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51Y1 -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51Y1
KR200220451Y1 KR2020000030517U KR20000030517U KR200220451Y1 KR 200220451 Y1 KR200220451 Y1 KR 200220451Y1 KR 2020000030517 U KR2020000030517 U KR 2020000030517U KR 20000030517 U KR20000030517 U KR 20000030517U KR 200220451 Y1 KR200220451 Y1 KR 200220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il
storage tank
valve
lava
ref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경섭
Original Assignee
지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경섭 filed Critical 지경섭
Priority to KR2020000030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51Y1/ko

Links

Landscapes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이나 선박등에서 발생된 폐유를 용암석을 이용하여 정제시켜 연료유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한 용암석을 이용하여 폐유를 정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에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며 소정두께를 갖는 중공체의 내부에 전자석(22)이 설치되고 용암석(1)이 만충된 후 폐유가 저장되어 폐유에 혼입된 철분과 이물질이 1차 여과되는 제 1저장탱크(2);와 유입측에는 유입밸브(100)와 활성탄필터(42)가 구비되고 유출측에 유출밸브(200)가 시설되며 상기 제 1저장탱크(2)에서 유입된 1차 정제된 폐유를 2차 정제시켜준 후 저장시키는 제 2저장탱크(4);와 일측에 전기히터(62)가 설치되고 타측에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저장탱크(4)에서 유입된 정제폐유가 저장되는 제 3저장탱크(6);로 구성되는 것으로, 저가로 구할 수 있는 용암석이 정제필터로 사용되므로 정제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며 버려지는 폐유에 의한 각종 공해를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원 재활용 차원에서도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 waste oil refine establishment by lava-stone }
본 고안은 폐유의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나 선박등에서 발생된 폐유를 용암석을 이용하여 폐유정제탱크를 거쳐 정제시켜 연료유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한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유는 많은 사용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종류가 다양하여 상세하게 열거하기는 어렵다.
다만, 본 고안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폐유는 차량이나 선박등에서 발생하는 폐엔진오일을 사용한 것으로 이를 정제시켜주면 경유수준의 연료유로 재생이 가능하다.
상기 폐엔진오일에는 여러 가지 이물질이 혼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물질을 어느 정도 여과를 시켜주어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여과는 미세한 섬유질 여과기나 종이류 여과기가 사용되나 이는 많은 양의 이물질을 감당하기 어려우며 필터를 자주 교환해 주어야 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부담이 크다.
또한 일반적으로 눈금이 조밀한 스트레이너를 사용하기도 하나 이것도 어느정도 불순물이 없는 청정유에만 한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폐유 여과용으로는 부적절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연에서 쉽게 구할수 있고 여과율이 뛰어난 다공질의 용암석을 여과용필터용도로 사용하므로써 저가의 비용으로 높은 정제효율을 얻을 수 있는 폐유 정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밸브와 유출밸브가 구비되며 소정두께를 갖는 중공체의 내부에 전자석이 설치되고 용암석이 만충된 후 폐유가 저장되어 폐유에 혼입된 철분과 이물질이 1차 여과되는 제 1저장탱크;와 일측에는 활성탄필터가 구비된 유입밸브가 타측에는 유출밸브가 시설되며 제 1저장탱크에서 유입된 1차 정제된 폐유를 2차 정제시켜준 후 저장시키는 제 2저장탱크;와 일측에 전기히터가 설치되고 타측에 유입밸브와 유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저장탱크에서 유입된 정제폐유가 저장되는 제 3저장탱크;로 구성되는 폐유정제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용암석을 충진한 폐유정제탱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폐유정제장치의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폐유정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폐유정제장치 1 : 용암석
2 : 제 1저장탱크 4 : 제 2저장탱크
6 : 제 3저장탱크 22 : 전자석
42 : 활성탄필터 62 : 전기히터
100 : 유입밸브 200 : 유출밸브
300 : 보일러 500 : 백필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탱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폐유정제장치의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폐유정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폐유정제장치(A)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며 소정두께를 갖는 중공체의 내부에 전자석(22)이 설치되고 용암석(1)이 만충된 후 폐유가 저장되어 상기 폐유에 혼입된 철분과 이물질이 1차 여과되는 제 1저장탱크(2);와 유입측에는 유입밸브(100)와 활성탄필터(4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유출밸브(200)가 장치되며 상기 제 1저장탱크(2)에서 유입된 1차 정제된 폐유를 2차 정제시킨 후 저장시키는 제 2저장탱크(4);와 일측에 전기히터(62)가 설치되고 타측에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저장탱크(4)에서 유입된 정제폐유가 저장되는 제 3저장탱크(6);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그 구성과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저장탱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폐유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는 소정두께를 갖는 중공체로써 그 내부에 전자석(22)이 설치되고 용암석(1)을 만충시킨 것으로 저장된 폐유에 혼입된 철분과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정제시킨다. 또한 상기 전자석(22)은 점검구(24)를 이용하여 수시로 소제하여 준다.
상기 제 2저장탱크(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측에 유입밸브(100)와 활성탄필터(42)가 구비되며 유출측에는 유출밸브(200)가 시설되는 소정두께를 갖는 중공체로써 상기 제 1저장탱크(2)를 거쳐 유입된 1차 정제된 폐유를 상기 활성탄필터(42)에 통과시켜 제 1저장탱크(2)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시킨 후 저장하여 정치시킨다.
상기 제 3저장탱크(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전기히터(62)가 설치되고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는 소정두께를 갖는 중공체로써 상기 제 2저장탱크(4)에서 유입된 정제폐유를 저장시킨 후 폐유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 제거시키고 폐유의 점도가 낮추어 혼입된 미세한 이물질이 쉽게 침전 제거되도록 60℃로 예열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A)를 거치는 과정에서 폐유에 혼입된 고형 또는 반고형의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되어 경유수준 정도의 사용가능한 연료유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제된 정제유는 보일러(300)와 같은 사용처에 공급되어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연소 후에 발생되는 매연 분진은 백필터(500)에서 여과시켜 환경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저장탱크(2) 내의 폐유정제필터로 사용된 용암석(1)은 사용 후에는 기름성분만 연소시켜 제거해주면 재생이 가능하므로 재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미설명 부호 30은 월류공(over-flow hole), 400은 연돌, 600은 지지대이다.
본 고안에 의한 폐유 정제 방법은 용암석을 이용하여 처치가 곤란하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폐유를 연료유로 재생시키는 것으로, 저가로 구할 수 있는 용암석이 정제필터로 사용되므로 폐유정제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며 버려지는 폐유에 의한 각종 공해를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원 재활용 차원에서도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차량이나 선박등에서 발생되는 폐유의 정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에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며 소정두께를 갖는 중공체의 내부에 전자석(22)이 설치되고 용암석(1)이 만충된 후 폐유가 저장되어 폐유에 혼입된 철분과 이물질이 1차 여과되는 제 1저장탱크(2);와 유입측에 유입밸브(100)와 활성탄필터(4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유출밸브(200)가 설치되며 상기 제 1저장탱크(2)에서 유입된 1차 정제된 폐유를 2차 정제시켜준 후 저장시키는 제 2저장탱크(4);와 일측에 전기히터(62)가 설치되고 타측에 유입밸브(100)와 유출밸브(200)가 구비되며 상기 제 2저장탱크(4)에서 유입된 정제폐유를 저장시키는 제 3저장탱크(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KR2020000030517U 2000-11-01 2000-11-01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KR200220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517U KR200220451Y1 (ko) 2000-11-01 2000-11-01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517U KR200220451Y1 (ko) 2000-11-01 2000-11-01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51Y1 true KR200220451Y1 (ko) 2001-04-16

Family

ID=7309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517U KR200220451Y1 (ko) 2000-11-01 2000-11-01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586B1 (ko) * 2000-11-01 2003-10-08 지경섭 용암석을 이용하여 폐유를 정제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586B1 (ko) * 2000-11-01 2003-10-08 지경섭 용암석을 이용하여 폐유를 정제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3949B (zh) 一种烟气脱硫系统处理油污、烟尘的方法与设备
WO2020098193A1 (zh) 取消气浮的含油污水预处理方法和装置
JP2003200014A (ja) 自動車の微粒子フィルタを洗浄する方法及び装置
CN206064151U (zh) 一种用于石油提炼过程的过滤装置
JP5945151B2 (ja) 再生油製造装置及び再生油製造方法
WO2010146636A1 (ja) 燃料製造方法および燃料製造装置
KR200220451Y1 (ko) 용암석을 이용한 폐유정제장치
US7445708B2 (en) Plant for purifying water contaminated by droplets of hydrocarbonaceous liquid
KR100400586B1 (ko) 용암석을 이용하여 폐유를 정제하는 방법
CN207862266U (zh) 一种膜式燃油净化装置
JPH09286496A (ja) ガソリンスタンドにおける潤滑油の供給並びに処理シス テム
KR20000045135A (ko) 매립가스 정제와 침출수 전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07237939A (ja) 廃水処理船
CN110872155B (zh) 油水自动分离装置及用途
CN211302186U (zh) 一种利用无机耗材去除有机污染物的设备
CN215048895U (zh) 一种除油除悬浮物过滤装置
JPH0716576A (ja) 加工部品等の洗浄廃水の浄化装置
KR920006450B1 (ko) 각종 폐유의 종말처리장치
Suleimanov et al. Main reprocessing ways of industrial waste water on the local plants
KR20120040564A (ko)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KR20240056941A (ko) 암모니아가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여 요소수로 재활용하는 방법
EP0607100B1 (en) Filter for combustion fumes
SU660694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эмульгированных нефтепродутов
KR101267311B1 (ko) 흡착 및 여과를 이용하는 오폐수 처리 시설 및 그 방법
CN114180761A (zh) 一种油田稀油废水处理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