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563Y1 -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563Y1
KR200218563Y1 KR2020000031489U KR20000031489U KR200218563Y1 KR 200218563 Y1 KR200218563 Y1 KR 200218563Y1 KR 2020000031489 U KR2020000031489 U KR 2020000031489U KR 20000031489 U KR20000031489 U KR 20000031489U KR 200218563 Y1 KR200218563 Y1 KR 200218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hole
vent
liquid contai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근
Original Assignee
이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근 filed Critical 이수근
Priority to KR2020000031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56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배출구와 별도의 통기구를 구비하여 원활하고 신속한 액체배출이 가능토록 하는 공기 유입식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몸체(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20)의 후단에서 그 폭이 증가되면서 절곡되고 내부에 수위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 빈 여유공간부(3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와 연결되는 절곡부(30)와, 상기 절곡부(30)에 내부와 관통되는 소정크기의 홀이 형성된 결합공(31)과, 상기 결합공(31)에 삽입되어 조작에 따라 개폐 되어 통기되는 통기부재(40)와, 배출을 위한 배출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로서, 액체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 통기부재(40)의 통기구(4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하게 됨으로서 용기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원하는 양만큼의 상기 액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수위높이 보다 높게 상기 절곡부에 빈 여유공간부(32)를 형성시킴으로서, 언제나 원활한 공기 유입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액체를 배출시 불규칙적인 액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간단하고도 실용적인 구조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실제 적용의 면에서도 뛰어난 적용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liquid container having air inflow means}
본 고안은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통기구를 설치하여 액체의 배출 시 원활하고 신속한 배출이 가능토록 하는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이다.
액체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 있어, 원활한 공기 유입이 되지않게 되면 배출시에 상기 액체는 불규칙한 유동을 일으키게 되고 갑작스런 유출이 발생하여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92-9454호의 것이 있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종래기술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은 통상의 액체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물통의 입구관(2)에 상기 입구관(2)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가진 원통형의 고정링(3)을 삽설하고, 상기 고정링(3)에는 통기공(6)을 형성하고, 고정링(3)의 하축서 단밑으로 연결관 (4)을 돌출 성형한 후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ㄴ형의 급기관(5)의 짧은 부위를 상기 고정링(3)의 연결관(4)에 삽착시켜 용기의 입구에 삽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는, 액체 배출구에 급기관이 형성되어 ㄴ형으로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인 바, 용기내에 담긴 액체의 양에 따라 상기 급기관은 공기유입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내에 수용할 수 있는 액체의 양은 실제적으로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급기관을 용기내부에 설치함에 있어서도, 상기 입구관의 크기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점도 있게되며, 불필요하게 상기 입구를 크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도 또한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관으로 물등의 액체가 유입될 경우에 있어서 이물등의 부착이 발생되고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통기부재를 최대 수위높이 보다 높은 손잡이부에 형성시켜 항상 공기 유입이 원활한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재를 개폐시킴에 있어 원터치식으로 형성하여 사용상 편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통기부재로는 액체의 유입이 억제되고, 상기 통기부재는 손쉽게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세척등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위생성을 구비한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의 분해 사시도.
도 2 - 종래기술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실제 사용시의 예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손잡이부
30 : 절곡부 31 : 결합공
32 : 여유공간부 40 : 통기부재
41 : 통기구 42 : 회절마개
43 : 관통홀 44 : 돌출마개
45 : 가이드 50 : 배출구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에서 그 폭이 증가되면서 절곡되고 내부에 수위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항상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내부와 관통되는 소정크기의 홀이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조작에 따라 개폐가 되어 통기되는 통기부재와,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재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제 사용시의 예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는 크게 몸체(10), 손잡이부(20), 절곡부(30), 통기부재(40), 배출구(50)로 구성된다.
몸체(10)의 상부 일 단부에는 손잡이부(20)와 절곡부(3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20)는 소정두께를 가지며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20)의 후단은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져 비스듬히 절곡되어 몸체(10)와 연결되는 절곡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30)는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내부와 관통되는 결합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31)에는 후술할 통기부재(40)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절곡부(30)의 내부는 볼록하게 함몰된 빈 여유공간부(32)가 형성되며, 용기의
최대수위 높이보다 높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후술할 통기부재(4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절곡부(30)에 형성되는 빈 여유공간부(32)로 인해 원활한 공기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원터치식 버턴의 조작으로 통기구(41)가 개폐되는 통기부재(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통기부재(40)는 크게 통기구(41)와 회절마개(42)로 구성되며, 상기 통기구(41)는 상기 절곡부(30)에 형성된 결합공(31)에 삽입 결합되며, 그 결합방식은 나사결합이나 타이트 피팅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41)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소정크기의 관통홀(4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43)을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41)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절마개(42)의 상하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회절마개(42)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그 하면이 상기 통기구(41)의 상면에 접촉되어 과도한 상하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통기구(41)에 형성된 지지홈(미도시)에 결합되며 원터치식 버턴형식인 회절마개(42)는, 정면부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구(41)의 관통홀(4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절마개(42)가 닫혔을때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상기 관통홀(43)에 내접하는 돌출마개(44)와 상기 관통홀(43)과 외접하는 가이드(45)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가 형성된 타측에는 통상의 배출구(50)가 형성되어 액체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따른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의 작동원리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용기 내의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구(50)를 열게되고 상기 손잡이부(20)의 절곡부(30)에 형성된 통기부재(40)의 회절마개(42)를 누르게 되면 통기구(41)는 열리게되며 공기는 용기 내부로 유입된다.
액체를 배출시킴에 있어, 상기 통기구(41)를 통한 공기의 유입으로 용기 내.외부의 압력은 동일하게 유지되어 상기 액체가 배출될 때 불균일한 유동이 방지되며 동시에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통기부재(40)는 용기의 최대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서, 어떠한 경우에도 공기 유입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는, 액체의 최대수위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관계로 신속하고 원활한 공기 유입이 이루어져 안정적인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사용의 측면에 있어서도 원터치식 버턴에 의해 상기 통기구의 개폐가 이루어져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는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액체와의 직접적이 접촉이 예방되어 보다 위생적인 사용이 요구되는 음용액체 용기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몸체(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20)의 후단에서 그 폭이 증가되면서 절곡되고 내부에 수위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항상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절곡부(30)와;
    상기 절곡부(30)에 내부와 관통되는 소정크기의 홀이 형성된 결합공(31)과;
    상기 결합공(31)에 삽입되고 원터치식 보턴을 누름으로서 관통홀이 개폐되어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부재(40)와;
    액체 배출을 위한 배출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재(40)는,
    상기 결합공(31)에 삽입되고 소정의 관통홀(43)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 소정의 지지홈이 형성된 통기구(41)와;
    상기 통기구(41)의 상면에 결합되며 정면 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43)에 내접하는 돌출마개(44)와 상기 관통홀(43)과 외접하는 가이드(45)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홈에 결합되는 회절마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KR2020000031489U 2000-11-10 2000-11-10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KR200218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89U KR200218563Y1 (ko) 2000-11-10 2000-11-10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89U KR200218563Y1 (ko) 2000-11-10 2000-11-10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563Y1 true KR200218563Y1 (ko) 2001-04-02

Family

ID=7309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89U KR200218563Y1 (ko) 2000-11-10 2000-11-10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5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66308A1 (en) Western-style flush toilet
US20040163166A1 (en) Plunger appliance for toilets
JP2009125289A (ja) 保温ポット
KR200218563Y1 (ko) 공기 유입식 액체용기
US4928327A (en) Device for reducing rinsing water consumption
US6341385B1 (en) Toilet bowl fluid dispensing system
EP1386040B1 (en) Down-stroke dispenser
JPH0660684U (ja) 小便器のトラップ構造
JPH10204955A (ja) 水洗トイレ用洗浄芳香剤容器
US20070169840A1 (en) Flow control device
JP3514112B2 (ja) 洗浄水タンクにおける手洗吐水管の接続構造
CN216089950U (zh) 一种饮用水杯
JP3808613B2 (ja) 水洗便器用薬剤供給装置
CN216364865U (zh) 一种可拆卸水箱的皂液器
RU2145991C1 (ru) Смеситель
JPS6226037Y2 (ko)
JPH0346068Y2 (ko)
AU2005240670B2 (en) Flowable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JP2021195165A (ja) 飲料容器の栓体
JP2002322689A (ja) 注出栓
JPH0312855Y2 (ko)
KR200305957Y1 (ko) 식수통 마개
KR200283239Y1 (ko) 수위조절장치
JP4484146B2 (ja) 液体注出栓
RU2271419C2 (ru) Смес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