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361Y1 -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361Y1
KR200219361Y1 KR2020000014210U KR20000014210U KR200219361Y1 KR 200219361 Y1 KR200219361 Y1 KR 200219361Y1 KR 2020000014210 U KR2020000014210 U KR 2020000014210U KR 20000014210 U KR20000014210 U KR 20000014210U KR 200219361 Y1 KR200219361 Y1 KR 200219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auxiliary
steering wheel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오
Original Assignee
이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오 filed Critical 이주오
Priority to KR2020000014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361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방향을 전환할 때에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야간에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순간에 전조등의 조명방향과 자동차의 진행방향이 다르게 되어 진행방향을 조명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운행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각 전조등(11)의 일측에 각각 차체(10)와 일정 각도의 경사방향을 조명하는 보조 전조등(12)(13)을 설치하고, 조향바퀴(17)의 각도를 제어하는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작동스위치(14)(15)나 조향각 감지센서 (16)를 통해 상기 각 보조 전조등(12)(13)을 점, 소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에 자동차의 조향바퀴(17)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이상 틀어지게 되면 자동으로 좌측 보조 전조등(12) 또는 우측 보조 전조등 (13)을 점등시켜 자동차(1)의 진행방향을 조명할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가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 a sub-headlighting apparatus which turn on according to vehicle's steering angle }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방향을 전환할 때에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운전자가 조향핸들을 통해 조향바퀴를 일정각도이상으로 변경할 경우에 전조등의 일측에 설치한 보조 전조등이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에 자동차를 운행할 때에는 차체 전방에 마련된 전조등 (Headlight)을 켜서 자동차 진행방향의 전방을 밝게 조명하게 되는 바, 자동차가 직진할 때에는 전조등의 조명방향이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일치하게 되어 진행방향을 조명하는 데에 별다른 문제가 없게 되지만 방향을 전환하는 순간에는 도 1과 같이 전조등의 조명방향과 자동차의 진행방향이 다르게 되어 진행방향을 조명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운행에 많은 애로가 있게 된다.
즉, 운전자가 조향핸들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좌측방향이나 우측방향으로 전환하는 순간에는 직진시에 차체와 나란하게 위치되던 조향바퀴가 일정각도로 틀어지게 되기 때문에 자동차는 조향바퀴가 틀어진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지만 차체에 고정된 전조등은 차체의 전방을 비추게 되어 진행방향에 별다른 조명이 없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방향을 전환할 때에 운전자는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진행방향에 조명이 없는 순간을 맞이하게 되는 바, 이러한 순간에는 운전자가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각종 안전사고가 유발될 위험이 많아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전환할 때에 일정 각도로 틀어진 조향바퀴와 나란한 방향인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방조명상태를 나타낸 자동차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방조명상태를 나타낸 자동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작동스위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스위치 설치상태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작동스위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조향각 감지센서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차 10 : 차체
11 : 전조등 12, 13 : 보조 전조등
14, 15 : 작동스위치 16 : 조향각 감지센서
21 : 조향핸들축 22 : 워웜기어
23 : 워웜접속돌기 24 : 작동자석
25 : 승강체 26 : 볼너트
27 : 섹터기어 28 : 섹터축
29 : 작동간 31 : 동력실린더
32 : 연결아암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조등 일측에 보조 전조등을 설치하는 한편, 이 보조 전조등이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여 점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방조명상태를 나타낸 자동차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자동차(1)의 차체(10)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전조등 (11)의 일측에 각각 차체(10)와 일정 각도의 경사방향을 조명하는 보조 전조등(12) (13)을 설치하고, 조향바퀴(17)의 각도를 제어하는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작동스위치(14)(15)나 조향각 감지센서(16)를 통해 상기 각 보조 전조등(12)(13)을 점, 소등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핸들축(21)에 워웜기어(22)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워웜기어(22)와 접속되는 워웜접속돌기(23)가 마련되고 타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작동자석(24)이 설치된 승강체(25)를 조향핸들축(21)의 일측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승강체(25)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각 작동자석(24)에 의해 작동되는 좌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4)와 우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5)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좌측으로 바꾸기 위해서 조향핸들(미도시)을 좌측으로 돌려 도 2와 같이 조향바퀴(17)를 좌측으로 틀어주는 과정에서 조향핸들 및 조향핸들축(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승강체(25)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작동자석(24)이 근접하게 되는 좌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4)가 '온'상태로 작동되어 좌측 보조 전조등(12)이 켜지게 된다.
상기에서 조향핸들을 우측으로 회전시켜 원위치시키는 과정에서는 조향핸들축(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승강체(25)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작동자석(24)이 좌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4)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좌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4)가 '오프'상태로 작동되어 좌측 보조 전조등(12)이 꺼지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우측으로 바꾸기 위해서 조향핸들을 우측으로 돌려 조향바퀴(17)를 우측으로 틀어주는 과정에서는 조향핸들축(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승강체(25)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하부 작동자석(24)이 근접하게 되는 우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5)가 '온'상태로 작동되어 우측 보조 전조등(13)이 켜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조향핸들을 좌측으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면 조향핸들축(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승강체(25)가 상승하게 되어 우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5)가 '오프'상태로 작동되고 우측 보조 전조등(13)이 꺼지게 된다.
한편 자동차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조향장치(steering gear)는 워웜섹터형(worm sector type), 워웜섹터롤러형(worm sector roller type), 그리고 볼너트형(recirculating ball type), 가변기어비형(variable ratio type), 랙피니언형((rack and pinion type) 등이 있는 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조향핸들축(21)에 형성된 워웜기어(22)에 다수의 볼이 내장된 볼너트(26)가 결합되는 볼너트형 조향장치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는 조향핸들축(21)에 형성된 워웜기어(22)에 볼너트(26)가 결합되고, 볼너트(26)의 일측에 피트먼아암(미도시)으로 조향력을 전달하는 섹터기어(27)가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섹터기어(27)의 하부의 섹터축(28)에 작동간(29)을 설치하고, 작동간(29)의 회전반경 상부와 하부에 우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5)와 좌측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4)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향핸들을 통해 조향핸들축(2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향핸들축(21)의 워웜기어(22)에 결합된 볼너트(26)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볼너트(26)에 접속된 섹터기어(27) 및 섹터축(28), 그리고 작동간(29)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좌측 보조 전조등 스위치(14) 또는 우측 보조 전조등 스위치(15)를 '온'상태로 작동시키게 되므로 좌측 보조 전조등(12) 또는 우측 보조 전조등(13)이 켜지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회로에 접속되는 감지센서(16)를 통해 조향바퀴 (17)가 일정각도이상 좌측으로 틀어진 것을 감지하게 되면 좌측 보조 전조등(12)을 점등시키게 되고, 조향바퀴(17)가 우측으로 틀어진 것을 감지하게 되면 우측 보조 전조등(13)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야간에 자동차의 조향바퀴(17)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이상 틀어지게 되면 자동으로 좌측 보조 전조등(12) 또는 우측 보조 전조등(13)을 점등시켜 자동차(1)의 진행방향을 조명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에 자동차의 방향을 전환하는 순간에도 운전자가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물적 피해는 물론 귀중한 인명피해를 대폭 저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자동차(1)의 차체(10)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전조등(11)의 일측에 각각 차체(10)와 일정 각도의 경사방향을 조명하는 보조 전조등(12)(13)을 설치하는 한편, 조향바퀴(17)의 각도를 제어하는 조향장치의 조향핸들축(21)에 워웜기어(22)를 형성하고, 일측에 워웜접속돌기(23)가 마련되고 타측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작동자석(24)이 설치된 승강체(25)를 조향핸들축(21)의 일측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승강체(25)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동자석(24)에 의해 작동되는 보조 전조등 작동스위치(14)(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조향핸들축(21)에 형성된 워웜기어(22)에 볼너트(26)가 결합되고, 볼너트(26)의 일측에 피트먼아암으로 조향력을 전달하는 섹터기어 (27)가 결합되는 볼너트형 조향장치의 섹터기어(27)의 하부의 섹터축(28)에 작동간(29)을 설치하고, 작동간(29)의 회전반경 상부와 하부에 보조전조등 작동스위치(14)(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보조조명장치.
  3. 청구항3는 삭제 되었습니다.
KR2020000014210U 2000-05-19 2000-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KR200219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10U KR200219361Y1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10U KR200219361Y1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361Y1 true KR200219361Y1 (ko) 2001-04-02

Family

ID=7305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210U KR200219361Y1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3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870B1 (ko) 차량용 전조등 배광제어시스템
KR200219361Y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전방 보조조명장치
KR100372745B1 (ko) 자동차의 조향용 보조라이트
KR100311953B1 (ko) 차량의주행방향보조조명등
KR200207686Y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조절장치
KR100245509B1 (ko) 자동차의 좌우깜박이자동작동장치
KR930002556Y1 (ko) 자동차의 조향위치 확인장치
CN2422194Y (zh) 可转向机动车前部照明灯
KR100471210B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 등화장치
KR200213856Y1 (ko) 파워 스티어링휠을 이용한 후진등 방향조절장치
KR200144577Y1 (ko) 차량의 방향 전환시 안개등 점등 제어회로
KR0166289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KR200210584Y1 (ko) 차량용 비상등의 점멸장치
KR0123047Y1 (ko) 자동차의 조향 가능한 전조등 각도 변환 장치
KR200170124Y1 (ko) 자동차용 좌우 방향 보조 조명등
JPH01269634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KR880002162Y1 (ko) 자동차의 급회전용 전조등장치
KR950008720Y1 (ko) 자동차의 측방향용 보조라이트장치
KR200191649Y1 (ko) 긴급 구조차량의 2중색 경광등
KR200173860Y1 (ko) 차량용 전조등의 밝기 조절장치
KR19980022653A (ko)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조향장치
KR19980035639A (ko) 가변 타이머식 시그널 램프구조
KR19990024974U (ko) 전조등 스위치 구조
JPH0582665U (ja) 自動車の補助前照灯
KR19980055330U (ko) 자동차의 사이드 헤드램프 자동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