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945B1 -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 Google Patents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945B1
KR100343945B1 KR1019990023143A KR19990023143A KR100343945B1 KR 100343945 B1 KR100343945 B1 KR 100343945B1 KR 1019990023143 A KR1019990023143 A KR 1019990023143A KR 19990023143 A KR19990023143 A KR 19990023143A KR 100343945 B1 KR100343945 B1 KR 10034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itting
stick
coupling
resonanc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028A (ko
Inventor
강대숙
Original Assignee
강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숙 filed Critical 강대숙
Priority to KR101999002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9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2Resonance frequency related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국 전통놀이인 비석치기, 필드하키, 게이트볼, 골프, 폴로, 그라운드골프등과 유사한 놀이 또는 다양한 경기방식을 채택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경기 또는 놀이용구로서 사용가능하게 이루되, 일정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목재로된 타격부와 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여 타격시 충격의 완화와 동시에 경쾌한 공명음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여 그로부터 얻을수 있는 유희 및 오락성을 배가시키고, 타격상황에 따라 스틱과 타격구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변형, 사용가능하게 하며, 그 구조 및 제작이 간단하여 염가에 널리 보급시킴으로서 생활 체육의 저변을 확대시킬수 있는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A BATTING TOOL}
본 발명은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국 전통놀이인 비석치기, 필드하키, 게이트볼, 골프, 폴로, 그라운드골프등과 유사한 놀이 또는 다양한 경기방식을 채택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경기 또는 놀이용구로서 사용가능하게 이루되, 일정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목재로된 타격부와 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여 타격시 충격의 완화와 동시에 경쾌한 공명음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여 그로부터 얻을수 있는 유희 및 오락성을 배가시키고, 타격상황에 따라 스틱과 타격구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변형, 사용가능하게 하며, 그 구조 및 제작이 간단하여 염가에 널리 보급시킴으로서 생활 체육의 저변을 확대시킬수 있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드하키, 게이트볼, 골프, 폴로등의 스포츠경기는 규격화된 용구를 사용하고, 일정면적의 전용구장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양한 경기방식에 의해 승패를 가리거나 유희를 즐긴다.
상기에서의 스포츠경기는 경기방식 및 용품, 장소등이 제한적 요소로 작용하여 운동경기로서는 각광을 받고 있으나, 생활체육, 즉 남녀노소 누구나 이를 이용하거나 쉽게 행할수 있는 경기가 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클래식 골프경기의 경우엔 이를 이용하는 운동선수나 동호인들이 특정계층으로 제한 될수 밖에 없는데, 이는 그 이용횟수에 비해 전용구장, 즉 필드를 구성하는 경비와 운영경비에 상당한 지출이 요구되며, 대단히 넓은 면적의 전용구장을 필요로 하고 있고 또한 용품이 대단히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이를 이용하기가 매우 힘든실정이다.
또한 상기에서의 골프경기는 금속성 타격음에 의해 음향에 의한 유희성은 비교적 작고, 비거리 또는 타격수에 의해 승패를 가리는 경기 운용방식상 일반인들에게는 흥미를 끌지 못하는등의 문제가 있어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골프경기 이외 필드하키나 폴로등의 스포츠경기에는 목재를 가공하거나 이용한 용품이 일부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이는 경기운용의 특성상 스틱의 타격부 또는 타격용 볼등에 제한적으로 사용할뿐 타격음, 즉 공명음을 발생시켜 그자체로 유희성을 상승시킬수 있게 제조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둔탁한 탁격음이 발생되어 오히려 이를 축소시키려는 시도가 일부 엿보이는등의 문제가 있다.
결국, 전술한 바와같은 스포츠경기는 일부특정인에게나 주로 이용되는 고급운동에 속하고 승패를 다루는 운동경기일뿐 생활체육으로 육성되기는 여러가지의부적합한 문제가 상존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위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독일에서 개발된 컴팩트골프나 일본에서 개발된 그라운드골프등이 생활체육으로 그 저변을 확장하고 있는데, 이는 각 나라마다의 고유특성과 환경에 영향을 받아 운용되고 있기때문에 국내에는 아직까지 그 저변이 확장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클래식경기가 갖는 제반문제, 즉 대중화되지 못하고 생활체육으로서 육성되지 못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위해 연구 창출된것으로 이를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비석치기, 필드하키, 게이트볼, 골프, 폴로, 그라운드골프등과 유사한 놀이 또는 다양한 경기방식을 채택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경기 또는 놀이용구로서 사용가능하게 이루되, 일정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목재로된 타격부와 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여 타격시 충격의 완화와 동시에 타격음, 즉 경쾌한 공명음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여 그로부터 얻을수 있는 유희 및 오락성을 배가시킬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격상황에 따라 스틱과 타격구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변형, 사용가능하게 하여 그 사용의 편리성 및 유희성을 더욱 증진시키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구조 및 제작이 간단하여 염가에 널리 보급시킴으로서 생활 체육의 저변을 크게 확대시킬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a 는 도 1 의 분해 사시도,
도 2b 는 도 1 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c 는 도 2b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3 은 도 2a 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2a 의 단른 결합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상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틱의 형태와 그립의
외면을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 는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틱 2 : 타격부
5 : 전자 감응장치 6 : 작동체
7 : 스프링 11 : 그립
11a : 돌기 12 : 결합파이프
12a, 22 : 결합공 12b : 나사부
12c : 너트 13 : 고정구
21 : 관통공 21a : 공명홀
21b : 통공 23 : 파이프체
24 : 체결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에서는 목탁의 형상과 공명을 이용한 목재 타격구 및 목재볼을 규격화하여 이룸으로서 가능 하였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에 그립(11)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스틱(1) 하단에는 금속재 결합파이프(12)가 내설되고,
상기 결합파이프(12)는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1)을 갖는 일정형상의 타격부(2)가 후방측에 형성된 결합공(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공(22)은 내부에 수직공(22a)과 경사공(22b)이 각각 형성되어 이에 결합되는 스틱이 수직상태로 결합되거나, 일정 경사각을 유지한채로 결합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에서의 스틱(1)은 다면체로된 각관 또는 각봉체로 구성될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에서의 결합공에는 내부에 스틱(1)의 결합파이프(12)를 결합 할때 이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통상의 고정수단을 채택 결합 할수도 있다.
특히, 도 2b 및 도2c 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결합파이프(12)의 하단에 나사부(12b)를 형성하고, 타격부(2)의 후방 하부에는 결합공(22)과 연통된 체결공(24)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4)에 결합파이프(12)를 끼워 관통시킨후, 너트(12c)로 조여 고정하는 고정형을 제공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의 타격부(2) 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21)은 공명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인바, 이는 필요에 따라 타격부(2)를 이루는 육면부 전체에 형성하여 서로 연통될수 있게 구성할수도 있고, 상기의 관통공(21)을 다수개 불규칙 하게 형성하여 상호 연통될수 있게 함으로서 다공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이룰수도 있다.
특히 타격부(2)의 타격면은 스틱 사용자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인 것에 관계없이 양측을 혼용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상호 대칭되는 상태로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고 타격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1)에는 목재가 아닌 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원통형의 알루미늄강화소재로 구성된 파이프체(23)를 결합하여 다양한 공명음을 발생시킬수도 있게 하였으며, 이는 스틱(1) 즉, 퍼팅구의 무게 및 타격시 받는 운동의 효과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사용 가능한 일례를 보여준다.
미설명부호로서 3 은 목재 볼, 31 은 볼(3)에 형성된 관통공, 4 는 홀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해서는 고강도의 목재를 다수 구비하여 일정 형상을 갖는 타격부(2)를 다수개 제작하고, 그 육면에 다수개의 관통공(21)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타격부(2)의 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관통공(21)이 내부에서 상호 연통될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의 제작공정에 있어, 경질의 목재를 일정형틀에 끼워 절삭가공한뒤 타공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얻을수 있으므로 이를제작하는 작업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다.
물론 이때 상기에서의 타격부(2) 후방 상부측에 스틱(1)의 착탈을 위한 결합공(22)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사용자 또는 스틱(1)의 종류에 따라 타격부(2)와 스틱(1)이 결합상태에서 회전되지 않토록 사각 또는 육각, 팔각등 각형의 결합공(22)을 형성하여 이루는것은 당연하고, 이때 수직공(22a)과 경사공(22b)을 결합공 내에 형성하여 이룬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타격부(2)의 제작이 완료되면 스틱(1)의 제작이 별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에서의 결합공(22)과 일치하는 각봉체를 구비하고, 상단에 미끄럼방지 및 지압효과를 갖는 그립(11), 즉 손잡이를 결합하며, 하단에는 네크부의 보강심재 역할을 할수 있도록 금속재로된 결합파이프(12)를 끼워 고정하여 이룬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별도의 작업공정을 거쳐 구형태 또는 다면체로된 일정크기를 갖는 볼(3)을 제작하고, 이 볼(3)의 제작과정에서 볼(3)이 각면 또는 구 형태인경우 외면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다수의 관통공(31)을 교차되게 형성하여 내부에서 상호 연통될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룬다.
이와같이 상기의 용구를 제작하는 과정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여 염가 공급이 가능함으로 인해 생활체육의 저변을 확대시킬수 있는 요건을 충족시킬수 있게 됨은 물론 별도의 홀(4)을 이용해 다양한 경기방식을 채택하여 유희를 즐길수 있게 됨으로서 건강증진과 동시에 오락성을 배가시킬수 있는 유효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를 사용함에 있어 한가지 예를 들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기장소가 실내인 경우, 타격부(2)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공(22a)에 스틱(1)끝단의 결합파이프(12)가 결합되어 스틱(1)이 타격부(2) 후단에 수직의 상태로 결합될수 있게 조절함으로서 비거리를 비교적 적게할수 있다.
또한 경기장소가 실외인 경우엔 타격부(2)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공(22b)에 결합파이프(12)를 결합하여 스틱(1)과 타격부(2)가 일정경사각도를 유지할수 있게 조절함으로서 사용시 비거리가 비교적 크게 할수 있다.
상기에서의 타격부(2)와 스틱(1)의 결합상태를 유동없이 장구히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강제결합방식을 택하거나 또는 미도시 하였으나 간단한 결합부재 또는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견고히 고정할수도 있다.
상기와같은 타격부(2)와 스틱(1)의 결합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것에 관계없이 이를 범용 사용할수 있는데, 이는 타격부(2)의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구애 받지 않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틱(1)의 상면에 구성되어 있는 그립(11)을 규정에 따라 또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해 양손으로 잡고, 볼(3)을 타격하여 표적지인 홀(4)을 향해 볼을 날려주면 되는데, 이때에는 타격력 또는 퍼팅방법에 따라 다양한 공명음이 발생하여 그 유희성을 배가시키고 진동을 직접느낄수 있으며, 목재 특성상 경량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이를 즐길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에서의 퍼팅동작시 사용자가 스틱(1)을 휘둘러 볼(3)을 타격하는순간 그 타격력이 볼(3)에 미치면서 타격부(2)와 스틱(1)의 결합부인 넥크부에 스트레스가 집중될수 있겠으나 이는 보강심재 역할을 하는 결합파이프(12)가 이를 유효히 흡수하여 스틱(1)의 사용수명에는 전혀 영향주지 않고 이를 장구히 사용할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변형되어 실시될수 있는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는 스틱(1)의 결합파이프(12)를 연장 굴절시켜 끝단측에 결합공(12a)을 형성하고 타격부(2)의 후방일측에서 내측으로 끼운다음 타격부(2)의 전방 상하에서 고정구(13)로 고정하여 이룬 일례를 보여주는데, 이는 타격부(2)와 스틱(1)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하여 안전성을 상승시킨 일례를 보여준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다면체로된 스틱(1)의 상단에 결합되는 그립(11)의 형태를 보여주는 각각의 분해사시도를 보여주는데, 이는 그립(11), 즉 손잡이의 외면에 다수의 돌기(11a)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이 그립(11)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동시에 지압작용을 함께 얻을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었고, 보강심재인 결합파이프(12)를 네크부에 한정하지 않고 스틱(1)의 내면 전체에 끼워 타격시 전해 오는 타격력의 증가와 네크부를 더욱 보강한 일례를 보여준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이는 타격부(2)의 내부에 공명홀(21a)을 형성하고,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21b)과 전후방에 관통공(21)을 형성하여 마치 목탁을 칠때 발생하는 듯한 다양한 공명음을 발생시킬수 있게 구성할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도면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타격부의 내면에 소리신호 발생용 전자감응장치(5)를 설치하고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체(6)를 일측 외면에 노출시킨채 신축작동 가능하게 설치 하되,
상기의 작동체(6)는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노출면이 외면에 항상 일정한 탄지력으로 당접되어 이탈불가능 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져서 타격시 노출면에 볼(3)이 닿는순간 작동체(6)가 전자감응장치(5)를 자극함으로서 다양한 소리신호를연출하여 그 유희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는이례를 보여준다.
상기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부위 또는 특정 사용상태를 위주로 그 유희성 또는 보강작용을 갖도록 특별히 설계하였고 나머지 다른부분에 대한 작용 및 그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경기방식을 채택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경기 또는 놀이용구로서 사용가능하게 이루되, 일정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목재로된 타격부와 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여 타격시 충격의 완화와 동시에 타격음, 즉 경쾌한 공명음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여 그로부터 얻을수 있는 유희 및 오락성을 배가시킬수 있게 하였고, 타격상황에 따라 스틱과 타격부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변형, 사용가능하게 하여 그 사용의 편리성 및 유희성을 더욱 증진시킬수 있게 되었으며, 그 구조 및 제작이 간단하여 염가에 널리 보급시킴으로서 생활 체육의 저변을 크게 확대시킬수 있게 되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끝으로, 본 발명에서는 공명음을 발생시키는 관통공을 갖는 목재로된 타격부와 스틱을 특정하여 이를 위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한 공명음을 발생시키는 관통공을 갖는 목재로된 타격부와 스틱에 한정 되는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상기에서의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합성수지재 또는 비 철계 경량금속등으로 제작되어질수 있기 때문이며, 타격부의 형상 또한 다양한 형태를 유지할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은 타격부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시키거나, 스틱에 있어, 균등물의 치환, 삭제, 설계의 변경, 기타 부속장치물등의 부가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수 있어, 그 구조가 스틱과 타격부의 착탈 또는 고정형태인것에 관계없이 공명음이 발생될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 된 타격 스포츠 용구라면 이는 후술되는 본발명의 기술적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로 부터 벗어날수 없음을 미리 밝혀둔다.

Claims (7)

  1. 상부에 그립(11)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스틱(1) 하단에는 금속재 결합파이프 (12)가 내설되고,
    상기 결합파이프(12)는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1)을 갖는 일정형상의 타격부(2)가 후방측에 형성된 결합공(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공(22)은 내부에 수직공(22a)과 경사공(22b)이 각각 형성되어 이에 결합되는 스틱(1)이 수직상태로 결합되거나, 일정 경사각을 유지한채로 결합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결합파이프(12)의 하단에는 나사부(12b)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2)의 후방 하부에는 결합공(22)과 연통된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4)에 결합파이프(12)가 끼워져 관통되면 상기 나사부(12b)에 너트(12c)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1)은 다면체로된 각봉체로 구성되고, 상기 타격부(2)에 형성된 결합공(22)은 상기 스틱(1)의 외면과 일치되는 다면체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2) 몸체는 양측이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21)은 육면부 전체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상호 연통될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관통공(21)중 어느 하나에는 파이프체(23)가 끼워져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틱(1)의 결합파이프(12)를 연장 굴절시켜 끝단측에 결합공(12a)을 형성하고 타격부(2)의 후방 일측에서 내측으로 끼운다음 타격부(2)의 상하에서 고정구(13)로 고정하여 이룬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1)의 상부에 구성된 그립(11)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기(11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2)의 내면에는 소리신호 발생용 전자감응장치(5)가 설치되고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체(6)의 일면이 일측 외면에 노출된채 신축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의 작동체(6)는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노출면이 외면에 항상 일정한 탄지력으로 당접되어 신축가능하면서 이탈불가능 하게 설치된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KR1019990023143A 1999-06-19 1999-06-19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KR10034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43A KR100343945B1 (ko) 1999-06-19 1999-06-19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43A KR100343945B1 (ko) 1999-06-19 1999-06-19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028A KR20010003028A (ko) 2001-01-15
KR100343945B1 true KR100343945B1 (ko) 2002-07-22

Family

ID=1959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143A KR100343945B1 (ko) 1999-06-19 1999-06-19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72B1 (ko) * 2021-11-01 2022-03-14 김학선 골프 퍼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1772U (ko) * 1975-11-26 1977-05-28
JPS6055472U (ja) * 1983-09-27 1985-04-18 佐野 薫 運動練習具
JP3025895U (ja) * 1995-11-17 1996-06-25 株式会社南陽 ゴルフクラ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1772U (ko) * 1975-11-26 1977-05-28
JPS6055472U (ja) * 1983-09-27 1985-04-18 佐野 薫 運動練習具
JP3025895U (ja) * 1995-11-17 1996-06-25 株式会社南陽 ゴルフ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028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7022A (en) Lightweight golf club with elastomeric head
KR20010078296A (ko) 경량 흡진 호젤을 구비한 골프 퍼터
US5646911A (en) Tennis pacer
KR100343945B1 (ko) 공명음이 발생되는 타격 스포츠 용구
KR100893302B1 (ko) 당구큐용 타력강화장치
US4168064A (en) Thumb drum-paddle
CN114288630A (zh) 用于在体育竞赛中计分的系统
US4944517A (en) Golf practice club
US6899634B2 (en) Golf training aid kit and method of use
CN2287984Y (zh) 一种高尔夫击远球棍头
CN213724821U (zh) 鼓偶组合玩具
JP2508248Y2 (ja) ボ―ルゲ―ム用具
US20030060304A1 (en) Golf club toy
KR820000663B1 (ko) 타종 경기용 기구
CN112402991A (zh) 鼓偶组合玩具及其使用方法
KR200276715Y1 (ko) 유아용 야구놀이 완구
KR200264378Y1 (ko) 무게 중심이 중앙에 있는 당구용 큐
CN2497818Y (zh) 儿童音乐哑铃
KR20040083189A (ko) 골프 완구세트
US20040239034A1 (en) Basketball playing table
KR200393920Y1 (ko) 로보트펀치
KR200319100Y1 (ko) 복합적인 음정이 연출되는 리듬터치기
CA1071252A (en) Manual dexterity percussion game
KR20000021440U (ko) 탁구 라켓
KR200306584Y1 (ko) 실내스포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