후 2-3일 이내에 철거 후 이동하는 특성을 감안하면 매번 실시되는 비계 형틀의 설치 및 해체에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발판 등이 체결볼트 등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구조상 내구성이 취약하여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설치 및 철거시에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반복되는 설치 및 철수, 그리고 이동 및 보관시에 부속품의 분실에 따른 추가 제작에 의한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의 추가적인 부담을 감수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한 발판은 구축되는 옹벽 도는 구조물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상태일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옹벽 또는 구조물이 기울기를 갖을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또 다른 구조를 갖는 비계 형틀 및 발판 등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그 구조상 많은 제한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축되는 옹벽 또는 구조물의 기울기에 대응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 그리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옹벽의 구축시에 거푸집 또는 옹벽의 외측에서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과 이 수직 프레임의 일측 선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 개의 발판 지지대와, 상기 발판 지지대의 수평 프레임에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 지지대의 수평 프레임 선단부에 결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 지지대는 수평 프레임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 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 시스템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 시스템의 발판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작용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 시스템의 발판 지지대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3의 절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 시스템은, 옹벽의 구축시에 거푸집(F) 또는 옹벽(미 도시)의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2)와, 상기 지지부(2)의 일측에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20)과 이 수직 프레임(20)의 일측 선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22)을 구비한 복수 개의 발판 지지대(4)와, 상기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에 안착되는 발판(6)과, 상기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 선단부에 결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부(8)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 지지대(4)는 수직 프레임(20)과 수평 프레임(22)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24)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는 거푸집(F) 또는 옹벽의 외측에 직접 고정 결합하여 후술하는 발판 지지대(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일종의 비계 형틀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거푸집(F) 또는 옹벽의 외측에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지지파이프(10)와, 상기 지지 파이프(10)를 거푸집(F) 또는 옹벽의 외측에서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 즉, 거푸집(F)에 형성되는 록킹핀 홀(H) 또는 옹벽에 직접 체결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나사부를 구비한 체결로드(12)와, 상기 체결로드(12)의 나사부와 치합하는 조임 볼트(14)와, 상기 조임 볼트(14)의 조임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지지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고정 홈(16)을 구비하고 양측으로 각각 분리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는 클램프(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파이프(1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중공을 구비하고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통상의 파이프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거푸집(F)의 록킹핀 홀(H) 또는 옹벽에 직접 체결 로드(12)가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거푸집(F)의 구축에 수반되는 결합 홀 등에 상기 체결 로드(12)가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판 지지대(4)는 거푸집(F) 또는 옹벽의 외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2)의 지지 파이프(10)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발판(6)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지지부(2)의 지지 파이프(10) 일측에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측 선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22)과, 상기 수직 프레임(20) 및 수평 프레임(22)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 통상의 형강이 사용되며 상측 선단부에는 지지부(2)의 지지 파이프(10)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고리(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측 선단부는 후술하는 수평 프레임(22)이 결합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 힌지부(28)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후술하는 각도 조절부(24)의 일측이 결합하여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한 제2 힌지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22)은 상기 수직 프레임(2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선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측 선단부에 형성된 제1 힌지부(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으로는 후술하는 각도 조절부(24)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 및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 즉, 스토퍼(32) 및 개구부(34), 가이드판(36)이 형성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제1 힌지부(28) 타측 선단부는 후술하는 가드부(8)가 고정 결합되기 위한 체결 바(38)가 형성되고, 상측 표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4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발판(6)이 수평 프레임(22)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일측 선단부 즉, 제1 힌지부(28) 측에는 안전돌기(42)가 더욱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전 돌기(42)는 수직 프레임(20)과 수평 프레임(22)을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힌지부(28)의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이중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안전돌기(42)를 수용하는 장공형상의 안전 홀(44)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6)은 상기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지지부(2) 즉, 지지 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에 안착되도록 통상의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외형 프레임(46)과, 상기 외형 프레임(46)의 내측에서 용접 또는 이와 유사한 결합방법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는 지지판(4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48)은 실제로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자재운반을 위한 손수레등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수분 및 이물질 등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고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철망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48)에 형성된 통공(50)은 상기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에 형성된 고정돌기(40)와 결합하여 상기 발판(6)이 수평 프레임 (22)의 상측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판(48)은 상술한 철망시트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것이면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드부(8)는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 외측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 바(38)에 끼움 결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에 형성된 체결 바(38)에 종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는 수직 바(52)와, 상기 수직 바(5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횡 방향으로 고정 결합하는 2개 이상의 수평 바(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 바(52)와 수평 바(54)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는 일측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통상의 스터드 볼트(STUD BOLT) 가 사용되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체결부재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스터드 볼트(56)의 고리부 내측에 수평 바(54)를 결합하고 상기 고리부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수직 바(52)에 형성된 관통 홀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 나사부에 대응하는 별도의 너트를 나사부와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부(24)는 발판 지지대 (4)의 수직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22)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써,
발판 지지대(4)의 수직 프레임(20) 하부 일측에 제2 힌지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로드(58)와,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슬라이드부에서 고정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로드(60)와, 상기 제1 로드(58) 및 제2 로드(6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로드(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로드(58)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리드각을 갖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제2 힌지부(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로드(60)는 제1 로드(58)에 형성된 나사부의 리드각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리드각을 갖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며, 일측 선단부는 수평 프레임(22)의 슬라이드부에 슬라이드 되기 위한 슬라이더(6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 로드(62)는 통상의 원형 또는 다각형상을 갖는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부에는 상기 제1 로드(58) 및 제2 로드(60)의 나사부에 각각 대응하는 나사 홀을 양측 선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절 로드(62)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로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너얼링(KNURING)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표면처리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발판 시스템이 옹벽 구축시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결합하여 실시되는 바람직한 일예를 도 1 및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옹벽 구축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F)의 외측에 지지부(2)의 설치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먼저, 거푸집(F)에 형성된 록킹핀 홀(H)에 지지부(2) 즉, 체결 로드(12)의 나사부를 체결하고, 상기 체결 로드(12)가 관통하여 결합된 클램프(18)의 고정 홈(16)에 지지 파이프(10)의 외주면을 삽입시킨 후, 상기 체결 로드(12)의 나사부에 치합된 조임 볼트(1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일측 클램프(18)의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클램프(18)가 조임 볼트(14)에 의해 이동하여 지지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18)에 의해 지지 파이프(10)가 거푸집(F)의 외측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 로드(12) 및 클램프(18)는 요구되는 작업여건에 따라 거푸집(F)의 횡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결합과정이 완료되면, 거푸집(F)의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 지지 파이프(10)에 수직 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 고리(26)를 결합하여 고정지지 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제1 힌지부(28)에 의해 결합된 수평 프레임(22)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24)의 조절 로드(6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평 프레임(22)이 제1 힌지부(28)에 의해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22)은 각조 조절부(24)에 의해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며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 바(38)의 외경에 가드부(8) 즉, 수직 바(52)의 내경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결합과정에 의해 수평 프레임(22)의 체결 바(38)와 수직 바(52)의 체결이 완료되면, 스터드 볼트(56)의 고리부 내측으로 수평 바(54)를 결합시킨 후 상기 스터드 볼트(56)의 나사부를 상기 수직 바(52)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 관통시킨 후, 상기 스터드 볼트(56)의 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별도의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수평 프레임(22)의 선단부에 가드부(8)가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지부(2)의 지지 파이프(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결합된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에 발판(6)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발판(6)을 지지하는 발판 지지대(4)는 적어도 2개 이상이 하나의 발판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즉, 상기 발판(6)의 좌, 우측 선단부의 내측으로 발판 지지대(4)의 수평 프레임(22)이 각각 위치하도록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6)의 보다 견고한 지지가 요구될 때에는 발판(6)의 하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발판 지지대(4)가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2)의 지지 파이프(10)에 결합된 발판 지지대(4)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결합과정에 의해 수평 프레임(22)에 안착되는 발판(6)은 상기 수평 프레임(22)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40)와 발판(6)의 지지판(48)에 형성된 통공(50)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 프레임(22)에 고정 및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의 설치방법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지지 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발판 지지대(4) 및 발판(6)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구축되는 옹벽이 지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구축되는 경우는 상기와 동일한 결합 방법을 통해 결합한 후, 수평 프레임(22)이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발판 지지대(4)의 각도 조절부(24) 즉, 조절 로드(6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로드(58)의 나사 및 제2 로드(60)의 나사부가 상기 조절 로드(62)의 암나사부와 치합되어 내측으로 이동하며 길이가 축소되고, 상기 제1 로드(58) 및 제2 로드(60)의 길이가 축소됨에 따라 수직 프레임(20)의 제1 힌지부(28)에 의해 수평 프레임(22)이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 지지됨으로써, 경사지게 형성되는 옹벽의 구축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축되는 옹벽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조절 로드(62)를 회전시켜서 제1 로드(58) 및 제2 로드(60)의 길이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22)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울기를 갖는 옹벽의 구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옹벽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하고 나서 2-3일 경과한 후 상기 안전발판 시스템의 철거시에는 상기의 결합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해체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발판 지지대(4)를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완전히 절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의 절첩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도 조절부(24)의 제1 로드(58)를 제2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 로드(58)의 회전에 의해 제2 로드(60)의 선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더 (64)가 수평 프레임(22)의 슬라이드부에서 슬라이드되어 수직 프레임(20)의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한다.
그 다음, 수직 프레임(20)의 제1 힌지부(28)에 의해 수평 프레임(22)을 회전시켜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0)의 내측으로 수평 프레임(22)이 완전히 절첩되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운반 또는 보관이 더욱 용이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일실시예는 안전발판 시스템의 체결 로드(12)를 거푸집(F)의 록킹핀 홀(H)에 결합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 로드(12)를 옹벽에 직접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체결방법은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옹벽 구축시나 구조물 공사시에 설치되는 거푸집 또는 옹벽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붕괴 또는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축되는 옹벽의 경사도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발판이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옹벽의 구축시에 거푸집 또는 옹벽의 외측에서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과 이 수직 프레임의 일측 선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 개의 발판 지지대와, 상기 발판 지지대의 수평 프레임에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 지지대의 수평 프레임 선단부에 결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 지지대는 수평 프레임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전발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대의 각도 조절부는 수직 프레임 하부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로드와, 상기 수평 프레임과 고정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로드와,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의 나사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리드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제1 로드 및 제2 로드는 조절 로드의 일 방향 회전동작에 의해 길이가 축소 또는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시스템.
KR2020000035867U 2000-12-21 2000-12-21 안전발판 시스템 KR200223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867U KR200223194Y1 (ko) 2000-12-21 2000-12-21 안전발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867U KR200223194Y1 (ko) 2000-12-21 2000-12-21 안전발판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441A Division KR20020050321A (ko) 2000-12-21 2000-12-21 안전발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194Y1 true KR200223194Y1 (ko) 2001-05-15

Family

ID=7309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867U KR200223194Y1 (ko) 2000-12-21 2000-12-21 안전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1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0710C (en) Temporary bracing system for insulated wall form and method
US8262056B2 (en) Prop head for ceiling formwork
US20100005735A1 (en) Telescoping shoring post with gross adjustment capacity
US11732776B2 (en) Vertical cable railing assembly
IE902324A1 (en) Formwork System
JPH0842163A (ja) サポート
DE3004245A1 (de) System-deckenschalung mit fallkopf
JP2601610B2 (ja) 支え足場
KR20020050321A (ko) 안전발판 시스템
WO2007049236A2 (en) Adjustable telescopic lever apparatus for lifting plane elements, preferably wall and/or cover panels and arrangement for fixing two slidable elements of polygonal cross-section
JP7316728B2 (ja) 日除け
KR200223194Y1 (ko) 안전발판 시스템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KR100756266B1 (ko) 건축용 동바리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100611532B1 (ko) 거푸집 난간대용 발판지지대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DE4000400A1 (de) Im bauwesen zu verwendende stuetzvorrichtung fuer eine schalwand
JPH0419151Y2 (ko)
KR200487857Y1 (ko) 거푸집 및 철근용 버팀대 전도방지장치
JP2911419B2 (ja) 仮設構造物における連結構造
JP2831957B2 (ja) 枠組足場用ジャッキサポート
KR102659597B1 (ko)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비계의 지지장치
JPH0637170Y2 (ja) 組立式の配筋支持装置
JPH084316A (ja) ポール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