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05Y1 -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05Y1
KR200222305Y1 KR2019990002089U KR19990002089U KR200222305Y1 KR 200222305 Y1 KR200222305 Y1 KR 200222305Y1 KR 2019990002089 U KR2019990002089 U KR 2019990002089U KR 19990002089 U KR19990002089 U KR 19990002089U KR 200222305 Y1 KR200222305 Y1 KR 20022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ece
wall
fixing 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919U (ko
Inventor
황찬우
Original Assignee
황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찬우 filed Critical 황찬우
Priority to KR2019990002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0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9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05Y1/ko

Links

Landscapes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건물의 지붕처마에 시공설치하는 물받이 브라켓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체상에 조립시공하고자 하는 브라켓의 설치가 신속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편과 받침편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물받이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브라켓(2)을 구성하는 고정편(4)의 상단에 간격유지간(20)을 절곡구성하고, 상기 간격유지간(20)의 단부에는 확개부(24)와 절곡부(26)로 구성된 탄성걸림부(22)를 고정편(4)과 나란히 구성되도록 절곡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BRACKET OF GUTTER FOR PREFAB BUILDING}
본 고안은 조립식 건물의 지붕처마에 시공설치되는 물받이 브라켓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체에 조립시공하고자 하는 브라켓의 설치가 신속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공장이나 제품적재용 창고와 같은 건물들은 시공이 간단하면서 공기가 짧고 시공비용도 저렴한 조립식 건물을 많이 시공,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건물의 지붕처마에는 배수를 위한 물받이를 시공하게 된다.
물받이 시공을 위하여는 도5에서와 같이 고정편(102)과 받침편(104)으로 구성된 브라켓(100)을 도6에서와 같이 벽체(106)이 상단부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108)와 너트(110)로 체결고정하게 된다.
이때 브라켓(100)이 고정설치되는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6∼10m정도의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벽체를 기준으로 건물의 내외측에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 벽체(106) 상에 구성을 뚫고 볼트(108)와 너트(110)로 체결고정되게 하는 것이므로 작업중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을뿐 아니라, 브라켓(100)을 벽체(106)에 촘촘한 간격으로 많은 갯수를 결합시공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사실상 조립식 건물의 시공에 있어서 가장 난이한 공사중 하나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문제점들을 시정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식 건물의 벽체상에 물받이 시공용 브라켓을 설치함에 있어서, 신속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라켓을 구성하는 고정편의 상단부를 길게 연장한 다음, 상기 고정편의 단부를 절곡하여 간격유지간과 탄성걸이부를 구성하므로서 브라켓의 시공시 탄성걸이부를 이용하여 벽체의 상단에 간단히 걸어 고정토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타실시예시도
도 4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 : 종래 브라켓의 사시도
도 6 : 종래 브라켓의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브라켓 (4)--고정편
(6)--받침편 (8)--수평간
(10)--수직간 (12)--체결간
(14)(18)--리벳 (16)--보강편
(20)--간격유지간 (22)--탄성걸림부
(24)--확개부 (26)--절곡부
(28)--볼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브라켓(2)의 사시도로서, 고정편(4) 일측에 수평간(8)과 수직간(10) 및 체결간(12)으로 구성된 받침편(6)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편(4)과 접한 받침편(6)의 체결간(12)에 리벳(14)으로 레벳이음하여 이들이 상호체결고정되게 한다.
이때 고정편(4)과 받침편(6)의 체결수단으로서 반드시 리벳(14)일 필요성은 없으며, 용접이나 볼트결합등 여러 체결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고정편(4) 일측에 받침편(6)의 결합이 완료되면 받침편(6)의 수평간(8) 저면과 고정편(4)의 측부를 연결하는 보강편(16)을 위치시킨 다음 리벳(18)으로 리벳이음하여 받침편(6)이 고정편(4) 상에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보강편(16)을 통하여 받침편(6)이 견고하게 체결고정된 고정편(4)의 상단부를 절곡하여 간격유지간(20)을 형성시키고, 간격유지간(20)의 단부에는 고정편(4)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탄성걸이부(22)를 절곡구성하되, 상기 탄성걸이부(22)의 끝단부에는 확개부(24)를, 중앙에는 절곡부(26)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브라켓(2)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3에서와 같이 고정편(4)과 탄성걸이부(22)를 연결하는 간격유지간(20)은 분리구성한 다음 볼트(28)로 체결고정토록 하므로서 벽체의 두께에 따라 탄성걸이부(22)와 고정편(4)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30)은 벽체, (32)는 지붕, (34)는 물받이, (36)은 통공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립식 건물의 벽체 상단부에 브라켓을 고정설치한 다음 브라켓 상에 물받이를 안치하여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배수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본 고안의 브라켓(2)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즉 브라켓(2)을 조립식건물의 벽체(30) 상에 고정설치하고자 할때에 신속용이하고, 안전하게 시공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브라켓(2)을 벽체(30)의 상단부에 고정설치하고자 할때 브라켓(2)의 고정편(4) 상단에 구성된 탄성걸이부(22)를 이용하여 도4에서와 같이 벽체(30)의 상단부에 걸어 고정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벽체에 구멍을 뚫고 벽체의 내외측에서 두사람의 작업자가 볼트를 끼운 다음 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하는 번거로움없이 간편하게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브라켓(2)의 고정편(4)이나 탄성걸이부(22)에 구성된 통공(36) 상에 피스등을 이용하여 벽체(30)와 결합되게 하면 브라켓(2)이 좌우유동하지 않고 더욱 견고한 결합을 기대할 수는 있으나, 사실상 통공(36) 상에 피스등을 이용하여 브라켓(2)의 움직임을 고정하지 않더라도 브라켓(2)이 좌우유동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브라켓(2)을 조립식 건물의 벽체(30) 상단에 결합고정하고자 할때 탄성걸이부(22)의 단부에 형성된 확개부(24)는 브라켓(2)을 벽체(30) 상단에 용이하게 끼우기 위한 수단이며, 탄성걸이부(22)의 중앙에 절곡된 절곡부(26)는 탄성걸이부(22)에 탄성을 부여하여 사용중 탄성걸이부(22)의 확장을 방지하여 항상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공시 벽체(30)의 상단부에 결합고정된 브라켓(2)은 지붕(32)에 의해 간격유지간(20)이 압지되므로 더욱 견고한 결합을 기대할수 있게 된다.
벽체(30) 상에 브라켓(2)의 시공이 완료되면 브라켓(2)을 구성하는 받침편(6)상에 도4에서와 같이 물받이(34)를 안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브라켓(2)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3에서와 같이 고정편(4)의 상단부에 구성된 간격유지간(20)을 분리구성한 다음 볼트(28)로 체결고정되게 할 경우에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30)의 두께에 따라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점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조립식 건물에 사용되는 판넬의 경우 규격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빈도는 극히 미미할 것이다.
또한 고정편(4) 상에 받침편(6)을 리벳이음으로 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한 다음 필요에 따라 고정편(4)에 체결고정되는 받침편(6)의 높낮이의 위치를 조정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브라켓(2)을 제작구성함에 있어서, 브라켓(2)을 구성하는 고정편(4)이나 받침편(6) 상에 요철부를 두어 견고성을 배가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탄성걸이부(22) 상에 프레스펀칭하여 내향돌출부 등을 형성하므로서 벽체상에 브라켓의 고정이 견고하게 할수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요지는 고정편의 상단부에 탄성걸이부를 구성하여 벽체상에 브라켓의 결합이 신속용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립식 건물의 지붕처마에 물받이를 시공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브라켓의 시공이 신속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중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편 일측에 받침편이 체결구성된 조립식건물의 물받이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편(4)의 상단에 간격유지간(20)을 절곡구성하고, 상기 간격유지간(20)의 단부에는 고정편(4)과 나란하게 탄성걸림부(22)를 절곡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KR2019990002089U 1999-02-10 1999-02-10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KR20022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89U KR200222305Y1 (ko) 1999-02-10 1999-02-10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89U KR200222305Y1 (ko) 1999-02-10 1999-02-10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919U KR20000016919U (ko) 2000-09-25
KR200222305Y1 true KR200222305Y1 (ko) 2001-05-02

Family

ID=5475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089U KR200222305Y1 (ko) 1999-02-10 1999-02-10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971B1 (ko) 2013-01-10 2014-01-10 (주)칠칠공사 건물 옥상의 난간용 방수 및 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17B1 (ko) * 2006-07-21 2007-04-13 동신 이앤씨(주)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971B1 (ko) 2013-01-10 2014-01-10 (주)칠칠공사 건물 옥상의 난간용 방수 및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919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2305Y1 (ko) 조립식 건물의 물받이 브라켓
KR101742559B1 (ko) 빗물받이 지지대
US5718085A (en) Gutters
US20160312465A1 (en) Air conditioner platform
JP6693719B2 (ja) 樋支持構造、建物、樋設置方法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JP2931288B1 (ja) 作業用プラットフォームの支柱
JPH1046803A (ja) 軒先足場取付具及び軒先ユニット
JP2000034797A (ja) 建築物の躯体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H0224822Y2 (ko)
KR101891801B1 (ko) 펜스용 체결구
JP4016358B2 (ja) ケーブル架構の足場装置
JP3156192U (ja) 天井板の支持構造
JPH0736995Y2 (ja) 足場装置
AU751694B2 (en) Safety rail
KR200307395Y1 (ko) 에어컨 실외기용 받침대
JPH0726487Y2 (ja) 軒天井取付構造
JP2570749Y2 (ja) 樋吊り具取付構造
JPH0413309Y2 (ko)
JP2001090280A (ja) 軒樋取付構成体
JPH0426578Y2 (ko)
JPS6113648Y2 (ko)
JPH0115767Y2 (ko)
JPS5834882Y2 (ja) ベランダ、バルコニ−等の組立て構造
JP2008038467A (ja) 簡易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