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829Y1 - 용융로 배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융로 배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829Y1
KR200219829Y1 KR2019980028441U KR19980028441U KR200219829Y1 KR 200219829 Y1 KR200219829 Y1 KR 200219829Y1 KR 2019980028441 U KR2019980028441 U KR 2019980028441U KR 19980028441 U KR19980028441 U KR 19980028441U KR 200219829 Y1 KR200219829 Y1 KR 200219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furnace
hood
furnace
mel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333U (ko
Inventor
최중훈
Original Assignee
김인택
녹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택, 녹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인택
Priority to KR2019980028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82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3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829Y1/ko

Links

Landscapes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철 등의 용융작업시 용융로 주변을 완전히 밀폐하여 유해한 배기가스만을 완전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용융로 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철 등의 장입물을 용융하고, 용융물을 배출하는 탕로(102)가 형성된 용융로(100); 상기 용융로(100)의 개구부 주변을 상방에서 덮을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후드(110); 조절봉(122)에 의해 상기 후드(110)에 장착되어, 상기 용융로(10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120); 및 상기 후드(110)에 연결되는 배기덕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110)는 상기 용융로(100)의 지지면(104)에 피봇연결되어, 장입물의 용융시 용융로(100)의 개구부 주변을 밀폐하며, 상기 후드(110)에 장착된 상기 덮개(120)는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배기시스템을 특징으로 하고, 유해개스의 배기효율을 높이고 유지보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융로 배기시스템
본 고안은 용융로의 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융작업시 용융로 주변을 완전히 밀폐하여 유해한 배기가스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용융로 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철 등을 용융하는 용융로에서는 장입물에 포함된 유해성분 때문에 장입물의 용융시 인체에 유해한 개스가 발생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유해개스를 외부로 배출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용융로에서 유해개스를 배출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대부분 용융로(10) 상부에 후드형 배기구(20)를 설치하고, 이 배기구(20)에 연결된 배기덕트(30)에 송풍기(도시안됨)를 설치하여 용융시 발생하는 유해개스를 강제로 흡입하는 장치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융로에서 배기구(20)가 떨어져 있는 개방형 배기장치에서는, 송풍기를 작동시켜 유해개스를 흡입할 때 유해개스는 물론 용융로 주변의 실내공기도 함께 배기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송풍기가 유해개스와 실내공기를 함께 흡입할 수 있어야만 하므로, 송풍기의 흡입력이 커야만 하고, 유해개스 외에 깨끗한 공기까지 배기되므로 배기 효율이 떨어진다. 즉, 배기효율은 낮으면서도 송풍기가 대형화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가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융로 주변을 밀폐하여 실내의 깨끗한 공기를 제외한 유해개스만을 외부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유해개스 배기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은 물론 송풍효율도 향상시켜 유지보수비도 절감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융로 배기후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융로 배기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용융로 배기시스템이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용융로의 출탕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융로 102.. 탕로
110.. 후드 120.. 덮개
130.. 배기덕트
상기 목적은, 고철 등의 장입물을 용융하고, 용융물을 배출하는 탕로(102)가 형성된 용융로(100); 상기 용융로(100)의 개구부 주변을 상방에서 덮을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후드(110); 조절봉(122)에 의해 상기 후드(110)에 장착되어, 상기 용융로(10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120); 및 상기 후드(110)에 연결되는 배기덕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110)는 상기 용융로(100)의 지지면(104)에 피봇연결되어, 장입물의 용융시 용융로(100)의 개구부 주변을 밀폐하며, 상기 후드(110)에 장착된 상기 덮개(120)는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배기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용융로 배기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기시스템은 하단이 개방되고 상판(122)과 4개의 측판(114)으로 구성된 후드(110)가 힌지(116)에 의해 여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융로(100)는 대략 원통형으로서 출탕로(102)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면(104) 밑으로 장착되고, 용융로 내부에 고철 등의 장입물이 장입되어 용융되는 것이다.
상기 후드(110)의 내부에는 용융로(100)의 입구를 막을 수 있는 크기의 덮개(120)가 조절봉(122)에 의해 상기 후드(110)의 상판(112)에 현수되어 있다(도 2 참조). 또, 후드(110)의 측면에는 배기덕트(130)가 연결된다. 상기 배기덕트(130)는 어떤 형상도 가능하지만, 후드(110)의 피봇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용융물을 용융중인 용융로(100) 위를 후드(120)로 완전히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10)의 측판(114) 하단부는 닫힌 상태에서 지지면(104)에 밀착된다. 그리고, 덮개(120)는 조절봉(122)을 조절하여 용융로(100)의 입구에서 약간 떨어지도록 한다. 덮개(120)는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화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상태에서, 용융로(100)를 가열하여 장입물을 용융시키면 유해개스가 발생한다. 발생된 유해개스는 용융로(100) 입구와 덮개(120)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와 후드(110) 내부 공간을 통해 배기덕트(130)로 배출된다.
또, 용융되는 과정에서, 송풍기(도시 안됨)가 가동하여 후드(110) 내부의 공기(주로 유해개스임)를 흡입할 때 탕로(102) 주변에 개방된 후드 측판의 개구부(118)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후드(110) 내부로 유입되어 용융로(100)에서 배출된 뜨거운 유해개스와 혼합되어 배기덕트(130)로 배출되므로 배기개스의 온도는 생각보다 높지 않아 약 20~40℃ 정도이다(도 4 참조). 따라서, 고온에 의한 배기시스템의 열화는 거의 없다.
도 4는 장입물을 완전히 용융한 뒤, 용융물을 출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용융로(100)와 후드(110)를 함께 피봇하여 탕로(102)를 통해 용융물을 배출한다. 도면에는 개구부(118)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개구부(118)에 별도의 덮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는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는 박스형 후드로 구성된 배기시스템을 예를 들어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박스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융로 입구 주변을 외부와 차단하여 유해개스만을 배출시키는 구조는 모두 본 고안의 실시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융로에서 장입물이 용융될 때 용융로의 입구를 주변의 깨끗한 공기에서 완전히 차폐하여, 유해개스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을 유지하는 송풍기의 용량이 작아도 되고, 배기효율도 종래에 비해 대폭 향상되므로 유지보수비를 대폭 절감하면서 용융로 주변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부수적으로 용융작업시 용융물이 외부로 튀는 것도 방지하므로 작업의 안정성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철 등의 장입물을 용융하고, 용융물을 배출하는 탕로(102)가 형성된 용융로(100);
    상기 용융로(100)의 개구부 주변을 상방에서 덮을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후드(110);
    조절봉(122)에 의해 상기 후드(110)에 장착되어, 상기 용융로(10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120); 및
    상기 후드(110)에 연결되는 배기덕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110)는 상기 용융로(100)의 지지면(104)에 피봇연결되어, 장입물의 용융시 용융로(100)의 개구부 주변을 밀폐하며, 상기 후드(110)에 장착된 상기 덮개(120)는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배기시스템.
KR2019980028441U 1998-12-31 1998-12-31 용융로 배기시스템 KR200219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41U KR200219829Y1 (ko) 1998-12-31 1998-12-31 용융로 배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41U KR200219829Y1 (ko) 1998-12-31 1998-12-31 용융로 배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33U KR19990014333U (ko) 1999-04-26
KR200219829Y1 true KR200219829Y1 (ko) 2002-03-09

Family

ID=6950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441U KR200219829Y1 (ko) 1998-12-31 1998-12-31 용융로 배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8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41B1 (ko) 2018-07-31 2020-01-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용융로 배기관 냉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33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6113C2 (ru) Наклонная печь
KR200219829Y1 (ko) 용융로 배기시스템
RU2495941C2 (ru) Электродуговая печь
JP3193814B2 (ja) 材料投入装置を備える誘導炉
CN105806088A (zh) 一种用于电弧炉、精炼炉的烟尘捕集装置以及烟尘捕集方法
CN115839619A (zh) 一种真空底吹感应电炉
US4410166A (en) Gas collector for metallurgical vessels
JPH1089856A (ja) 電気炉のスクラップ炉頂予熱装置
JPS6136159Y2 (ko)
CN213924965U (zh) 一种便捷清理的高纯铝提纯炉
JP3050756B2 (ja) ごみ焼却灰のプラズマ溶融炉
JPH0875369A (ja) 真空溶解炉及びその操作方法
CN213989651U (zh) 一种电力柜散热装置
CN218006724U (zh) 一种新型电气自动化控制箱
JPS6219905Y2 (ko)
CN219511300U (zh) 一种电熔炉的余热利用型分流结构
JP5248136B2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用バケットの粉塵飛散防止装置および粉塵飛散防止方法
CN114413622A (zh) 一种密闭式熔融机水冷熔融室
JPH0922776A (ja) 電気炉における電極シール装置
JPH09133471A (ja) アーク炉の炉蓋シール装置
JPS5924956Y2 (ja) 排ガス循環焼結機
JPH029358Y2 (ko)
JPH0961066A (ja) 炉頂予熱装置におけるスクラップ装入装置
JPS6137543B2 (ko)
JPH08136164A (ja) 電気炉における電極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