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466B1 - 기능성 화분 - Google Patents

기능성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466B1
KR101397466B1 KR1020140043496A KR20140043496A KR101397466B1 KR 101397466 B1 KR101397466 B1 KR 101397466B1 KR 1020140043496 A KR1020140043496 A KR 1020140043496A KR 20140043496 A KR20140043496 A KR 20140043496A KR 101397466 B1 KR101397466 B1 KR 10139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ner cylinder
air
water supply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정란
Original Assignee
(주)도시와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시와숲 filed Critical (주)도시와숲
Priority to KR102014004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화분이 개시되는 것으로, 화분의 내통체(10)에는 이 내통체(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복수개의 물공급관(20)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구(30)의 상면에는 체결부(31)들이 더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관(20)들의 하부가 상기 체결부(31)들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공급관(20)들이 상기 내통체(10)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상기 물공급관(20)들에는 상기 내통체(10)의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구멍(21)들이 각각 더 통공되며, 상기 물공급관(20)들의 상부를 연결하되 상기 물공급관(20)들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물유입관(2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물유입관(22)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3)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구(30)에는 상기 받침구(3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공기유입구(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32)에는 이 공기유입구(32)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기유입구(32)의 외면에 대해 다단식으로 위치되며 복수개의 공기배출구멍(33)이 통공된 공기배출구(34)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32)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32)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35) 및 이 공기공급관(35)과 연결되는 공기발생수단(36)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능성 화분{functional flowerpot}
본 발명은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식물이 식재되는 내통체와 내통체를 보호하는 외통체로 구비하되 내통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체를 더 구비하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함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통체를 판상의 부재로 접어 양단을 연결하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더 구비하여 연결작업성 및 체결력을 향상시켜 접어진 내통체가 펼쳐짐을 방지하며 식물의 뿌리측에 공기를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와 산업이 발달해 가면서 산림이나 녹지는 줄어들고 대신에 인구증가에 따른 주거공간이 늘어나, 제한된 공간내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는 화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화분은 대개 자기나 토기로 이루어지며 꽃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에 물배수구멍이 통공되어 있으며, 실내정화는 물론 실내인테리어로 활용하기 위해 꽃 등의 식물을 실내에서 가꾸는 일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화분의 재질이 자기나 토기가 아닌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화분은 먼저 물배수구멍을 통해 담겨지는 흙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토분망을 깔아준 다음 입자가 굵은 마사토나 작은 돌멩이들을 화분의 내부 바닥에 깔아준 후, 화분의 내부에 바닥흙을 깔아주어 식재되는 꽃 등의 식물에 따라 높이를 정한 다음, 꽃 등의 식물을 화분 내부 중앙에 넣고 꽃 등의 식물이 잘 고정되도록 분갈이 흙을 꽃 등의 식물의 가장자리에 둘러 채워줌으로써 화분에 꽃 등의 식물을 식재한다.
또한, 식재된 꽃 등의 식물에 필요한 물을 분무기 또는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공급하여 주는 바, 꽃 등의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물 공급시간을 갖기 때문에 물을 공급하는 주기가 일정해야 꽃 등의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또는 잎이 마르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꽃 등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실내에 옮겨 줌으로써 실내의 공기정화작용은 물론 실내의 한 공간을 정원으로 가꾸는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식물의 성장에 필수요소 중 하나인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주어야 하지만, 대개의 식물을 키우는 사용자들이 식물의 물을 주는 시간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특히,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식물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없어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하여 죽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시간에 물을 공급하여야 하지만, 대개의 식물을 키우는 사용자들이 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한꺼번에 일률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물이 너무 많거나 또는 너무 적어 식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대개 식물의 물공급이 식물이 식재된 화분위에서 물을 뿌려서 공급하기 때문에 공급된 물이 식물의 뿌리까지 도달하는데에 시간이 걸리고 뿌리에 도달하기 전에 물이 마를 경우 식물의 뿌리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식물이 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개의 화분에는 식물을 지지하고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흙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식물의 뿌리 성장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20-1998-065344호인 화분용 물공급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화분의 상면에 접착 고정설치된 분사틀 외측에 도입구를 구비하여 공간부로 공급받은 물을 원호상 등간격으로 하향개구된 복수의 분사구멍을 통해 화분 중심축으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수단 측으로 저수탱크의 물을 가압공급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주기 및 시간동안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타이머 스위치와, 상기 모터와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을 연결하도록 분기관을 선택 구비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물을 가압공급하는 모터에 의해 일정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물이 화분에 공급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물의 공급이 화분의 상부측에서만 공급됨으로써 공급된 물이 식재된 식물의 뿌리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식물의 뿌리에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식물의 뿌리성장에 그다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 20-1998-065344호(1998.11.25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92582호(2008.01.02 등록)
본 발명은 화분을 식물이 식재되는 내통체와 내통체를 보호하는 외통체로 구비하되, 내통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체를 내통체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하여 공급되는 물이 화분의 흙속으로 바로 침투되도록 하여 물 공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통체를 쉽고 간단하게 구성하여 조립식으로 화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식물의 뿌리측에 공기를 공급하여 뿌리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은, 식물이 식재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외부에 포설되는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통체에 채워지는 흙을 받쳐주는 받침구로 이루어진 기능성 화분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에는 이 내통체의 상부측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복수개의 물공급관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구의 상면에는 체결부들이 더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관들의 하부가 상기 체결부들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공급관들이 상기 내통체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상기 물공급관들에는 내통체의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구멍들이 각각 더 통공되며, 상기 물공급관들의 상부를 연결하되 상기 물공급관들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물유입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물유입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구에는 상기 받침구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공기유입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이 공기유입구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외면에 대해 다단식으로 위치되며 복수개의 공기배출구멍이 통공된 공기배출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및 이 공기공급관과 연결되는 공기발생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물배출구멍들이 통공된 물공급관은 상기 내통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내통체는 이 내통체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각에 구멍이 통공된 돌부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돌부들이 구비되는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내통체의 돌부들에 통공된 구멍과 상기 물공급관의 물배출구멍을 각각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물공급관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물유입관에는 보조연결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연결관에는 물공급펌프가 더 구비되어 물유입관에 의해 상부가 연결되는 물공급관들이 각각 구비되는 내통체를 갖는 여러 개의 화분에 각각 구비되는 물공급관들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내통체는,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지고,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에 제1체결구멍 및 제2체결구멍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구멍 및 제2체결구멍에는 체결구가 체결되어 상기 중첩부를 고정하되, 상기 체결구는, 상기 중첩부의 제1체결구멍 및 제2체결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호퍼형끼움부와; 상기 호퍼형끼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구멍 및 제2체결구멍이 구비된 내통체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으로부터 돌출되는 돌림손잡이와; 상기 호퍼형끼움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형으로 돌출되는 나선체결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화분을 구성하는 내통체에 이 내통체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이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공급이 식물이 식재된 내통체의 내부로 바로 유입될 수 있어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줄 뿐만 아니라, 공기유입구에 의해 식물의 뿌리에 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식물 뿌리성장에 큰 도움을 주고, 여러 개의 화분을 연결 구성하여 각각의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물의 공급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서로 중첩되어 원통형으로 내통체를 구비할 수 있어 내통체의 크기별로 각각 필요에 따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을 심고자 하는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내통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공기유입구가 결합된 받침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체결구에 의해 중첩부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분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은, 식물이 식재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외부에 포설되는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통체에 채워지는 흙을 받쳐주는 받침구로 이루어진 기능성 화분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10)에는 이 내통체(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복수개의 물공급관(20)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구(30)의 상면에는 체결부(31)들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관(20)들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4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화분의 크기 즉 내통체(10)에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내통체(10)의 크기에 비례하여 적절하게 물공급관(20)의 개수가 조절된다.
상기 물공급관(20)은 합성수지 재질의 관형으로 이루어거나 또는 튜브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20)들의 하부가 상기 체결부(31)들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공급관(20)들이 상기 내통체(10)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 때, 상기 물공급관(20)의 하부와 상기 체결부(31)의 끼움 결합은, 예를 들어 물공급관(20)의 하부가 상기 체결부(31)의 외부를 포설하는 구조로 끼워지거나 또는 체결부(31)의 내측으로 물공급관(20)의 하부가 끼워지는 구조 등 다양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은, 상기 내통체(10)의 내부에 먼저 흙을 채워준 다음 채워진 흙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내통체(10)의 내부에 채워지는 흙은 상기 받침구(30)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식물을 식재한 후 필요할 때 상기 물공급관(20)들을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물을 공급하여 주면 되는 것으로, 상기 물공급관(20)들에는 상기 내통체(10)의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구멍(21)들이 각각 더 통공되고, 상기 물공급관(20)들의 상부를 연결하되 상기 물공급관(20)들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물유입관(2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물유입관(22)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3)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내통체(10)에 채워진 흙의 상면에 물을 뿌려주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입구(23)측으로 물을 부워줌으로써 상기 물유입관(22)을 타고 물이 물공급관(20)의 내부로 공급되어 물공급관(20)의 물배출구멍(21)들을 통해 흙의 내부로 바로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식물의 뿌리부분에 빠르게 물이 공급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에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의 물을 공급하더라도 공급되는 물이 흙의 내부로 직접 유입되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적당량의 물을 공급함에 따라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 화분에 물을 줄 경우 화분에 채워진 흙의 상부에 물을 부어 줌으로써 부어진 물이 흙의 상부로부터 흙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는 바, 이 때 흙에 충분하게 물이 공급됨을 알 수 있는 것이 화분의 바닥측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화분의 바닥면측으로 물이 흘러 나올 때 까지 물을 공급하여야 함으로써 물의 낭비성을 가져왔으나, 본 발명은 물공급관(20)을 통해 흙의 내부로 물을 직접 공급하여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적당한 물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은 상기 받침구(30)에 상기 받침구(3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공기유입구(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32)에는 이 공기유입구(32)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기유입구(32)의 외면에 대해 다단식으로 위치되며 복수개의 공기배출구멍(33)이 통공된 공기배출구(3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32)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32)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35) 및 이 공기공급관(35)과 연결되는 공기발생수단(36)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발생수단(36)은 에어콤프레셔 등과 같이 공기를 발생하는 장치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32)와 공기공급관(35)의 연결은, 상기 공기유입구(32)의 하부에 상기 공기공급관(35)을 끼워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공기유입구(32)의 하부측 다시 말해, 상기 공기공급관(35)이 끼워지는 공기유입구(32)의 하부측 외주면에 고정쐐기(미도시) 등이 더 구비되어 상기 끼워진 공기공급관(35)이 공기유입구(32)의 하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공기유입구(32)는, 상기 공기발생수단(36)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관(35)을 타고 상기 공기유입구(32)측으로 유입되고, 공기유입구(32)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상기 공기유입구(32)의 외면에 다단식으로 위치된 공기배출구(34)측으로 전달되며 공기배출구(34)에 통공된 복수개의 공기배출구멍(33)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내통체(10)의 내부에 충진된 흙의 내부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주고,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내통체(10)의 내부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공기가 전달되어 식물의 뿌리성장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통체(10)는 이 내통체(10)의 표면(11)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각에 구멍(12)이 통공된 돌부(13)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관(20)은 상기 돌부(13)들이 구비되는 내통체(10)와 상기 외통체(4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내통체(10)의 돌부(13)들에 통공된 구멍(12)과 상기 물공급관(20)의 물배출구멍(21)을 각각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물공급관(20)의 내통체(10)와 외통체(40) 사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상기 연결관(50)에 의해 물공급관(2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내통체(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물공급관(20)이 내통체(10)와 외통체(40) 사이에 위치되면 물공급관(20)이 내통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내통체(10)의 내부에 채워진 흙에 의해 물공급관(20)의 물배출구멍(21)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은, 상기 물공급관(20)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물유입관(22)에는 보조연결관(24)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연결관(24)에는 물공급펌프(6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물유입관(22)에 의해 상부가 연결되는 물공급관(20)들이 각각 구비되는 상기 내통체(10)를 갖는 여러 개의 화분에 각각 구비되는 물공급관(20)들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을 여러 개 구비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실내에 놓아 두었을 때 각각의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도록 하는 것으로, 물공급펌프(6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보조연결관(24)을 타고 상기 물유입관(22)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물공급관(20)에 물이 전달될 수 있어 각각의 화분들의 내통체(10)의 내부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공급펌프(60)의 작동시간을 시간단위 또는 일간단위로 설정하여 줌으로써 설정된 시간에 필요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며, 이 경우 상기 보조연결관(24)이 연결된 물공급관(20)을 갖는 각각의 내통체(10)들에 식재된 식물은 물 공급시간이 서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시간대를 갖는 식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통체(10)를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지고,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14)에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에는 체결구(70)가 체결되어 상기 중첩부(14)를 고정함으로써 내통체(10)를 원통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판상으로 이루어진 내통체 부재(미도시) 양측단을 서로 포개어지도록 접어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14)를 구비하고, 이 중첩부(14)에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에 체결구(70)를 체결하여 서로 포개어져 중첩된 중첩부(14)가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원통형의 내통체(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은 내통체(10)에 서로 대응되도록 별도로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내통체(10)의 표면에 돌출된 돌부(13)의 구멍(12)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내통체(10)의 표면(1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 내통체의 부재(미도시)에 각각에 구멍(12)이 통공된 돌부(13)들을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한 후 판상의 내통체 부재 양측단을 서로 중첩되도록 접은 다음 상기 중첩부(14)에 위치되는 돌부(13)들을 서로 끼우고 돌부(13)에 통공된 구멍(12)에 상기 체결구(70)를 체결함으로써 접어진 상태의 내통체(10)가 펼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70)는, 상기 중첩부(14)의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에 각각 끼워지는 호퍼형끼움부(71)와, 상기 호퍼형끼움부(7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이 구비된 상기 내통체(10)의 표면(11)에 밀착되는 밀착편(72)과, 상기 밀착편(7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림손잡이(73)와, 상기 호퍼형끼움부(71)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형으로 돌출되는 나선체결편(7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구(70)의 돌림손잡이(73)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에 상기 체결구(70)의 호퍼형끼움부(71)를 인입시킨 후 돌림손잡이(73)를 돌리면 상기 나선체결편(74)의 회전되면서 점차적으로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측으로 끼워짐으로써 체결구(70)의 체결이 이루어져 펼쳐진 상태의 내통체 부재를 접어 본 발명인 내통체(10)를 구성함이 용이하며, 상기 나선체결편(74)에 의해 인위적인 힘을 가해 상기 체결구(70)를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으로부터 빼내지 않고서는 상기 내통체(10)가 다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내통체 11 : 내통체표면
12 : 구멍 13 : 돌부
14 : 중첩부 15 : 제1체결구멍
16 : 제2체결구멍 20 : 물공급관
21 : 물배출구멍 22 : 물유입관
23 : 유입구 24 : 보조연결관
30 : 받침구 31 : 체결부
32 : 공기유입구 33 : 공기배출구멍
34 : 공기배출구 35 : 공기공급관
36 : 공기발생수단 40 : 외통체
50 : 연결관 60 : 물공급펌프
70 : 체결구 71 : 호퍼형끼움부
72 : 밀착편 73 : 돌림손잡이
74 : 나선체결편

Claims (4)

  1. 식물이 식재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외부에 포설되는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통체에 채워지는 흙을 받쳐주는 받침구로 이루어진 기능성 화분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10)에는 이 내통체(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복수개의 물공급관(20)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구(30)의 상면에는 체결부(31)들이 더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관(20)들의 하부가 상기 체결부(31)들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공급관(20)들이 상기 내통체(10)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상기 물공급관(20)들에는 상기 내통체(10)의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구멍(21)들이 각각 더 통공되며,
    상기 물공급관(20)들의 상부를 연결하되 상기 물공급관(20)들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물유입관(2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물유입관(22)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3)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구(30)에는 상기 받침구(3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공기유입구(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32)에는 이 공기유입구(32)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기유입구(32)의 외면에 대해 다단식으로 위치되며 복수개의 공기배출구멍(33)이 통공된 공기배출구(34)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32)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32)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35) 및 이 공기공급관(35)과 연결되는 공기발생수단(36)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10)는 이 내통체(10)의 표면(11)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각에 구멍(12)이 통공된 돌부(13)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관(20)은 상기 돌부(13)들이 구비되는 내통체(10)와 상기 외통체(4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내통체(10)의 돌부(13)들에 통공된 구멍(12)과 상기 물공급관(20)의 물배출구멍(21)을 각각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20)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물유입관(22)에는 보조연결관(24)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연결관(24)에는 물공급펌프(6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물유입관(22)에 의해 상부가 연결되는 물공급관(20)들이 각각 구비되는 상기 내통체(10)를 갖는 여러 개의 화분에 각각 구비되는 물공급관(20)들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10)는,
    양단이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지고,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14)에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에는 체결구(70)가 체결되어 상기 중첩부를 고정하되,
    상기 체결구(70)는,
    상기 중첩부(14)의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에 각각 끼워지는 호퍼형끼움부(71)와;
    상기 호퍼형끼움부(7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구멍(15) 및 제2체결구멍(16)이 구비된 상기 내통체(10)의 표면(11)에 밀착되는 밀착편(72)과;
    상기 밀착편(7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림손잡이(73)와;
    상기 호퍼형끼움부(71)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형으로 돌출되는 나선체결편(7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
KR1020140043496A 2014-04-11 2014-04-11 기능성 화분 KR10139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96A KR101397466B1 (ko) 2014-04-11 2014-04-11 기능성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96A KR101397466B1 (ko) 2014-04-11 2014-04-11 기능성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466B1 true KR101397466B1 (ko) 2014-06-27

Family

ID=5113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496A KR101397466B1 (ko) 2014-04-11 2014-04-11 기능성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966A (ko) * 2016-04-20 2017-10-30 김태균 타워형 화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251U (ja) * 1992-02-27 1993-09-17 ホーチキ株式会社 自動灌水装置
KR200220751Y1 (ko) 2000-11-15 2001-04-16 정종도 식물재배용 화분
KR200257525Y1 (ko) 2001-09-26 2001-12-29 김견목 화분
KR20140051628A (ko) * 2012-10-23 2014-05-02 윤문선 화분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251U (ja) * 1992-02-27 1993-09-17 ホーチキ株式会社 自動灌水装置
KR200220751Y1 (ko) 2000-11-15 2001-04-16 정종도 식물재배용 화분
KR200257525Y1 (ko) 2001-09-26 2001-12-29 김견목 화분
KR20140051628A (ko) * 2012-10-23 2014-05-02 윤문선 화분용 급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966A (ko) * 2016-04-20 2017-10-30 김태균 타워형 화분
KR101852141B1 (ko) * 2016-04-20 2018-06-04 김태균 타워형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94B1 (ko) 다층구조 기구를 이용한 딸기 및 소형 엽채류의 재배장치
US11690334B2 (en) Hydroponic growing unit
US10701874B2 (en) Pot flower
KR101397466B1 (ko) 기능성 화분
KR101852141B1 (ko) 타워형 화분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20090090645A (ko) 가로등 화분의 급수장치
KR101327568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KR20090020887A (ko) 다단식 식물재배기
SE541315C2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of such system for plant growing
KR20140013418A (ko) 화분의 물 공급장치
KR20220021331A (ko) 다육식물 등을 위한 기능성 화분
KR20150042513A (ko) 화분용 급수장치
CN205694570U (zh) 免人工浇水盆栽实验台
KR20150042539A (ko) 화분용 급수장치
JP6083073B2 (ja) プランター、プランターの製造方法、プランターを用いた植栽方法、プランター装置、および、プランター装置を用いた植栽方法
KR101451944B1 (ko) 참나무 화분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KR20140104276A (ko) 난 재배용 화분
KR20120136668A (ko) 화분 받침대
KR101460412B1 (ko) 물이 자연 순환되는 벽천분수용 식물포트
KR20190059794A (ko) 가습기화분
KR200223999Y1 (ko) 수분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