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12Y1 -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12Y1
KR200220012Y1 KR2020000030677U KR20000030677U KR200220012Y1 KR 200220012 Y1 KR200220012 Y1 KR 200220012Y1 KR 2020000030677 U KR2020000030677 U KR 2020000030677U KR 20000030677 U KR20000030677 U KR 20000030677U KR 200220012 Y1 KR200220012 Y1 KR 200220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vehicle
handle
set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에스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에스 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에스 텔레콤
Priority to KR2020000030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12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부착하는 인대시(Indash) 제품 중 특히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된 모니터 세트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차량 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가의 모니터 세트를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dash-bord)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난 방지는 물론 관리를 안전하게 하기 위한,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 있어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단면에는 삽입구멍이 뚫려져 있고 외부의 TV, VCR, 네비게이션, CD 플레이어, 게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오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세트 하우징(Set Housing); 및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이 가능한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 하우징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본체를 포함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차량용 모니터 세트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Monitor Set Possible Of Separating For Cars}
본 고안은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부착하는 인대시(Indash) 제품 중 특히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된 모니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보급대수 및 그 이용 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차량 내에서 생활해야 하는 시간이 증대되었으며,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은 차량 내에서 많은 편의 시설 예를 들어 카 오디오, TV, CD 플레이어, 네비게이션(자동차나 선박 같은 동체가 지상이나 바다 위에서 움직일 때 그들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등과 같은 시설들을 이용할 수 있기를 바라게 되었다.
또한, 과학 기술의 발전에 의해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성능이 우수해 짐에 따라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카 오디오, CD 플레이어, 텔레비전(TV),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부착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이 고급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차량의 대시보드란,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한 보드로서 냉난방 조절장치, 카 오디오, TV, CD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등 각종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보드(board)를 말하며, 이러한 대시보드에 차량의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 중 원하는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제품들을 특히 인대시(Indash) 제품이라 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내부에 장착하는 장치(카 오디오, CD 플레이어, 텔레비전, 네비게이션 등)가 고급화되어 감에 따라 상기 장치들에 대한 도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소유자들은 차량도난경보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으나, 차량도난경보 시스템만으로는 상기와 같은 고가의 장치들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차량도난경보 시스템이 차량을 도난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경보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 상황 예를 들어 차량을 도로변에 잠시 주차 시켜놓는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장치의 도난을 목적으로 하는 자로부터 상기 장치들을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조치도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하는 LCD 모니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인대시(Indash) 타입과, 차량 내에 별도의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스탠드 타입(Stand Type), 및 셀링 타입(Celling Type) 등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 제품은 TV, CD 플레이어, VCR, Navigation, 게임기 등과 같은 장치들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자체도난방지에 대하여 무방비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가의 모니터 세트를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dash-board)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난 방지는 물론 관리를 안전하게 하기 위한,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장착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의 일실시예 좌측면도.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의 일실시예 배면도.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로부터 모니터 본체를 분리해 내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의 사용전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액정표시장치를 꺼내는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4c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액정표시장치를 꺼낸 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4d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액정표시장치를 꺼내어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모니터 본체 211 : 핸들
212 : 제 1 핸들 락 브래킷 213 : 제 2 핸들 락 브래킷
214 : 핸들 레버 215 : 커넥터
216 : 액정표시장치(LCD) 217 : 꺾임장치
220 : 세트 하우징 221 : 커넥터 연결부
222 : 삽입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 있어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단면에는 삽입구멍이 뚫려져 있고 외부의 TV, VCR, 네비게이션, CD 플레이어, 게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오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세트 하우징(Set Housing); 및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이 가능한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 하우징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본체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고정타입으로 출시된 인대시(Indash) 제품 중 특히 모니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난 방지를 위해 세트 하우징(Set housing)과 20핀(pin) 커넥터를 이용하여 LCD 모니터를 차량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소비자가 휴대이동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장착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도면에는 모니터 본체(210)와 액정표시장치(216)만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들이 모니터 본체(210) 내의 액정표시장치(216)를 통해 TV, VCR, 네비게이션,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세트 하우징 부분은 대시보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도면상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세트의 구성은 아래에서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며, 모니터 본체(210)를 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 대하여는 도 3a 내지 도 3c 를, 차량 내에서 모니터 본체(210)를 사용하는 상태에 대하여는 도 4a 내지 도 4d 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의 일실시예 좌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의 일실시예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는, 모니터 세트를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세트 하우징(Set Housing)(220) 및 모니터 본체(210)로 구성되어 있다.
세트 하우징(220)의 상단면에는 모니터 본체(210)의 돌출부분이 들어올 수 있도록 삽입구멍이 뚫려있어 모니터 본체(210)가 세트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면에는 모니터 본체(210)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221)가 있다.
또한 모니터 본체(210)는, 상기 모니터 본체를 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들이 잡아당기게 되는 부분으로서 그 끝 부분에는 핸들 레버(214)가 장착되어 있는 핸들(Handle)(211), 세트 하우징의 삽입구멍에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모니터 본체를 세트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고정 축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 2 핸들 락 브래킷(Handle Lock Bracket)(213),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 본체를 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핸들을 아래로 내리는 경우에 핸들 레버와 접하는 부분은 올라가게 되며 제 2 핸들 락 브래킷과 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한 쪽은 내려가게 됨으로써 제 2 핸들 락 브래킷이 세트 하우징의 삽입구멍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고정 축으로 모니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핸들 락 브래킷(Handle Lock Bracket)(212), 영상신호와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입출력신호를 받을 수 있는 커넥터(215) 및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세트 하우징(220)의 삽입구멍 및 모니터 본체(210)의 액정표시장치는 도 2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세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 4a 내지 도 4d 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로부터 모니터 본체를 분리해 내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3a 내지 도 3c 에서 세트 하우징(Set Housing)(220)은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고정된 상태로 이용되며, 상기 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모니터 본체(210)를 분리해 내는 과정을 도 3a 내지 도 3c 에서 차례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a 는 모니터 본체(21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세트 하우징(220)에 장착시켜놓은 상태로서 사용자들이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중 모니터 본체(210)내의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본체(210)의 제 2 핸들 락 브래킷 (213)의 끝 부분이 세트 하우징의 삽입구멍으로 돌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니터 본체(210)가 세트하우징(220)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세트 하우징(220)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모니터 본체(210)를 사용하던 사용자가 차량을 장시간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 본체(210)를 차량 즉 세트 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우선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Handle)(211)을 아래로 내리게 된다.
즉, 핸들(211)을 아래로 내리게 되면 핸들의 레버(214)가 제 1 핸들 락 브래킷(212)을 위로 올려주게 되며, 이때 제 1 핸들 락 브래킷(212)은 모니터 본체(210)가 세트 하우징(22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시키고 있는 제 2 핸들 락 브래킷(213)을 아래로 내려 준다.
제 2 핸들 락 브래킷(213)이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 모니터 본체(210)가 세트 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여건이 되며, 이 상태에서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11)을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모니터 본체(210)가 세트 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분리된 모니터 본체(210)는 휴대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모니터 본체(210)를 세트 하우징(220)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의 역 과정을 통해 모니터 본체(210)가 세트 하우징(220)에 장착되게 되며, 사용자는 단순히 모니터 본체(210)를 세트 하우징(220)에 끼우고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가볍게 밀어 넣어 주기만 하면 된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액정표시장치를 꺼내어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의 사용전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평면도, 전면도, 좌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평면도에는 상기 도 2a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세트 하우징(220)의 삽입구멍(222)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면도에는 상기 도 2a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니터 본체(210)의 액정표시장치(216)가 도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도면에는 세트 하우징(220), 모니터 본체(210), 핸들(211), 커넥터 연결부(221)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액정표시장치를 꺼내는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도 4a 와 마찬가지로 평면도, 전면도, 좌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b 는 도 4a 에 도시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모니터 본체(210) 내부에 들어있던 액정표시장치(216)를 외부로 빼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TV, VCR, CD 플레이어, Navigation, 게임기 등과 연결된 액정표시장치(216)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본체(210)로부터 액정표시장치(216)만을 꺼내어 쓸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c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액정표시장치를 꺼낸 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도 4a 및 도 4b 와 마찬가지로 평면도, 전면도, 좌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c 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꺽임장치(217)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216)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도면의 하단에 도시된 전면도와 같은 상태로 액정표시장치(216)를 통해 TV, VCR, CD 플레이어, Navigation, 또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d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서 액정표시장치를 꺼내어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좌측면도로서, 도 4c 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216)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모니터의 손쉬운 분리 결합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휴대이동이 가능하므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트 하우징(Set Housing)에 부착된 20핀 커넥터만 별도로 구비한다면, 차량에서 뿐만이 아니라 어느 곳에서든지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에 있어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단면에는 삽입구멍이 뚫려져 있고 외부의 TV, VCR, 네비게이션, CD 플레이어, 게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오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세트 하우징(Set Housing); 및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이 가능한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 하우징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본체
    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본체는,
    상기 모니터 본체를 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들이 잡아당기게 되는 부분으로서 그 끝 부분에는 핸들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핸들(Handle);
    세트 하우징의 상기 삽입구멍에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모니터 본체를 세트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고정 축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 2 핸들 락 브래킷(Handle Lock Bracket);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 본체를 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핸들을 아래로 내리는 경우에 핸들 레버와 접하는 부분은 올라가게 되며 제 2 핸들 락 브래킷과 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한 쪽은 내려가게 됨으로써 제 2 핸들 락 브래킷이 세트 하우징의 삽입구멍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고정 축으로 모니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핸들 락 브래킷(Handle Lock Bracket);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 신호와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입출력신호를 받아 상기 액정표시 장치에 전송시키기 위한 커넥터
    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커넥터 연결부가 있어 차량내의 전기 배선 및 외부의 TV, VCR, 네비게이션, CD 플레이어, 게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오는 영상 신호를 상기 모니터 본체의 커넥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KR2020000030677U 2000-11-02 2000-11-02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KR200220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77U KR200220012Y1 (ko) 2000-11-02 2000-11-02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77U KR200220012Y1 (ko) 2000-11-02 2000-11-02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12Y1 true KR200220012Y1 (ko) 2001-04-16

Family

ID=7308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677U KR200220012Y1 (ko) 2000-11-02 2000-11-02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756B2 (en) Navigation apparatus
US20060098094A1 (en) Portable wireless rearview camera system for a vehicle
US20100090870A1 (en) Navigation apparatus
JP2005041478A (ja) ブレーキインターロック機能解除方法および装置
KR200220012Y1 (ko) 분리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세트
EP3514621B1 (en) Camera system
JPH02144242A (ja) 車載用受像装置
US20090002487A1 (en) Portable Vehicle Mounted Monitoring System
JPH07266845A (ja) オート・エアコン操作機能を有する車載用テレビジョン
WO2001002215A1 (en) Imaging system for vehicles when overtaking
US20030098785A1 (en) Vehicle back-up alarm sensor for electrical trailer contact
KR200246996Y1 (ko) 차량의 시야 확보용 모니터링장치
JP3189554B2 (ja) 映像モニター付車載用装置
KR200296115Y1 (ko) 차량용 액정 모니터 거치대
JP2002012090A (ja) 車載用モニタースタンド装置
CN214985121U (zh) 车用视屏主机具转接结构
JP2010023751A (ja) 車載装置
JP2585053Y2 (ja) 車載用電子機器
JPH0579783U (ja) 車載用機器
KR100522812B1 (ko) 영상 시스템의 휴대 및 설치용 케이스
JP3321967B2 (ja) 車載用映像モニター取付装置
JP3415691B2 (ja) 車載用電子機器の取付装置
JPS60157941A (ja) 車載用テレビジヨン受像装置
KR100522808B1 (ko) 영상 시스템의 휴대 및 설치용 케이스
JPH05193420A (ja) 電子機器の車載取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