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810Y1 -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810Y1
KR200221810Y1 KR2020000034596U KR20000034596U KR200221810Y1 KR 200221810 Y1 KR200221810 Y1 KR 200221810Y1 KR 2020000034596 U KR2020000034596 U KR 2020000034596U KR 20000034596 U KR20000034596 U KR 20000034596U KR 200221810 Y1 KR200221810 Y1 KR 200221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wheel
dripper
contain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진 filed Critical 박명진
Priority to KR2020000034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810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커버를 더 구비하여 추출된 원두커피액이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부이면서 추출소공(13)과 수납용기(12)와 결합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륜(14)을 가지는 드립퍼(Dripper:11)와; 상기 드립퍼(11)의 결합돌기륜(14)과 결합될 수 있는 돌기륜(15)을 하방의 수납용기(12)로 구성되고; 상기 드립퍼(11)와 수납용기(12)사이에는 여과용지(16)와 원두커피봉지(18)를 수용하여 포장되는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에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납용기(12)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륜(15)과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내측에 형성되는 플랜지(31)와 밀착부(32) 상간에 수용환홈(33)을 가지는 결합돌기륜(35)과; 상기 결합돌기륜(35)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절두원추형상의 평면부(36); 상기 평면부(36)의 일측에는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하는 구문접속부(40)를 포함하는 보조커버(30)를 더 가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Portable brewing set of coffee}
본 고안은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 이외의 야외에서도 쉽게 원두커피를 섭취할 수 있도록 제안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그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종래로부터의 인스턴트 커피 대신 원두커피가 널리 음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두커피를 가정이나 일반사무실등지에서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두를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만든 후, 이를 여과장치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추출함으로서 원두커피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원두커피는 맛과 향은 인스탄트커피에 비하여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별도의 분쇄장치와 추출장치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서 가정이나 사물실과 같이 분쇄 및 추출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곳에서의 섭취는 가능하나 야외등지에서는 섭취에 곤란성을 가진다.
이는 인스탄트커피의 경우에는 섭취자가 인스탄트커피와 설탕 및 프림만을 구비함으로서 야외등지에서도 더운물만 있으며 이들을 용해시켜 쉽게 섭취할 수 있으나, 원두커피의 경우에는 분쇄장치와 추출장치를 야외로 이동시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인은 이러한 관점에서 안출된 선원을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로서 출원한 바있고 본고안은 상기하는 선원의 개선된 구성으로서 별이의 신규성을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하는 선원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저면에 다수개의 추출소공을 형성한 용기체인 드립퍼(Dripper)와 수납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드립퍼와 수납용기는 상호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가지며, 상기 드립퍼와 수납용기 내방에는 여과용지와 원두커피봉지를 동시에 수납하여 진공 또는 상자내에 포장하여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를 구성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는 양외등지에서 용이하게 원두커피를 섭취할 수 있으나, 원두커피를 섭취가능하게 추출한 후 섭취하는 과정이나이동시에는 추출된 원두커피액이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에 별도의 보조커버를 더 구비하여 추출된 원두커피의 섭취시나 이동시 추출된 원두커피가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음용상태가 가능하도록 추출상태를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인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추출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11; 드립퍼
12; 수납용기
15; 돌기륜
30; 보조커버
35; 결합돌기륜
40; 구문접속부
41; 토출공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음용상태가 가능하도록 추출상태를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인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의 추출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는 커버부인 드립퍼(Dripper:11)와 하방의 수납용기(1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드립퍼(11)는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되는 용기형상체로 그 저면부에는 다수개의 추출소공(13)이 형성되어 여과용기로 사용된다.
상기 드립퍼(11)는 수납용기(12)와 결합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방 외주연에서 돌출된 결합돌기륜(1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륜(14)은 억지끼움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수납용기(12)는 투명한 플라스틱, 유리, 종이재등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방에는 드립퍼(11)의 결합돌기륜(14)과 결합될 수 있는 돌기륜(15)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드립퍼(11)와 수납용기(12)사이에는 여과용지(16)가 수납되고 수납용기(12)의 내부 수용공간(17)에는 분쇄된 원두커피를 기밀봉지체에 포장한 원두커피봉지(18)가 수용된다.
상기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는 전체적으로 수축필름등으로 포장되거나 별도의 포장상자에 수납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에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이동시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커버(30)를 더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커버(30)는 수납용기(12)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륜(15)을 수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내측에 형성되는 플랜지(31)와 밀착부(32) 상간에 수용환홈(33)을 가지는 결합돌기륜(35)을 하방에 가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돌기륜(35)의 상방으로는 절두원추형상의 평면부(36)를 두고 상기 평면부(36)의 일측에는 보조커버(30)를 씌운상태에서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돌출된 구문(口吻)접속부(40)를 둔다.
상기 구문접속부(40)의 상단면에는 원두커피액(100)이 나올 수 있도록 토출공(4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구문접속부(40)는 섭취자의 입술과 연접되었을 때 거부감이 없이 부드러운 감을 가질 수 있도록 라운딩처리하고 불필요하게 돌출되어 치아와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보조커버(30)는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를 구성할 때에는 수납용기(12)의 상방에 결합되고 드립퍼(11)로 마감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를 분리하여 수납용기(12)의 상방에 드립퍼(11)를 포장시의 반대방향으로 결합한 후 여과용지(16)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원두커피봉지(18)를 개봉하여 원두커피를 여과용지(16)에 수용시키고 더운물을 부어 원두커피액(100)이 추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은 섭취자의 취향에 따라 프림과 설탕을 첨가하여 수납용기(12) 그대로 섭취하거나 보조커버(30)를 결합하여 섭취하여도 된다.
상기 보조커버(30)를 결합하여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커버(3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륜(35)을 수납용기(12)에 형성되는 돌기륜(15)에 억지 결합함으로서 수납용기(12)의 개방된 상면이 보조커버(30)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된 상태에서는 수납용기(12)를 들고 이동하여도 수납용기(12)내에 있는 원두커피액(100)이 수납용기(12)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두커피액(100)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커버(30)의 상방에 돌출되는 구문접속부(40)에 섭취자의 입을 댄 후 수납용기(12)를 기울여 줌으로서 원두커피액(100)이 토출공(41)을 통하여 나오게 됨으로서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에 보조커버(30)를 더 구비함으로서 통상적인 상태에서의 섭취는 물론 이동중 특히,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중일 경우에도 추출된 원두커피액(100)를 유출하는 현상없이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에 별도의 보조커버를 더 구비하여 추출된 원두커피의 섭취시나 이동시 추출된 원두커피가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커버부이면서 추출소공(13)과 수납용기(12)와 결합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륜(14)을 가지는 드립퍼(Dripper:11)와 상기 드립퍼(11)의 결합돌기륜(14)과 결합될 수 있는 돌기륜(15)을 하방의 수납용기(12)로 구성되고;
    상기 드립퍼(11)와 수납용기(12)사이에는 여과용지(16)와 원두커피봉지(18)를 수용하여 포장되는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10)에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커버(3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커버(30)는 수납용기(12)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륜(15)과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내측에 형성되는 플랜지(31)와 밀착부(32) 상간에 수용환홈(33)을 가지는 결합돌기륜(35)을 하방에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륜(35)의 상방으로는 절두원추형상의 평면부(36)를 두고;
    상기 평면부(36)의 일측에는 추출된 원두커피액(100)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하는 구문접속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문접속부(40)의 상단면에는 원두커피액(100)이 나올 수 있도록 토출공(41)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20000034596U 2000-12-11 2000-12-11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221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596U KR200221810Y1 (ko) 2000-12-11 2000-12-11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596U KR200221810Y1 (ko) 2000-12-11 2000-12-11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810Y1 true KR200221810Y1 (ko) 2001-04-16

Family

ID=7309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596U KR200221810Y1 (ko) 2000-12-11 2000-12-11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8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626B1 (ko) 2012-04-23 2014-07-09 황형진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101826151B1 (ko) * 2016-04-05 2018-02-06 남익현 드립 커피용 컵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626B1 (ko) 2012-04-23 2014-07-09 황형진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101826151B1 (ko) * 2016-04-05 2018-02-06 남익현 드립 커피용 컵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224B1 (ko) 음료캔
ITTV20030058A1 (it) Capsula monodose in plastica per caffe' in polvere e simili.
US50726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hot beverage extract liquid
KR200221810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221811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US20040083897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KR200314520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CN209720400U (zh) 一种多功能瓶盖
JP3224395U (ja) ストロー機能を有する容器
KR200489383Y1 (ko)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KR100793253B1 (ko) 수납공간이 형성된 스트로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200173523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358662Y1 (ko)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KR200381684Y1 (ko)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CN219147288U (zh) 一种可装一次性液体的真空保温杯
KR200284409Y1 (ko) 녹차 및 원두커피용 종이컵
KR200277075Y1 (ko) 티백이 내재된 종이컵
KR200424646Y1 (ko) 수납공간이 형성된 스트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