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072Y1 -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 Google Patents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072Y1
KR200218072Y1 KR2020000030369U KR20000030369U KR200218072Y1 KR 200218072 Y1 KR200218072 Y1 KR 200218072Y1 KR 2020000030369 U KR2020000030369 U KR 2020000030369U KR 20000030369 U KR20000030369 U KR 20000030369U KR 200218072 Y1 KR200218072 Y1 KR 200218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pipe
sealed
hea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동
Original Assignee
김평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동 filed Critical 김평동
Priority to KR2020000030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072Y1/ko

Links

Landscapes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히트파이프를 진공시키고 열매체를 주입한 후 주입구에 밀봉나사를 체결하여 밀봉시키므로써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 확실하게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착밀봉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는 파이프의 일측단이 밀봉된 상태에서 히트파이프 제조장치내에 삽입시켜 진공시키고, 그 내부에 열매체를 주입시키고 열매체가 주입된쪽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압착밀봉시킨 후 용접하여 마무리한 것이다.
이러한 히트파이프는 단순히 압착에 의해 밀봉시키므로 보다 신속 간편하게 밀봉시킬 수가 있고, 또 밀봉시 요철 또는 엠보싱 형상을 줌으로써 양호한 밀봉효과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착밀봉 히트파이프{A pressed double-sealed heat pipe}
본 고안은 히트파이프를 진공시키고 열매체를 주입한 후 주입구에 밀봉나사를 체결하여 밀봉시키도록 하므로써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 확실하게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착밀봉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파이프는 관의 내부에 열매체를 충진하여 일측에 열을 가하면 열매체가 팽창하여 이동하고 또 열교환된 열매체는 응축되어 다시 귀환하는 작용을 반복하면서 신속한 열교환작용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히트파이프 제조할 때에는 파이프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양측단부에 마개를 삽입하여 용접한 다음 그 일측 마개에 주입구를 형성하여 이를 용접장치가 설치된 열매체 주입장치를 통해 진공을 시키면서 열매체를 충진시킨 다음 용접장치로 주입구를 용접하여 밀봉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히트파이프는 용접이 어렵고, 또 용접후 크랙이 발생하는 등 용접 불량이 많이 발생함과 아울러 수명이 짧아지는 폐단이 있다.
또 이와 같이 히트파이프의 불량이 발생하면 용접된 부위를 절단하고 다시 용접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재료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용접공정을 신중하게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파이프의 신뢰성에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히트파이프에 열매체주입장치를 통해 열매체를 주입시킨 후 밀봉시킬 때 단순히 파이프 단부를 압착시켜 밀봉시키므로써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 확실하게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 양호한 밀봉효과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착밀봉 히트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히트파이프 제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히트파이프 제조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3는 도 1의 히트파이프 밀봉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히트파이프 11 - 파이프 13 - 마개
20 - 히트파이프 제조장치 21 - 고정구멍 22 - 안내구멍
23 - 진공펌프 24 - 열매체주입장치 25 - 지지홈
26 - 가압축 27 - 가압실린더 28 - 압착헤드
29a,29b - 요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는, 히트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파이프의 일측단이 밀봉된 상태에서 히트파이프 제조장치내에 삽입시켜 진공시키고, 그 내부에 열매체를 주입시키고 열매체가 주입된쪽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압착밀봉시킨 후 용접하여 마무리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 제조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히트파이프 제조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히트파이프 밀봉부의 확대도이다.
히트파이프(10)는 일측단부를 먼저 밀봉을 시킨다. 밀봉을 시킬 때에는 별도의 마개를 끼우고 용접하여 밀봉시킬 수도있고, 또 압착을 시킨 후 용접하여 밀봉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밀봉되지 않은 쪽의 파이프단부를 히트파이프 제조장치의 고정구멍으로 삽입시켜 고정한 후 내부를 진공시키고 열매체를 주입시킨다.
그런다음 파이프 단부를 압착한 후 압착단부를 용접을 통해 2차밀봉시킨다.
이러한 히트파이프 밀봉이 가능하게 하는 히트파이프 제조장치는, 히트파이프(10)를 삽입시켜 기밀하게 고정시키도록 된 진공실을 구비하고, 이 진공실을 진공시키는 진공펌프(23), 고정된 히트파이프(10)에 열매체를 주입하는 열매체주입장치(24)가 구성된 히트파이프 제조장치(2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파이프(11)의 일단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홈(25)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는 지지홈(25)쪽으로 출몰하는 가압축(26)이 기밀하게 관통 설치되고, 이 가압축(26)의 외측단부에 가압축(26)을 진퇴 작동시키는 가압실린더(27)가 설치되고, 가압축(26) 내측단에는 파이프(11)의 단부를 지지홈(25)쪽으로 눌러 붙이는 압착헤드(28)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히트파이프 제조장치(20)의 내부에 히트파이프(10)를 삽입시켜 열매체를 충진 완료하게 되면 측부에 설치된 가압실린더(27)를 작동시켜 가압축(26)을 히트파이프(10)쪽으로 전진시킨다. 이 작동에 의해 히트파이프(10)의 선단에 설치된 압착헤드(28)가 히트파이프(10) 헤드 측면을 지지홈(25)으로 눌러 압착시키게 되므로 히트파이프(10)의 단부는 눌러 붙여지게 되어 밀봉된다.
밀봉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지홈(25)과 압착헤드(28)의 면에 도 8과 같이 서로 대응되는 요철(29a)(29b)을 형성하면 히트파이프(10)의 단부가 요철(29a)(29b)형태로 절곡되면서 눌러 붙여지게 되므로 더욱더 양호한 밀봉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요철(29a)(29b)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할 수도 있으나, 엠보싱형태의 작은 요철을 다수개 형성하여 눌러 붙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온도변화에 의해 파이프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밀봉부의 밀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착밀봉 히트파이프는 히트파이프를 진공시키고 열매체를 주입한 후 주입구를 밀봉시킬 때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여 눌러 붙임으로써 밀봉시키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밀봉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압착시 요철 또는 엠보싱 가공을 하기 때문에 더욱더 양호하고 확실한 밀봉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히트파이프(10)를 제조함에 있어서,
    파이프의 일측단이 밀봉된 상태에서 히트파이프 제조장치(20)내에 삽입시켜 진공시키고, 그 내부에 열매체를 주입시키고 열매체가 주입된쪽 파이프(11)의 단부를 가압하여 압착밀봉시킨 후 용접하여 마무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을 요철을 이루도록 압착밀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엠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KR2020000030369U 2000-10-31 2000-10-31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KR200218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69U KR200218072Y1 (ko) 2000-10-31 2000-10-31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69U KR200218072Y1 (ko) 2000-10-31 2000-10-31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350A Division KR20020017836A (ko) 2000-08-31 2000-08-31 히트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072Y1 true KR200218072Y1 (ko) 2001-03-15

Family

ID=7309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369U KR200218072Y1 (ko) 2000-10-31 2000-10-31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0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512B1 (ko) * 2022-03-31 2022-08-26 조경진 박판 평판형 히트파이프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512B1 (ko) * 2022-03-31 2022-08-26 조경진 박판 평판형 히트파이프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66021B (zh) 均温板以及均温板的制作方法
US7467466B2 (en) Method for sealing a heat pipe
US20090178784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sothermal Vapor Chamber And Product Thereof
TW202100938A (zh) 均溫板及其製造方法
KR200218072Y1 (ko)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CN209877721U (zh) 均温板
KR200215782Y1 (ko)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제조장치
US61172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welding lengths of profiles for sealing gaskets
KR20140065072A (ko) 파이프용 벤딩장치
US11799178B2 (en) Liquid injection device
KR200409519Y1 (ko)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JPH0432695A (ja) ヒートパイプの封止方法
BR112012019768B1 (pt) Método de hidroformação e dispositivo de hidroformação.
TWI754124B (zh) 均溫板之製程
JP2012220179A (ja) ヒートパイプの製造方法
CN211457778U (zh) 均温板
KR200337396Y1 (ko) 개량 히트파이프
KR20020087227A (ko)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및 히트파이프
KR102308688B1 (ko) 실링기능이 향상된 하이드로포밍 성형장치
KR100509836B1 (ko)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 히트파이프 단 용접장치
US5666708A (en) Device for filling spacer frames for insulating glass with hygroscopic material
KR200231213Y1 (ko) 히터파이프형 컨백터
KR960003918Y1 (ko) 파형 주름관 제조 장치
KR100326340B1 (ko) 삼중관 소켓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10008212U (ko) 증기챔버 및 증기챔버의 테두리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