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751Y1 - 식물재배용 화분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751Y1
KR200220751Y1 KR2020000031956U KR20000031956U KR200220751Y1 KR 200220751 Y1 KR200220751 Y1 KR 200220751Y1 KR 2020000031956 U KR2020000031956 U KR 2020000031956U KR 20000031956 U KR20000031956 U KR 20000031956U KR 200220751 Y1 KR200220751 Y1 KR 200220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bsorption column
pot
wall surfac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도
Original Assignee
정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도 filed Critical 정종도
Priority to KR2020000031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751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인들도 각종식물의 재배가 용이하고 교육적 효과를 가지도록 한 식물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분(1)은 흡수기둥(17)과 공급호스(32) 및 저수조(35)를 형성한 내측벽면과 외측벽면(7,8)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외측벽면(7,8)은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수분공급을 위한 저수조(35)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벽면(7)과 외측벽면(8)에는 관수구(31)와 수위표시창(9)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1)의 상단면(2)에는 저수조(35)에 물(34)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구(3)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1)의 내측하단면(22)상에는 흡수기둥(1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재배용 화분{Pot for cultivating of plants}
본 고안은 식물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의 내벽 사이에 저수조를 형성하며, 호스와 미량의 영양소가 흡착된 흡수기둥을 이용하여 식물의 발아에서 개화까지의 전과정을 관찰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 되어지는 화분의 경우 그 구성이 원형 및 기타 다각형으로 상부는 개방되며, 하방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화분 구조의 경우 그 상방에서 물을 부어 화분의 내측공간에 적층된 모래 및 기타 무기염사이를 흘러내려 하방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즉시 배출되어 주기적인 수분의 공급으로 상토내의 무기염을 영양소로 하여 식물이 성장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화분구조의 경우 식물의 재배시 수분의 공급이 일정하지 않으며, 또한, 상토내의 관수시에 화분의 상단면에 흙의 패임현상이 발생하며, 상토내로 흘러드는 물은 배출공으로 바로 흘러내려 상토내에 함유된 무기염 및 기타 영양분이 침출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로 인해 화분의 재배 식물이 영양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재배식물이 쉽게 시들어 버리기에 일반인들은 가정에서 관상용 화분의 재배가 쉽지 않아 재배되는 식물의 품종이 일부 품목에 한정되어 가정에서 재배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의 개선된 구조로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기둥(70)를 이용한 화분이 일부 개량되어 고안되었으며, 그 구성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화분의 구조에서 하방 배출구상에 흡수제(70)를 형성한다.
상기 흡수제(70)는 일정길이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일측은 화분의 하단면에 형성된 저수조(71)상에 침지되도록 구성하고, 타측은 화분의 내측공간으로 인입되어 식물의 뿌리 및 기타 무기염과 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화분의 경우 수분 공급에 있어 주기적인 물 공급없이 저수조에 형성된 물을 흡수기둥을 통해 일정량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하지만, 이상과 같은 구조의 화분은 개방된 상부로 인한 수분 증발로 건조 상태가 심하며, 하부의 경우 과습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기쉬운 상태의 상토구조를 가진다.
특히 장시간 이러한 구조로 사용될 경우 저수부위에 이끼가 발생하여 악취발생 빈도가 높으며, 식물의 생육과정에서는 특히 초기발육시에 미량원소 결핍으로 인한 별도의 영양소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만, 이는 전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이 식물의 영양상태를 쉽게 파악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 상기의 흡수기둥을 구성한 종래 화분구조의 경우 교육적 목적으로 종자에서 식물의 발아가 어려워 식물의 완전한 생육과정을 볼 수 없는 큰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식물의 초기발육 및 생육과정에서 꼭 필요로 하는 영양원소와 장기간 재배시 화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고자 항균, 방취제를 가지는 흡수기둥을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흡수기둥으로 공급되는 관수장치 및 관수원리의 개선을 통해 화분내로 물의 공급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종자로부터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여 식물의 전 생육과정을 지켜볼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관수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흡수기둥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화분
3; 물주입구
4; 고정구
8; 외측벽면
9; 수위표시창
17; 흡수기둥
31; 관수구
32; 공급호스
35; 저수조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관수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흡수기둥을 나타내는 확대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흡수기둥(17)과 공급호스(32) 및 저수조(35)를 형성한 화분벽(7,8)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분벽(7,8)은 내측벽면(7)과 외측벽면(8)을 형성한 이중벽으로 형성하고 내,외측벽면(7,8)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수분공급을 위한 저수조(35)를 형성하며, 외측벽면(8)에는 저수조(35)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표시창(9)을 더 구비한다.
상기 화분(1)의 상단면(2)에는 저수조(35)상에 물(34)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구(3) 및 내측벽면(7)에는 관수구(31)를 다수 개 형성한다.
상기 관수구(31)에는 연질의 공급호스(32)와 일측을 연결하고, 공급호스(32)의 타측은 고정구(41)를 이용하여 내측공간의 흡수기둥(17)과 연결한다.
상기 고정구(41)는 원뿔형상의 중공체로서 원뿔면(43)에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급수구(42)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41)가 삽입 고정되는 흡수기둥(17)은 화분(1)의 내측 하단면(22)에 형성된 고정돌기(16)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흡수기둥(17)은 다층구조로서 크게 각각의 층에 경계층(11',12',13')을 형성하여 상층(11), 중간층(12), 하층(13) 및 흡수기둥고정층(14)으로 구분하며,
각층이 식물의 성장에 있어 별도의 영양분의 공급 및 항균,방취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흡수기둥(17)의 상층(11)은 종자(40)의 초기발육을 도울수 있는 미량원소 및 pH조절제를 흡착시키고, 중간층(12)에는 기타 무기염 영양소를 흡착시켜 식물의 성장과정에서 필요로하는 영양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층부(13)는 장시간 수분의 함유로 일반 화분(1)에서 일어나기 쉬운 악취를 예방하기 위한 방취 및 항균제를 흡착시키고, 상기 흡수기둥고정층(14)은 화분(1)의 내측하단면(22)에 형성된 고정돌기(16)에 고정하여 유동을 막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분(1)은 물주입구(3)를 통해 공급되는 물(34)이 저수조(35)에 저장되며, 이는 공급호스(32)를 통해 흡수기둥(17)에 수분(34)을 공급하여 항상 화분(1)의 내측으로 일정량의 수분(34)을 공급함으로서 흡수기둥(17)에 흡착된 영양원소가 물에 점차적으로 녹으면서 화분(1)내의 식물(50)에 영양상태를 양호하게 함으로서 식물(50)의 성장과 발육상태를 좋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식물 뿌리의 생육단계에 맞추어 흡수기둥에 흡착된 영양소가 일정하게 공급되어, 별도의 영양분의 공급없이 저수조상에 일정한 수위만 유지시켜주면 식물의 발아와 생육과정 및 결실까지의 전 과정을 관찰할 수 있어 교육적인 효과가 크다.
특히, 일반가정에서도 식물의 재배가 용이하여 취미생활과, 실내공간의 장식에 효과를 가지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화분내에 항균, 방취제에 의하여 악취가 없으며, 식물에 따라 다양한 영양소가 흡착된 흡수기둥의 교체를 통해 보다 폭넓은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통상적인 화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화분(1)은 흡수기둥(17)와 공급호스(32) 및 저수조(35)를 형성한 내측벽면(7)과 외측벽면(8)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외측벽면(7,8)은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수분공급을 위한 저수조(35)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벽면(7)과 외측벽면(8)에는 관수구(31)와 수위표시창(9)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1)의 상단면(2)에는 저수조(35)에 물(34)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구(3)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1)의 내측하단면(22)상에는 흡수기둥(1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둥(17)은 경계층(11',12',13')으로 구획되는 상층(11), 중간층(12), 하층(13) 및 흡수기둥고정층(14)을 형성하고;
    상기 상층(11)에는 미량원소를, 상기 중간층(12)에는 기타 무기염을, 상기 하층부(13)에는 악취예방을 위한 방취, 항균제를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32)의 일측은 관수구(31)와 연결하고;
    상기 공급호스(32)의 타측은 중공체의 원뿔면(43)에 급수구(42)를 형성한 고정구(41)를 구비하여 흡수기둥(17)에 삽입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화분.
KR2020000031956U 2000-11-15 2000-11-15 식물재배용 화분 KR200220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56U KR200220751Y1 (ko) 2000-11-15 2000-11-15 식물재배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56U KR200220751Y1 (ko) 2000-11-15 2000-11-15 식물재배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751Y1 true KR200220751Y1 (ko) 2001-04-16

Family

ID=7308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56U KR200220751Y1 (ko) 2000-11-15 2000-11-15 식물재배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7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66B1 (ko) 2014-04-11 2014-06-27 (주)도시와숲 기능성 화분
KR102431365B1 (ko) * 2021-07-19 2022-09-23 (주)그레잇타임 복수개의 외벽 화분을 구비하는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66B1 (ko) 2014-04-11 2014-06-27 (주)도시와숲 기능성 화분
KR102431365B1 (ko) * 2021-07-19 2022-09-23 (주)그레잇타임 복수개의 외벽 화분을 구비하는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200220751Y1 (ko) 식물재배용 화분
US20210076581A1 (en) Organic Soil Based Automated Growing Enclosure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20070093504A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부재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200423501Y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부재
JP2587220Y2 (ja) 植木用の水等供給装置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166854Y1 (ko) 장기급수기능을갖는화분
JPH04106953U (ja) フラワー・ポツト
KR200350600Y1 (ko) 화분
KR200257482Y1 (ko) 다기능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187689Y1 (ko) 개량화분
KR20060060421A (ko) 수위계를 구비한 수조화분
KR870002055Y1 (ko) 작물 재배용 조립식 화분
KR200251230Y1 (ko) 가정용 소형 양액재배장치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JPH0525407Y2 (ko)
JP4252769B2 (ja) 給水接続口付き植物栽培用の鉢による遠隔給水
JPH08228605A (ja) 植木鉢
KR20010002902A (ko)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화분의 급수장치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