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266Y1 - 제기 - Google Patents

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266Y1
KR200221266Y1 KR2020000029480U KR20000029480U KR200221266Y1 KR 200221266 Y1 KR200221266 Y1 KR 200221266Y1 KR 2020000029480 U KR2020000029480 U KR 2020000029480U KR 20000029480 U KR20000029480 U KR 20000029480U KR 200221266 Y1 KR200221266 Y1 KR 200221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raised
case
vocal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성
Original Assignee
유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성 filed Critical 유대성
Priority to KR2020000029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266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술 하부에 매달린 중심추와 발성장치를 케이스에 내장하여 제기를 찰 때마다 음향이 발성됨에 따라 제기차기 놀이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기차기 놀이는 보다 특이함과 다양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으므로 고유한 전통놀이인 제기차기 놀이가 점차 사라지고 외국의 다양한 오락문화가 이를 대신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하부캡(21)(22)들의 내부에 삽입된 주름관(30)과 발성구(40)에 의하여 제기를 찰 때마다 독특한 음향이 발성되어 제기차기 놀이의 흥미를 최대한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다양함과 특이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그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고, 잊혀져 가는 전통놀이를 다시 살릴 수 있는 것으로서 국민의 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제기{A kind of shuttlecock game played with the feet}
본 고안은 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술 하부에 매달린 중심추와 발성장치를 케이스에 내장하여 제기를 찰 때마다 음향이 발성됨에 따라 제기차기 놀이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기는 합성수지 필름, 헝겊, 종이 등을 수많은 가닥을 이루도록 갈래갈래 찢어서 술을 형성하고 술의 하부에는 금속과 같은 중심추를 고정하여 발로 차면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놀이 도구이며 이러한 제기차기는 전래되어 오는 우리의 전통 놀이 중 하나 이다.
그러나, 전술한 제기차기 놀이는 중심추를 발로 차면 위를 향한 술이 아래를 향하여 낙하되는 중심추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구성되어 매우 단순하므로 제기차기 놀이에 쉽게 싫증을 내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이 단순한 놀이는 보다 특이함과 다양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으므로 고유한 전통놀이인 제기차기 놀이가 점차 사라지고 외국의 다양한 오락문화가 이를 대신하는 실정이다.
특히, 제기차기 놀이는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이므로 건강증진에도 매우 유용하나 현대의 어린이들은 컴퓨터 등을 이용한 각종 전자오락을 즐김에 따라 전체적인 어린이들의 평균 체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기를 찰 때마다 독특한 음향이 발성되도록 구성하여 제기차기 놀이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제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얇은 시이트를 절취하여 수많은 가닥으로 형성한 술(10)의 하부에 매달린 중심추(11)가 케이스(20) 내부에 삽입되고 술(10)은 케이스(20) 상부에 뚫려진 구멍을 통해 인출되는 통상의 제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그 외측면 하부와 내측면 상부에 걸림턱(21a)(22a)들이 각각 형성된 상,하부캡(21)(22)들로 분리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주름관(30)이 삽입되어 상,하부캡(21)(22)들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주름관(30)의 일측에는 안내관(41) 내부에 떨림편(41a)을 구비한 발성구(40)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성구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술
11 : 중심추
20 : 케이스
21 : 상부캡
21a, 22a : 걸림턱
21b, 22b : 안내홈
22 : 하부캡
30 : 주름관
40 : 발성구
41 : 안내관
41a : 떨림편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필름, 헝겊,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얇은 시이트를 수많은 가닥으로 절취한 술(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술(10)의 하부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중심추(11)가 매달려 있다.
상기 중심추(11)는 원통형의 케이스(20)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술(10)은 케이스(20) 상부에 뚫려진 구멍을 통해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기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케이스(20)가 상,하부캡(21)(22)으로 분리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삽입된 주름관(30)과 발성구(40)에 의하여 제기를 찰 때마다 음향이 발성되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20)는 그 외측면 하부에 걸림턱(21a)이 형성된 상부캡(21)과 그 내측면 상부에 걸림턱(22a)이 형성된 하부캡(22)으로 분리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부캡(21)은 하부캡(22)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걸림턱(21a)(22a)들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상부캡(21)이 하부캡(22)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캡(21)의 내부 천장에는 중심추(11)가 고정되어 있고, 술(10)은 상부캡(21)의 상부면에 뚫려진 구멍을 통해 인출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주름관(30)이 삽입되어 있고, 이 주름관(30)은 에어쿠션을 이용하여 상,하부캡(21)(22)들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캡(22)을 발로 차면 주름관(30)이 압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면서 주름관(30) 내부의 공기가 배출 및 흡입된다.
상기 주름관(30)의 일측에는 관 모양의 발성구(40)가 관통 삽입되어 있고, 이 발성구(40)의 안내관(41) 내부에는 떨림편(41a)이 장착되어 공기가 배출될 때 독특한 음향을 발성하여 제기차기 놀이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발성구(40)의 선단은 주름관(30)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부캡(21)(22)들의 외측에 형성된 안내홈(21b)(22b)들에 삽입되어 주름관(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발성구(40)와 주름관(30)은 케이스(20) 내부에 완전히 내장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기를 자유낙하시키면서 발로 차게되면 중심추(11)를 내장한 케이스(20)가 아래로 향하고 술(10)은 위를 향하므로 결국은 하부캡(22)을 발로 차게되어 상,하부캡(21)(22)들 사이에 내장된 주름관(30)이 순간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된다.
따라서, 주름관(30) 내부의 공기가 발성구(40)의 안내관(41)을 통해 배출되면서 떨림편(41a)을 진동시킴에 따라 독특한 음향이 발성되고, 다시 주름관(30)이 복원되면 안내관(4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주름관(3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제기를 찰 때마다 하부캡(22)에 가해지는 타격에 의하여 케이스(20) 내부에 삽입된 주름관(30)이 압축 및 복원되면서 독특한 음향을 연속적으로 발성하므로 제기차기 놀이의 흥미를 최대한 유발시킬 수 있고 제기의 대외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서 결국은 어린이들의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하부캡(21)(22)들의 내부에 삽입된 주름관(30)과 발성구(40)에 의하여 제기를 찰 때마다 독특한 음향이 발성되어 제기차기 놀이의 흥미를 최대한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다양함과 특이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그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고, 잊혀져 가는 전통놀이를 다시 살릴 수 있는 것으로서 국민의 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얇은 시이트를 절취하여 수많은 가닥으로 형성한 술(10)의 하부에 매달린 중심추(11)가 케이스(20) 내부에 삽입되고 술(10)은 케이스(20) 상부에 뚫려진 구멍을 통해 인출되는 통상의 제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그 외측면 하부와 내측면 상부에 걸림턱(21a)(22a)들이 각각 형성된 상,하부캡(21)(22)으로 분리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주름관(30)이 삽입되어 상,하부캡(21)(22)들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주름관(30)의 일측에는 안내관(41) 내부에 떨림편(41a)을 구비한 발성구(40)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기.
KR2020000029480U 2000-10-23 2000-10-23 제기 KR200221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80U KR200221266Y1 (ko) 2000-10-23 2000-10-23 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80U KR200221266Y1 (ko) 2000-10-23 2000-10-23 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266Y1 true KR200221266Y1 (ko) 2001-04-16

Family

ID=7309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80U KR200221266Y1 (ko) 2000-10-23 2000-10-23 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2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03B1 (ko) 2010-07-22 2012-11-09 박진서 유희용 제기
KR20150019035A (ko) * 2013-08-12 2015-02-25 배근우 놀이용 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03B1 (ko) 2010-07-22 2012-11-09 박진서 유희용 제기
KR20150019035A (ko) * 2013-08-12 2015-02-25 배근우 놀이용 제기
KR101582990B1 (ko) * 2013-08-12 2016-01-06 배근우 놀이용 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1266Y1 (ko) 제기
JP2007044148A (ja)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アセンブリー
US20090061727A1 (en) Bubble-blowing wand
KR20070116769A (ko) 당구큐용 타력강화장치
US1756299A (en) Game
JP3149309U (ja) 団扇遊び
KR200388332Y1 (ko) 새털방울제기
CN204319755U (zh) 不倒翁玩具
US10870063B1 (en) Spinning toy
KR20048683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CN206809748U (zh) 一种可适应全地形的陀螺
JP3128752U (ja) バランスボード
CN207708512U (zh) 一种儿童玩具
KR100343945B1 (ko)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CN207352811U (zh) 抚弦乐器练指器
KR200263729Y1 (ko) 제기
KR102579811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근력강화 놀이기구
KR200279016Y1 (ko) 공기 저항이 적은 배드민턴의 비전원식 발성셔틀콕
CN217311934U (zh) 一种趣味玩具桌
KR200319100Y1 (ko) 복합적인 음정이 연출되는 리듬터치기
CN210751284U (zh) 悬挂玩偶保平衡玩具
KR200330872Y1 (ko) 단소
US20030005553A1 (en) Novelty balancing apparatus
CN209679495U (zh) 一种玩具架子鼓
JP3211420U (ja) 弦楽器の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