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567Y1 - 해수교환 방파제 - Google Patents

해수교환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567Y1
KR200219567Y1 KR2020000032519U KR20000032519U KR200219567Y1 KR 200219567 Y1 KR200219567 Y1 KR 200219567Y1 KR 2020000032519 U KR2020000032519 U KR 2020000032519U KR 20000032519 U KR20000032519 U KR 20000032519U KR 200219567 Y1 KR200219567 Y1 KR 200219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water
blue
concrete
sea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회
Original Assignee
양원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회 filed Critical 양원회
Priority to KR2020000032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567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도의 파랑을 차단함으로써 내해의 부두등에 정박한 선박이나 각종 항만시설물을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구축하는 방파제에 있어서 방파제의 외해측 상단에는 파랑이 소파될 수 있도록 소파블럭을 정적 또는 난적하고 내해측으로는 수평격벽을 다수단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여 설치하고 이 수평격벽의 내해측을 하향되게 만곡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소파블럭을 통과한 파랑이 수평격벽과 수평격벽의 만곡부와 부딪쳐 완전히 소파될수 있도록하고 밀물과 썰물에 관계없이 파랑을 소파할수 있도록한 시설인바, 방파제의 하단측으로는 밀물 또는 썰물에 따라 해수가 자유롭게 통수되어 내해측 해수와 외해측 해수가 교환되게함으로써 항상 청정한 수질의 해수가 내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 방파제의 구조에 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해수교환 방파제{Breakwater exchanging seawater}
본 고안은 해양구조물의 하나인 방파제의 구축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통상 해안은 방파제를 기준으로 외해측과 내해측으로 나누어지고 외해측에서 끊임없이 밀려오는 크고 작은 파랑은 방파제체에 의하여 파랑이 차단되게되어 내해측에 정박하고 있는 각종 선박 및 항만시설물들을 파랑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정온이 유지되게하고 외해측과 내해측의 해수가 교류되어 청정한 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구축되는 방파제체는 그 구조상 외해측에는 파랑이 소파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둥(4) 상단에 소파블럭(5)을 정적 또는 난적하고 내해측 상단에는 외해측에서 소파블럭을 통과한 파랑을 완전히 소파할수 있도록 콘크리트 격벽(7)을 설치하고 하단부로는 밀물 또는 썰물에 따라 내해측 해수와 외해측해수가 교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파제를 본 고안의 출원인이 본 고안 출원 이전에 최초로 '해수교환 방파제'라는 명칭으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4404호로 선출원하여 등록 하였던바, 이 고안은 방파제 하단부로 내해측 해수와 외해측 해수가 교환되어 청정한 해수를 유지할수는 있으나 외해측에서 밀려오는 파랑을 소파하기 위하여 외해측에는 콘크리트 기둥(4) 상단에 소파블럭(5)을 정적 또는 난적하고 내해측에는 외해측에서 소파블럭을 통과한 파랑을 소파하도록 콘크리트 벽체(6)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콘크리트 벽체(6) 상단부에 다수개의 통수공이 천설된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격벽(7)을 일정거리로 균일하게 이격하여 내해측으로 점차 길이가 길어지게 연설함으로써 조위차가 없는 곳에서는 제 기능을 하여 내해측의 수면이 정온을 유지하나 조위차가 심한곳의 저조시에는 파랑이 그대로 내해측으로 통과되어 내해측의 부두등에 정박한 선박이나 각종 항만시설물등을 파랑으로부터 보호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은 종래의 해수교환방파제의 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해수교환방파제의 일부절결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해수교환방파제의 횡단면도
도 4 는 도 3 에서의 A-A' 시선으로 본 내해측 구조물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외해측구조물 2.해저면 3.사석기초단 4.콘크리트기둥
5.소파블럭 6,12,12a,12b.콘크리트 벽체 7.콘크리트 격벽
8,15.캡콘크리트 10.내해측구조물 11.콘크리트 하단면
13.수평 격벽 13a.만곡부 14.콘크리트 상판
16.밀물 17.썰물
본 고안은 본 고안출원인의 선출원한 고안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4404호 '해수교환 방파제'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개량한 고안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외해측에서 끊임없이 밀려오는 파랑은 밀물때와 썰물때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소파가 되면서 외해측과 내해측의 해수가 교환되게 함으로써 내해의 수질이 항상 청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방파제의 구조에 대하여 안출한 고안으로서 본 고안상으로 실시 구축되는 방파제체는 형태상 일종의 혼성 방파제로서 외해측구조물(1)과 내해측 구조물(10)로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연설되는 방파제체로서 먼저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외해측 구조물(1)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외해측 구조물(1)은 해저면(2) 상면에 일정한 높이의 사석기초단(3)이 수평적으로 조성되고 이 사석기초단(3) 상면에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하단면을 매설하되 이 콘크리트 하단면의 다수곳에 일정한 높이의 콘크리트 기둥(4)들을 입설하고 이 콘크리트 기둥(4)들의 상단에 일정한 기울기의 콘크리트보를 다수줄 설치하고 이 콘크리트 보 상단에 일정한 단위 소파블럭(5)을 정적 또는 난적하여서 외해측구조물(1)의 구조를 구성하고 이러한 외해측구조물(1)의 내해측과 연설되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고안의 문제점을 개량한 본 고안의 내해측구조물(10)의 구조는 해저면(2) 상면에 일정한 높이의 사석기초단(3)이 수평적으로 조성되고 이 사석기초단(3) 상면에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하단면(11)에 다수개(도면 도 4상으로는 3개)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 콘크리트 벽체(12)(12a)(12b)를 수직으로 연설하고 이 콘크리트 벽체(12)(12a)(12b)상단에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상판(14)이 연설되며 각각의 콘크리트 벽체(12)(12a)(12b)사이에는 일정한 두께의 수평격벽(13)을 다수단(도면 도 3상으로는 6개) 상,하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여 각 콘크리트벽체(12)(12a)(12b) 벽면과 일체로 연결 설치하고 이 각 수평격벽(13)의 내해측 선단부를 하향되게 만곡부(13a)를 형성하도록 하여 내해측구조물(10)을 구성하며 이 내해측구조물(10) 상단면에는 캡콘크리트(15)를 상치하여 이러한 외해측구조물(1)과 내해측 구조물(10)을 방파제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하여서 본 고안상의 해수교환 방파제의 전체구조를 구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은 밀물이고 (17)은 썰물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외해측 구조물(1) 상측부에는 정적 또는 난적되어 있는 소파블럭(5)이 외해측에서 밀려오는 파랑을 1차적으로 소파하고 계속 통과 되는 파랑은 첨부한 도면 도 3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간만의 차가 심한 지역에서도 내해측 구조물(10)의 다수단 연설되어 있는 수평격벽(13)에 파랑의 파봉 또는 파곡이 부딪치게 되어 2차 소파되어 파력이 약해지고 약해진 파랑은 다시 내해측으로 하향되어 있는 만곡부(13a)에 부딪쳐 3차 소파되며 만곡부(13a)를 통과한 파랑은 내해측의 수면하로 유입됨으로 내해측의 해수속으로 흡수 소멸되어 내해측 표면수위는 상승하게되나 파랑이 발생하지 않아 내해측 해수면은 정온을 유지하게 되는 한편, 본 고안상의 방파제 하측으로는 수중의 해수가 아무런 구조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밀물과 썰물시 내,외해측을 자유롭게 이동하게 됨으로 내해는 항상 청정한 해수 수질과 정온을 유지할수 있다.

Claims (1)

  1. 파랑의 소파와 아울러 해수가 통수교환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방파제를 구축함에 있어서, 내해측구조물(10)의 구조는 해저면(2) 상면에 일정한 높이의 사석기초단(3)이 수평적으로 조성되고 이 사석기초단(3) 상면에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하단면(11)에 다수개(도면 도 4상으로는 3개)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 콘크리트 벽체(12)(12a)(12b)를 수직으로 연설하고 이 콘크리트 벽체(12)(12a)(12b)상단에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상판(14)이 연설되며 각각의 콘크리트 벽체(12)(12a)(12b)사이에는 상,하로 일정한 두께의 수평격벽(13)을 다수단(도면 도 3상으로는 6개)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여 설치하고 이 수평격벽(13)의 내해측을 하향되게 만곡부(13a)를 형성하여서 되는 해수교환 방파제.
KR2020000032519U 2000-11-21 2000-11-21 해수교환 방파제 KR200219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19U KR200219567Y1 (ko) 2000-11-21 2000-11-21 해수교환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19U KR200219567Y1 (ko) 2000-11-21 2000-11-21 해수교환 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567Y1 true KR200219567Y1 (ko) 2001-04-02

Family

ID=7309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19U KR200219567Y1 (ko) 2000-11-21 2000-11-21 해수교환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5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37714B (zh) 一种生态浮式防波堤的施工方法
KR200204404Y1 (ko) 해수교환 방파제
KR200219567Y1 (ko) 해수교환 방파제
KR20130027837A (ko) 조립식구조의 다목적 부유식(浮游式) 소파제(消波提)
JP3313356B2 (ja) 海水循環防波堤
KR200197765Y1 (ko) 해수 순환 방파제
KR200266898Y1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 방파제
JPH0410923B2 (ko)
KR100461584B1 (ko)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KR20040105634A (ko) 케이슨 구조
JPS5935614Y2 (ja) 津波、高潮による海上浮上構造物の陸上への移動防止装置
KR100586636B1 (ko) 선박접안이 용이한 해수교환방파제
JPS62273311A (ja) 海水交流防波堤
KR100394342B1 (ko) 부력폰투운을 이용한 해수교환방파제
KR200234585Y1 (ko) 인공어초가 구비된 해수교환 방파제
KR200248971Y1 (ko) 해수교환 방파제
KR200266899Y1 (ko) 수직소파블럭을 이용한 직립식 통수방파제
KR200236018Y1 (ko) 조류가 소통되는 해수교환 방파제
JP2694390B2 (ja) 小形船舶の洋上係留施設
KR200306401Y1 (ko) 방파호안의 해수교환 시설
JPH11131510A (ja) 人工干潟装置
KR200213130Y1 (ko) 조류 소통 방파제
KR100491111B1 (ko) 해수 교환 방파제
KR200215812Y1 (ko) 조류 소통 방파제
JPS6175111A (ja) 浮防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