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564A -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 Google Patents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564A
KR20120040564A KR1020100102044A KR20100102044A KR20120040564A KR 20120040564 A KR20120040564 A KR 20120040564A KR 1020100102044 A KR1020100102044 A KR 1020100102044A KR 20100102044 A KR20100102044 A KR 20100102044A KR 20120040564 A KR20120040564 A KR 20120040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tank
filter
diesel oil
hose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752B1 (ko
Inventor
신정섭
Original Assignee
신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섭 filed Critical 신정섭
Priority to KR102010010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7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폐필터로부터 경유를 1차 필터링하기 위해 내부 상단에 폐필터가 수용되며 지지하기 위한 서스(SUS)재질로 이루어지며 100 메쉬의 통공을 무수히 갖는 1차스크린과 그 하단으로 이격되는 2차스크린이 구비되고, 최하단으로 폐필터로부터 환수되는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1드레인밸브를 구성하고, 환수되는 경유를 외부로 배출하되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재질을 서스(SUS)로 하고 80 메시를 이루는 무수한 통공이 형성되는 3차스크린을 갖는 제1호스가 구비되고, 상단은 커버에 의해 커버링되는 제1필터링탱크와, 상기 제1필터링탱크에서 1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1호스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4차스크린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2드레인밸브를 구성하고, 상기 4차스크린을 통해 필터링된 경유를 필터링 하기 위한 부직포 재질의 1차여과지를 갖는 제2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필터링탱크와, 상기 제2필터링탱크에서 2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호스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5차스크린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3드레인밸브를 구성하고, 상기 5차스크린을 통해 필터링된 경유를 30 마이크론의 규격을 갖는 셀로로스 재질의 2차여과지를 갖는 제3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수집되도록 하는 제3필터링탱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폐필터로부터 회수하게 되는 경유는 자동차, 중장비, 대형화물차, 발전기, 건설기계 등의 연료로의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거니와, 폐필터의 폐기처리시에도 경유가 남아있지 않는 폐필터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매립이나 소각 등의 폐기물 처리 작업시에도 토양이나 대기 등으로의 오염정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고, 카센터나 차량정비소 등과 같이 폐필터가 상당히 수거되는 작업장에 설치하여 운영할 경우 친환경적인 산업폐기물 처리가 가능한 지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ABOLITION-FILTER'S DIESEL FUEL COLL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차, 선박, 중장비, 발전기 등의 연료 필터의 교체 교환 주기가 도래하여, 교체 후 폐기되는 폐필터와 케이스내 포함되어 있는 경유를 회수하고, 경유 탱크 청소시 발생되는 수분 및 이물질 혼합 경유와 경유 저장 탱크(드럼통) 사용시 잔존하는 깨끗하지 못한 경유와 연료장치 정비시 발생되는 더러워진 경유 등을 전량 회수하여 수분, 이물질, 부유물 등을 자연 침전 시킨 후, 스크린과 여과지 등을 활용하여 깨끗하게 분리 수집하는 과정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에너지 절약, 환경오염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행을 하거나, 대형화물차, 중장비, 발전기, 건설기계, 선박 등과 같은 디젤 엔진 등을 운전할 때 소요되는 연료로 제공되는 경유 등을 연소하기 위해서는 연소장치측으로 경유가 공급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연료 필터를 거친 후, 연소 되어 동력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료 필터는 차량 등의 주행거리 또는 운전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정 주기가 도래하게 되면, 교체 교환하여 주어야 차량의 연소 장치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따라서, 이러한 연료 필터는 주기적으로 매번 교체, 교환한 후 기존에 사용되었던 연료 필터는 산업 폐기물로 분류되어 폐기 처리되는 수순을 밟았다.
이러한 산업 폐기물은 소각 처리되지 못하고, 주로 매립되는 형태를 갖게 되어 산업계 일각에서는 이와 같이 매립 처리하거나 또는 소각 처리하게 되는데, 매립 처리될 때 연료 필터로 인해 토지의 토양이 오염되는 현상이 있고, 소각 처리시에도 연료 필터내 잔존하는 경유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발생 되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주로 소각 처리보다는 매립 처리되는 예가 많다.
종전에는 이와 같은 폐필터의 처리시 발생 되는 대기 또는 토지 오염에 주목하여, 연료 필터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연료 필터의 재활용이 이루어지더라도 폐기 처분되는 연료 필터는 존재하게 되므로, 매립되는 연료 필터로 인한 토양의 오염 현상에 따른 문제는 계속 지적되고 있는 실정임은 잘 알려진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폐필터와 케이스내에 포함되어 있는 더러워진 경유와 연료탱크 청소시 발생되는 불순물 혼합경유와 드럼통 등에 잔존할 수 있는 깨끗하지 못한 경유를 전량 회수토록 한 후, 회수된 경유의 폐필터를 매립 또는 소각처리하더라도, 토지의 오염이나 대기 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폐필터내 포함되어 폐기처분되어질 경유를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폐필터(10)로부터 경유를 1차 필터링하기 위해 내부 상단에 폐필터(10)가 수용되며 지지하기 위한 1차스크린(110)과 그 하단으로 이격되는 2차스크린(120)이 구비되고, 최하단으로 폐필터(10)로부터 환수되는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1드레인밸브(130)를 구성하고, 환수되는 경유를 외부로 배출하되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3차스크린(140)를 갖는 제1호스(150)가 구비되고, 상단은 커버(160)에 의해 커버링되는 제1필터링탱크(100)와,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에서 1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210)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1호스(150)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4차스크린(220)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2드레인밸브(230)를 구성하고, 상기 4차스크린(220)을 통해 필터링된 경유를 1차여과지(240)를 갖는 제2호스(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필터링탱크(200)와,
상기 제2필터링탱크(200)에서 2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310)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호스(250)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5차스크린(320)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3드레인밸브(330)를 구성하고, 상기 5차스크린(320)을 통해 필터링된 경유를 2차여과지(340)를 갖는 제3호스(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수집되도록 하는 제3필터링탱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중장비, 버스, 대형화물차, 발전기, 건설기계 등에 사용되는 연료필터의 교체, 교환 주기의 도래에 의해 교체 된 후 폐기되는 폐필터와 케이스내 저장되어 있는 경유를 회수하여 경유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경유의 회수가 이루어진 상태의 폐필터를 매립 또는 소각처리하더라도, 토지의 오염이나 대기 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장치인, 폐필터와 케이스내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도 2는 도 1의 각 필터링 탱크 중 제1필터링탱크를 분리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의한 경유 정유장치의 정단면을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정유장치
도 5는 도 4에 의한 경유 정유장치의 정단면을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폐필터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필터와 경유간 강제 분리 후 각 필터링탱크 중 제1필터링탱크측으로 추출된 경유가 이송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업용 폐기물로 분류되는 폐필터(10)와 케이스 등에 잔존하는 경유를 최대한 추출하여 경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필터 및 케이스에 잔존하는 경유 정유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유 정유장치는, 제1필터링탱크(100)와 제2필터링탱크(200) 및 제3필터링탱크(300)를 구비하고, 폐필터(10)를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측에 유입한 후 폐필터(10)에 잔존하는 경유를 자연 낙하시켜 포집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제1필터링탱크(100), 제2필터링탱크(200), 제3필터링탱크(300)는 그 구성이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먼저 제1필터링탱크(100)의 구조를 첨부하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폐필터(10)로부터 경유를 1차 필터링하기 위해 내부 상단에 폐필터(10)가 수용되며 지지하기 위한 1차스크린(110)과 그 하단으로 이격되는 2차스크린(120)이 구비되고, 최하단으로 폐필터(10)로부터 환수되는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1드레인밸브(130)를 구성하고, 환수되는 경유를 외부로 배출하되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3차스크린(140)를 갖는 제1호스(150)가 구비되고, 상단은 커버(160)에 의해 커버링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폐필터(10)를 제1필터링탱크(100) 측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상단의 커버(160)를 개방한 후 투입하게 되는데, 1차스크린(110)과 커버(160)간 유격거리는 비교적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폐필터(10)의 충분한 투입량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한 3차스크린(140)은 그 재질을 서스(SUS)로 하고 80 메시를 이루는 무수한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1차스크린(110)은 서스(SUS)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100 메쉬의 통공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는 달리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필터(10)를 원심분리기(500)에 의해 경유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데 폐필터(10)를 원심분리기(500)측에 투입하여 폐필터(10)내 함유되어 있는 경유를 강제 분리하여 폐필터(10) 및 케이스는 수거하고, 강제 분리되는 경유를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의 1차스크린(110)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와 상기 제2필터링탱크(200)와 상기 제3필터링탱크(300)를 순차적으로 경유이 통과되며 필터링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원심분리기(500)를 이용하여 먼저 폐필터(10)에서 경유를 추출하여 제1필터링탱크(100)측으로 유입하여 1차 및 2차스크린(110,120)을 거쳐 경유에 함유되는 불순물 등이 걸러지며 낙하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필터링탱크(100)측에 직접 폐필터(10)를 수용하여 폐필터(10)내 잔존하는 경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유낙하되어 1차 및 2차스크린(110,120)을 거쳐 경유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 등이 걸러지며 낙하되도록 하여 제1필터링탱크(100)측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측으로 저장되는 경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1차스크린(110)과 2차스크린(120)을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진 상태로 저장되지만, 미세한 불순물 즉 금속분말 등과 같은 것은 걸러지지 않은 채 상기 1,2차스크린(110,120)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1,2차스크린(110,120)을 통과한 금속분말등의 불순물은 제1필터링탱크(100) 저부에 침전되어지는데, 이러한 침전물은 제1필터링탱크(100)의 저면 외측에 구비되는 제1드레인밸브(130)를 통해 간헐적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경유내 포함되어 있는 수분등이 지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데 물과 경유의 비중 차이에 의해 물의 수면위로 경유가 떠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한 제1드레인밸브(130)를 통해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것은 물과 함께 침전된 불순물이 된다.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측으로 유입 저장되는 경유의 양이 일정 정도 저장되면, 제1호스(150)를 개방하여 제2필터링탱크(200)측으로 유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1호스(150)의 일단부에는 또 다른 3차스크린(140)을 구비하여, 1,2차스크린(110,120)을 통과하여 걸러진 경유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 재차 걸러지도록 한 후, 상기 제2필터링탱크(20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제2필터링탱크(200)는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에서 1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210)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1호스(150)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4차스크린(220)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2드레인밸브(230)를 하단 측면에 구성하고, 상기 4차스크린(220)을 통해 필터링된 경유를 1차여과지(240)를 갖는 제2호스(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후술하게 되는 제3필터링탱크(30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상기 1차여과지(240)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4차스크린(220)은 제2필터링탱크(200)의 상단측에 위치되어지거나, 상기한 제1호스(150)의 단부측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1호스(150)를 통해 유입되는 경유가 4차스크린(220)을 거쳐 낙하되도록 하였다.
제2필터링탱크(200) 역시 제1필터링탱크(100)와 동일하게 하단으로는 경유내 포함되는 미세한 금속입자등이 침전될 수 있으며 제1필터링탱크(100)에서 걸러지지 못한 수분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과 미세한 금속입자등은 제2필터링탱크(200)의 저부에 침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침전물과 수분을 제2필터링탱크(200)의 저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드레인밸브(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제2필터링탱크(200)에 일정량의 경유가 저장되면, 제2필터링탱크(200)와 제3필터링탱크(300)를 연결하는 제2호스(250)를 통해 경유는 제3필터링탱크(300)의 상단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이때 제2호스(250)의 일단부에는 1차여과지(240)를 구비하여, 제2필터링탱크(200)에 저장된 경유내 포함될 수 있는 미세한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1차여과지(240)를 통과한 경유는 제2호스(250)를 통해 제3필터링탱크(300) 상단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3필터링탱크(300)는 상기 제2필터링탱크(200)에서 2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310)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호스(250)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5차스크린(320)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3드레인밸브(330)를 하단 외측에 구성하고, 상기 5차스크린(320)을 통해 필터링된 경유를 2차여과지(340)를 갖는 제3호스(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최종적으로 깨끗한 경유가 수집되도록 하였다.
상기 2차여과지(340)는 30 마이크론의 규격을 갖는 셀로로스 여과지를 채택하였다.
제3필터링탱크(300)의 경우에 있어서도 제2필터링탱크(20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데, 도 1 또는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필터링탱크(200)의 제2호스(250) 타단부는 제3필터링탱크(300)의 상단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호스(250)를 통해 유입되는 경유는 제3필터링탱크(300) 내부 상단측에 구비되는 5차스크린(320)을 거친 후 낙하 저장되도록 하였다.
제3필터링탱크(300)의 저부측으로도 제1, 2필터링탱크(100,200)을 거치면서 걸러지지 않은 경유내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불순물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그 불순물이 침전되어 일정량 모이게 되면, 제3필터링탱크(300) 저부 외주면으로 구비되는 제3드레인밸브(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제3필터링탱크(300)측에 저장되는 경유는 상당히 정화된 상태의 경유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일정량 경유가 저장되면 외주면으로 연결되는 제3호스(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사용가능한 깨끗한 경유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제3호스(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경유의 경우에도 상당히 미세한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필터링하기 위해 제3호스(350)의 일단부에 2차여과지(340)를 구비하여 경유가 최종적으로 필터링 된 후 외부로 배출, 수집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각 제1필터링탱크(100), 제2필터링탱크(200) 및 제3필터링탱크(300)는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열 상태를 수평 상태로 연결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수평 상태로 연결하게 될 경우 제1호스(150), 제2호스(250)의 연결 상태에서 그 수위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호스(150)의 일단 즉 제1필터링탱크(100)측에서 배출되는 경유는 제2필터링탱크(200)의 상단측으로 유입되어야 하므로 제1필터링탱크(100)의 저장된 경유를 강제로 제2필터링탱크(20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1호스(150)에 모터(M)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터(M)의 구성은 제2필터링탱크(200)에서 제3필터링탱크(300)측으로 경유를 배출 저장할 경우에 제2호스(2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필터링탱크(100), 제2필터링탱크(200) 및 제3필터링탱크(300)의 배열 상태를 수직 상태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각 필터링탱크(100,200,300)를 수직 상태로 연결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각 제1,2호스(150,250)에는 모터(M)의 구성이 필요치 않게 되며, 각 필터링탱크(100,200,300)를 수직 형태로 순차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은 지지프레임(4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정유장치를 이용하여 폐필터내 잔존하는 경유를 회수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폐필터(10)를 먼저 제1필터링탱크(100)측 상단부의 1차스크린(110) 위에 커버(160)를 개방하여 다수개를 적층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분리기(500)에 폐필터(10)를 투입한 후 폐필터(10)와 경유를 분리 추출하여, 제1필터링탱크(100) 상단부의 1차스크린(110)과 2차스크린(120)을 거쳐 경유내 포함되는 입자가 큰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하고, 3차스크린(140)을 구비하는 제1호스(150)를 통해 다시 한번 필터링 되는 경유가 유동 되어 제2필터링탱크(200)측으로 유입된 다음 내부의 4차스크린(220)과 1차여과지(240)가 구비되는 제2호스(250)를 통해 제2필터링탱크(200)에서 제3필터링탱크(30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제3필터링탱크(300)의 5차스크린(320)과 제3호스(350)에 구비되는 2차여과지(340)를 거쳐 깨끗하게 정화된 경유를 배출하여 포집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각 제1필터링탱크(100), 제2필터링탱크(200) 및 제3필터링탱크(300) 저부에 각각 침전되는 침전물과 수분등은 각각의 탱크(100,200,300) 하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2,3드레인밸브(130,230,33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처리되어 별도의 폐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필터(10)로부터 회수하게 되는 경유는 차량, 선박, 중장비, 발전기 등의 각종 장치 연료로의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거니와, 폐필터(10)의 폐기처리시에도 경유가 남아있지 않는 폐필터(10)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매립이나 소각 등의 폐기물 처리 작업시에도 토양이나 대기 등으로의 오염정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 수리점 즉 카센터나 차량정비소 등과 같이 폐필터가 상당히 수거되는 작업장에 설치하여 운영할 경우 지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10; 폐필터
100; 제1필터링탱크 110; 1차스크린
120; 2차스크린 130; 제1드레인밸브
140; 3차스크린 150; 제1호스
160; 커버 200; 제2필터링탱크
210; 커버 220; 4차스크린
230; 제2드레인밸브 240; 1차여과지
250; 제2호스 300; 제3필터링탱크
310; 커버 320; 5차스크린
330; 제3드레인밸브 340; 2차여과지
350; 제3호스 400; 지지프레임
500; 원심분리기

Claims (4)

  1. 폐필터(10)로부터 경유를 1차 필터링하기 위해 내부 상단에 폐필터(10)가 수용되며 지지하기 위한 서스(SUS)재질로 이루어지며 100 메쉬의 통공을 무수히 갖는 1차스크린(110)과 그 하단으로 이격되는 2차스크린(120)이 구비되고, 최하단으로 폐필터(10)로부터 환수되는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1드레인밸브(130)를 구성하고, 환수되는 경유를 외부로 배출하되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재질을 서스(SUS)로 하고 80 메시를 이루는 무수한 통공이 형성되는 3차스크린(140)를 갖는 제1호스(150)가 구비되고, 상단은 커버(160)에 의해 커버링되는 제1필터링탱크(100)와,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에서 1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210)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1호스(150)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4차스크린(220)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2드레인밸브(230)를 구성하고, 상기 4차스크린(220)을 통해 필터링 된 경유를 필터링 하기 위한 부직포 재질의 1차여과지(240)를 갖는 제2호스(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필터링탱크(200)와,
    상기 제2필터링탱크(200)에서 2차 필터링 된 경유를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커버(310)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호스(250)의 타단이 상단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경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5차스크린(320)이 구비되고, 하단측으로 경유내 포함되어 침전되는 불순물을 빼내기 위한 제3드레인밸브(330)를 구성하고, 상기 5차스크린(320)을 통해 필터링된 경유를 필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30 마이크론의 규격을 갖는 셀로로스 재질의 2차여과지(340)를 갖는 제3호스(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수집되도록 하는 제3필터링탱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폐필터(10)를 원심분리기(500)에 의해 폐필터(10)와 폐필터(10)내 함유되어 있는 경유를 강제 분리하여 폐필터(10)는 수거하고, 강제 분리되는 경유를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의 1차스크린(110)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필터링탱크(100)와 상기 제2필터링탱크(200)와 상기 제3필터링탱크(300)를 순차적으로 경유이 통과되며 필터링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필터링탱크(100)와 제2필터링탱크(200), 제3필터링탱크(300)는 수평상태로 연결되어지되, 각 제1호스(150), 제2호스(250)에 각각 모터(M)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필터링탱크(100)와 제2필터링탱크(200), 제3필터링탱크(300)는 수직 연결되도록 하여, 각 필터링탱크(100,200,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00)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KR1020100102044A 2010-10-19 2010-10-19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KR10124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44A KR101240752B1 (ko) 2010-10-19 2010-10-19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44A KR101240752B1 (ko) 2010-10-19 2010-10-19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64A true KR20120040564A (ko) 2012-04-27
KR101240752B1 KR101240752B1 (ko) 2013-03-07

Family

ID=4614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044A KR101240752B1 (ko) 2010-10-19 2010-10-19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640Y1 (ko) * 2016-05-31 2017-11-06 윤희철 열압착식 착유기의 침전탱크용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침전탱크
CN108581614A (zh) * 2018-07-08 2018-09-28 江苏威佳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机床加工用废料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610U (ko) * 1997-12-27 1999-07-15 정대석 폐식용유 재생정제장치
KR20000004529U (ko) * 1998-08-10 2000-03-06 김형국 폐 오일 필터의 오일분리장치
KR20090116456A (ko) * 2008-05-07 2009-11-11 김용진 연료재생장치
KR100964996B1 (ko) * 2008-07-09 2010-06-21 주식회사 배큠이엔지 오일 재생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640Y1 (ko) * 2016-05-31 2017-11-06 윤희철 열압착식 착유기의 침전탱크용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침전탱크
CN108581614A (zh) * 2018-07-08 2018-09-28 江苏威佳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机床加工用废料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752B1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5151B2 (ja) 再生油製造装置及び再生油製造方法
CN104595469A (zh) 一种可使润滑油循环使用的油箱
CN110681686B (zh) 一种土壤修复全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40752B1 (ko) 폐필터에 잔존하는 경유 재생을 위한 정유장치
JP2005034752A (ja) 油水分離除去装置
KR102229515B1 (ko) 하천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원형 스크린 여과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비점오염 저감 장치
GB2466698A (en) A filter apparatus
KR200317493Y1 (ko) 유수분리조
CN209530218U (zh) 一种报废车辆油液回收装置
KR101305936B1 (ko) 친환경 워터젯 가공시스템
JPH10314796A (ja) 洗車水リサイクル装置
JPH11347319A (ja) 懸濁液中の粒子を含む液を清浄にし回収するための装置
CN210457799U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装置
RU2525941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системой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их отходов
CN209636011U (zh) 氮气减压浅层浮选过滤聚结分离工艺水处理设备
KR101929271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공정수저장조
KR20130068927A (ko)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CN206783427U (zh) 一种车载土壤渗滤脱附系统
CN215048895U (zh) 一种除油除悬浮物过滤装置
CN204275665U (zh) 带前置过滤的油水分离器
CN214693583U (zh) 一种自清洁隔油池
CN216106280U (zh) 一种可循环再利用的污水过滤装置
JP7175300B2 (ja) ろ過材洗浄方法及びろ過材洗浄システム
CN213085889U (zh) 一种用沉淀过滤方式处理废机油的再生装置
CN217567614U (zh) 机械废油的回收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