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268Y1 - 양변기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268Y1
KR200220268Y1 KR2020000028533U KR20000028533U KR200220268Y1 KR 200220268 Y1 KR200220268 Y1 KR 200220268Y1 KR 2020000028533 U KR2020000028533 U KR 2020000028533U KR 20000028533 U KR20000028533 U KR 20000028533U KR 200220268 Y1 KR200220268 Y1 KR 200220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oilet
pipe
drainag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시아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시아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시아주철
Priority to KR2020000028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268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의 배수소음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주철관으로서 이루어지며 일측단은 배수관로와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일정길이의 단부가 구비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측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을 따라서는 돌출부가 다수 형성되어지는 패킹과, 상기 패킹 전체가 삽입되어 지는 삽입홈이 하측부로 형성되고 상측부는 양변기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연결부위의 일체감을 주게 되는 것임은 물론 이완현상과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배수관로의 수명 또한 연장되는 것이며, 배수소음이 최소화 된 흐름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며, 이로서 아파트등의 하층에 거주하는 주민이 받게되는 배수소음과 누수발생의 유해환경으로 부터 보호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슬리브{A toilet stool sleeve}
본 고안은 양변기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 하게는 슬리브를 주철관으로서 구비하고 패킹으로서 연결하여 관로를 구성함으로서 연결부위의 일체감을 줌과 동시에 누수와 이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일 뿐 만 아니라 배수소음을 최소화 할수 있게 되는 양변기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가구 주택 및 아파트등에서 사용되는 양변기의 배수관로를 배관하는데 사용되는 슬리브는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어 적용되며, 이러한 슬리브는 양변기의 하측에 구비되는 연결관과 본드결합으로서 연결하여 배수관로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연결부위를 본드 결합에 의해 연결함으로서 완전히 관로가 한 몸체를 이루지 못하는 것임과 동시에 본드 연결부위에 이완현상이 발생되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임은 물론 상기의 연결부위의 본드 결합에 인해 발생되는 이완현상 및 누수되는 문제점과 합성수지재로 된 슬리브관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양변기에서 배수관로를 따라 배수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하지 못해 배수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특히 아파트등의 구조적 특성상 양변기의 배수관로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어지고 배수흐름도 이루어 짐으로서 하층에 거주하는 주민은 상기 발생되는 문제점들인 양변기의 배수소음과 누수등의 유해환경으로 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양변기용 슬리브를 주철관으로서 구비하고 패킹으로서 연결하여 관로를 구성함으로서 연결부위의 일체감을 줌과 동시에 이완현상과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일 뿐 만 아니라 배수소음을 최소화 할수 있게 되는 양변기용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변기 20 ; 배수관 30 ; 배수관로
100 ; 슬리브 110 ; 단부 200 ; 패킹
210,310 ; 삽입홈 220 ; 돌출부 300 ; 연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양변기의 하측으로 배수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양변기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의 배수소음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주철관으로서 이루어지며 일측단은 배수관로와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일정길이의 단부가 구비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측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을 따라서는 돌출부가 다수 형성되어지는 패킹과,
상기 패킹 전체가 삽입되어 지는 삽입홈이 하측부로 형성되고 상측부는 양변기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양변기용 슬리브도 양변기의 하측 배수관과 연결되어 배수관로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맥락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와, 패킹, 연결관으로서 구성하여 양변기의 배수소음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부품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은 하기와 같다.
100은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주철관으로서 이루어지며 배수흐름의 방향을 전환할수 있도록 엘보우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일측단에는 단이 진 형태로서 일정길이의 단부(11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200은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고무재질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1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10)이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측부는 밀폐된 형상을 이루며 외주연을 따라서는 밀폐력을 극대화 하고 삽입후에는 빠지지 않도록 역린 형상의 돌출부(220)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는 구성이다.
300은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합성수지재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패킹(200) 전체가 삽입되어 내장되는 삽입홈(310)이 하측부로 형성되고, 양변기(10)의 배수시 배수흐름이 용이하도록 하는 형상의 내측관로가 이루어지며, 외측은 매설되어 안정될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양변기(10)의 배수관(20)에 연결관(300)의 상측부를 연결하고, 하측부에 형성된 삽입홈(310)에는 패킹(200)을 삽입하여 내장한 다음 주철관으로서 이루어진 슬리브(100)의 단부(110)를 패킹(200)의 삽입홈(210)에 삽입하여 결합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때 패킹(200)에 역린 형태로 구비된 돌출부(220)는 연결관(300)의 삽입홈(310) 내측벽에 밀착되어 걸리는 형태를 이룸으로서 연결관(300),패킹(200),슬리브(100)가 한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그리고 슬리브(100)의 타측단은 배수관로(30)와 연결되어 배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변기용 슬리브(100)를 주철관으로서 구비하고 패킹(200)으로서 연결하여 배수관로를 구성함으로서 연결부위의 일체감을 주게 되는 것임은 물론 연결부위에 발생되는 이완현상과 누수를 원천 봉쇄하게 되고 배수관로의 수명 또한 연장되는 것이며, 주철관으로 이루어진 슬리브의 구조적 특성과 결합력을 유지하는 본드등의 매게체를 배제하고 연결관(300)에 슬리브(100)의 일측단부를 내삽한 상태에서 패킹(200)에 의해 연결부의 일체성을 이룸으로서 양변기의 배수관로를 따라 배수되는 소음이 최소화 되면서 배수 흐름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변기용 슬리브를 주철관으로서 구비하고 이 주철관의 일측단부를 패킹의 삽입홈에 삽입함과 동시에 연결관의삽입홈에 내장되는 형태로 연결하여 양변기용 배수관로를 구성함으로서, 연결부위의 일체감을 주게 되는 것임은 물론 이완현상과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배수관로의 수명 또한 연장되는 것이며, 배수소음이 최소화 된 흐름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며, 이로서 아파트등의 하층에 거주하는 주민이 받게되는 배수소음과 누수발생의 유해환경으로 부터 보호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양변기(10)의 하측으로 배수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양변기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10)의 배수소음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주철관으로서 이루어지며 일측단은 배수관로(30)와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일정길이의 단부(110)가 구비되는 슬리브(100)와; 상기 슬리브(100)의 단부(110)가 삽입되는 삽입홈(210)이 하측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을 따라서는 돌출부(220)가 다수 형성되어지는 패킹(200)과, 상기 패킹(200) 전체가 삽입되어 지는 삽입홈(310)이 하측부로 형성되고 상측부는 양변기(10)의 배수관(20)과 연결되는 연결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슬리브.
KR2020000028533U 2000-10-13 2000-10-13 양변기용 슬리브 KR200220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533U KR200220268Y1 (ko) 2000-10-13 2000-10-13 양변기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533U KR200220268Y1 (ko) 2000-10-13 2000-10-13 양변기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268Y1 true KR200220268Y1 (ko) 2001-04-16

Family

ID=7305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533U KR200220268Y1 (ko) 2000-10-13 2000-10-13 양변기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2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6003C (en) Flexible sleeve for connection to a plumbing fixture
CN113445581A (zh) 壁装式连接盒单元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KR100773378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에 결합되는 방수용 이중관고정부재의구조
KR200220268Y1 (ko) 양변기용 슬리브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DK1172490T3 (da) Indbygget cisterne
JP4119182B2 (ja) 基礎貫通部材を用いた排水管の配管構造
KR102286404B1 (ko) 배관 교체가 가능한 구조체 매립 배수이중배관 시스템
JP2003056766A (ja) 排水管継手のパッキン
KR200298096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접속구조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CN220504064U (zh) 一种排水接头
JP3130730U (ja) 排水管の接続構造
KR200181293Y1 (ko) 소음감소용 파이프
CN220134902U (zh) 马桶法兰及马桶组件
CN217537256U (zh) 一种多层建筑的卫生间地漏防漏水结构
CN219604460U (zh) 一体式台盆隔臭下水器
KR102656774B1 (ko) 샤워용 수전 조립체
KR200192781Y1 (ko) 배수전용 파이프 연결구조
KR200322625Y1 (ko) 맨홀용 하수관의 연결구조
CN206956896U (zh) 一种虹吸式地漏结构
KR200228343Y1 (ko) 배수관용 패킹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200307688Y1 (ko) 배수관용 엘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