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519Y1 -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519Y1
KR200409519Y1 KR2020050032829U KR20050032829U KR200409519Y1 KR 200409519 Y1 KR200409519 Y1 KR 200409519Y1 KR 2020050032829 U KR2020050032829 U KR 2020050032829U KR 20050032829 U KR20050032829 U KR 20050032829U KR 200409519 Y1 KR200409519 Y1 KR 200409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se
ring
insertion hole
hos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코이
Priority to KR2020050032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가 흐르는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바디 및 캡의 초음파 융착부위 구조를 개선하여 이들의 융착 과정에서 버어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버어가 오링삽입공 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바디의 입구 측 살 두께가 얇아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디(1)에 형성된 각 오링삽입공(3) 측에 캡(4)이 초음파 융착 고정된 호스연결구에 있어서, 캡(4)의 융착 고정부위인 바디(1)의 입구 측에는 격벽(14)에 의해 격리된 환형의 요입홈(15)을 형성하고 캡(4)에는 상기 요입홈에 끼워지는 환형의 돌출테(16)를 형성하여 돌출테(16)의 저면이 요입홈(15)의 바닥면에 융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호스연결구, 바디, 캡, 버어, 누수

Description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omitted}
도 1은 종래의 호스연결구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바디에 캡을 초음파로 융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버어가 발생된 상태도
도 4는 바디의 오링삽입부 입구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3 : 오링삽입공
4 : 캡 14 : 격벽
15 : 요임홈 16 : 돌출테
본 고안은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가 흐르는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호스연결구를 구성하는 바디에 캡을 초음파 로 융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버어(burr)가 발생하더라도 오링삽입공 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또는 이온수기와 같이 물이 흐르는 호스를 상호 연결하거나, 공압 기기와 같이 공압라인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기기 내에 공급하는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연결구(일명 "컨넥터"라 함)는 도 1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호스연결구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직선, 엘보우, U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호스연결구의 바디(1) 양단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2)이 삽입되는 오링삽입공(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링삽입공의 입구 측에는 내주면에 경사면(4a)과 삽입공(4b)을 갖는 캡(4)이 초음파 고정되는데, 상기 캡(4)은 상기 오링삽입공으로 삽입된 오링(2)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캡(4)에 형성된 삽입공(4b)을 통해 호스(5)를 지지하는 콜렛(6)이 조립된다.
상기 콜렛(6)은 캡(4)의 경사면(4a)과 접속되는 후크(7)와, 상기 콜렛이 바디(1)의 내부로 삽입되는 량을 제어하는 플랜지부(8)와, 상기 후크와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원통부(9)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7)와 원통부(9)의 일부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다수 개 절결부(10)에 의해 분할 형성되어 있고 각 후크의 내부에는 호스(5)의 외부면과 접속되는 금속재의 지지편(11)이 인서트(insert)되어 있는데, 상기 원통부(9)의 길이(A)는 캡(4)에 형성된 삽입공(4b)의 길이(a)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호스(5)를 콜렛(6)에 결합 시 후크(7)가 경사면(4a)으로부터 이탈되어 확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후크(7)가 형성된 원통부(9)를 내 측으로 오므린 상태에서 캡(4)에 형성된 삽입공(4b)을 통해 바디(1)에 결합하면 후크(7)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므로 콜렛(6)이 바디(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콜렛(6)에 호스(5)를 밀어 넣으면 삽입력에 의해 콜렛이 바디의 내부로 밀려들어가 콜렛에 형성된 후크(7)가 캡(4)의 경사면(4a)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콜렛의 절결부(10)에 의해 원통부(9) 및 후크(7)가 외부로 확장된다.
상기 원통부(9) 및 후크(7)가 외부로 확장된 상태에서 호스(5)를 계속해서 밀어 넣으면 호스(5)의 외주면이 오링(2)의 내경과 긴밀히 접속된 상태에서 바디의 내부까지 깊이 삽입되므로 호스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외력을 가해 호스(5)를 잡아당기더라도 바디(1)로부터 호스(5)가 빠지지 않는다.
이는, 호스(5)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호스를 지지하는 콜렛(6)이 호스와 함께 바디(1)의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후크(7)가 캡(4)에 형성된 경사면(4a)에 의해 눌러 오므러 들게 되고, 이에 따라 후크(7)의 내부에 인서트된 지지편(11)이 호스(5)의 외주면을 눌러주므로 호스(5)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바디(1)로부터 호스(5)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바디(1)에서 콜렛(6)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콜렛(6)을 눌러 준 상태에서 호스(5)만을 잡아당기면 된다.
즉, 콜렛(6)에 형성된 후크(7)가 경사면(4a)에 눌려 있지 않아 호스(5)를 당길 때 후크(7) 및 원통부(9)가 확장되므로 호스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바디(1)에 형성되는 오링삽입공(3)의 입구 측에 경사면(3a)이 형성되어 있고 캡(4)의 일 측에는 상기 경사면(3a)에 접속 고정되는 또 다른 경사면(4c) 및 평탄면(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디(1)를 지그(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오링삽입공(3)을 통해 캡(4)을 얹어 놓은 다음 누름봉(12)을 하강시켜 압력을 가하면서 초음파를 인가하면 평탄면(4d)과 경사면(3a)(4c)에서 융착이 일어나므로 이들이 상호 일체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호스연결구는 바디(1)에 형성된 오링삽입공(3)의 입구에 캡(4)을 얹어 놓고 누름봉(12)으로 누르면서 초음파를 가해 융착시키는 과정에서 누름봉(12)에 의한 누름 압력이 강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링삽입공(3)의 내부에 버어(13)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버어(13)는 오링삽입공(3)으로 오링(2)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오링에 의해 밀려 떨어져 나와 오링삽입공(3)의 내주면(사출 성형면)과 오링(2)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에 따라, 오링(2)의 내부로 호스(5)를 삽입한 상태에서 바디(1)의 내부에 일정 압력이 걸리면 오링(2)과 오링삽입공(3)의 내주면 사이에 버어(13)가 끼여 있어 완벽한 실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그 사이(버어에 의해 형성된 틈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갖는다.
이와는 반대로 바디(1)에 캡(4)을 융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누름봉(12)에 의한 누름 압력이 약하면 이들 접속면에서 융착 고정력이 약해 바디(1)로부터 캡(4)이 떨어지게 되는 더욱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내므로 누름봉(12)에 의한 누름 압력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바디(1)와 캡(4)의 융착면이 경사면(3a)(4c)으로 이루어져 있어 바디(1)에 캡(4)을 융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누름봉(12)에 의한 누름 압력으로 인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링삽입공(3)의 입구 측이 약 0.2mm정도 확장된다.
이에 따라, 오링삽입공(3)의 내부에 삽입된 오링(2)의 내부로 호스(5)를 끼운 상태에서 바디(1)의 내부에 압력이 걸리면 오링(2)이 오링삽입공(3)의 입구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캡(4)을 융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오링삽입공(3)의 입구 측이 확장되어 있어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캡(4)의 살 두께(T)는 비교적 두꺼운 반면, 오링삽입공(3)의 입구 측 살 두께(t)는 상대적으로 얇아 계절 변화에 따라 동절기에 오링삽입공(3)의 입구측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호스연결구 측에서 누수가 발생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면 통상 정수기 또는 이온수기를 주방 또는 거실에 설치하므로 인해 주방 또는 거실의 바닥으로 누수된 물이 흘러 아래층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이웃간에 민원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바디 및 캡의 초음파 융착 부위 구조를 개선하여 이들의 융착 과정에서 버어가 발생하더 라도 발생된 버어가 오링삽입공 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디의 입구 측 살 두께가 얇아 수축에 따른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바디에 형성된 각 오링삽입공 측에 캡이 초음파 융착 고정된 호스연결구에 있어서, 캡의 융착 고정부위인 바디의 입구 측에는 격벽에 의해 격리된 환형의 요입홈을 형성하고 캡에는 상기 요입홈에 끼워지는 환형의 돌출테를 형성하여 돌출테의 저면이 요입홈의 바닥면에 융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캡(4)의 융착 고정부위인 바디(1)의 각 입구 측에는 격벽(14)에 의해 격리된 환형의 요입홈(15)이 형성되어 있고 바디(1)의 입구 측에 융착 고정되어 콜렛(6)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4)에는 상기 요입홈(15)에 끼워지는 환형의 돌출테(16)가 형성되어 있어 캡(4)의 상면에서 누름봉(12)에 의해 초음파를 가할 때 상기 돌출테(16)의 저면이 요입홈(15)의 바닥면에 융착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바디(1)에 형성된 환형의 격벽(14)을 바디(1)의 외주면 상단보 다 낮게 형성되어 격벽(14)이 댐(dam)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고 격벽(14)의 내 측으로는 단턱(17)이 형성되어 있어 바디(1)의 오링삽입공(3)에 캡(4)을 융착 고정시키면 돌출테(16)의 내 측에 형성된 돌출봉(18)이 단턱(17)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바디(1)에 캡(4)을 초음파로 융착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돌출테(16)의 저면과 요입홈(15)의 바닥면에서 버어가 발생되더라도 격벽(14)에 의해 형성되는 댐의 길이를 최대한 연장되도록 하여 발생된 버어가 오링삽입공(3) 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 사출 성형된 바디(1)와 캡(4)을 초음파에 의해 융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바디(1)를 턴테이블과 같은 별도의 지그(jig)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장착홈에 끼운 다음 상부를 향하고 있는 오링삽입공(3)에 도 5와 같은 형태로 캡(4)을 얹어 놓는다.
이와 같이 바디(1)의 오링삽입공(3) 입구 측에 캡(4)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1)가 초음파 접착기의 누름봉 직하방에 도달하면 누름봉을 하강시켜 누름봉에 의해 일정 압력이 캡(4)에 작용되도록 한 다음 초음파를 가하게 되므로 캡(4)에 형성된 돌출테(16)가 요입홈(15)의 바닥면에 융착 고정되어 이들이 일체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융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돌출테(16) 및 요입홈(15)의 접속면(돌출테의 저면 및 요입홈의 바닥면)에서 버어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버어가 댐에 의해 요입홈(15)의 외부인 오링삽입공(3) 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되므로 버어 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초음파 융착 고정과정에서 누름봉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돌출테(16)의 접속면, 즉 돌출테(16)의 저면 및 요입홈(15)의 바닥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오링삽입공(3)의 내경이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에 캡(4)이 융착 고정된 상태에서 오링삽입공(3)의 내부로 오링(2)을 끼운 다음 상기 오링(2)의 내부로 호스(5)를 끼우면 호스의 삽입력에 의해 오링(2)이 오링삽입공(3)의 내부로 깊이 삽입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바디(1)의 내부에 압력이 걸려 오링(2)이 오링삽입공(3)의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오링삽입공(3)의 내경 변화가 발생되어 있지 않으므로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 또한 방지하게 된다.
또한, 호스연결구를 이용하여 유체 이송라인을 구성하는 호스(5)를 연결한 상태에서 온도 변화에 따라 캡(4)이 융착 고정된 바디(1)의 입구 측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돌출테(16)의 저면이 요입홈(15)의 바닥면에 융착 고정되어 있어 균열부위로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오링삽입공과 요입홈이 격벽에 의해 상호 격리되어 있어 돌출테가 요입홈의 바닥면에 융착 고정되는 과정에서 누름봉의 과잉 누름으로 인해 버어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버어가 오링삽입공 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되므로 버어에 의 한 누수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누름봉의 과잉 누름으로 캡의 융착 고정과정에서 버어가 발생하더라도 버어가 오링삽입공 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되므로 캡을 바디에 강력하게 융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바디로부터 캡이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바디와 캡의 융착 고정이 돌출테의 저면과 요입홈의 바닥면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바디의 상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넷째, 바디와 캡의 고정과정에서 융착 고정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오링삽입공의 입구 측이 확장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바디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어 오링이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2)

  1. 바디에 형성된 각 오링삽입공 측에 캡이 초음파 융착 고정된 호스연결구에 있어서, 캡의 융착 고정부위인 바디의 입구 측에는 격벽에 의해 격리된 환형의 요입홈을 형성하고 캡에는 상기 요입홈에 끼워지는 환형의 돌출테를 형성하여 돌출테의 저면이 요입홈의 바닥면에 융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형성된 환형의 격벽을 바디의 외주면 상단보다 낮게 형성하여 격벽이 댐역할을 하도록 하고 격벽의 내 측으로는 단턱을 형성하여 돌출테의 내 측에 형성된 돌출봉이 단턱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KR2020050032829U 2005-11-21 2005-11-21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KR200409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9U KR200409519Y1 (ko) 2005-11-21 2005-11-21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9U KR200409519Y1 (ko) 2005-11-21 2005-11-21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519Y1 true KR200409519Y1 (ko) 2006-03-03

Family

ID=4175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29U KR200409519Y1 (ko) 2005-11-21 2005-11-21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51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164B1 (ko) 2005-11-21 2007-08-30 주식회사 맥코이 호스연결구
KR100963377B1 (ko) * 2008-02-28 2010-06-14 김정범 니플 조립 장치
KR102238766B1 (ko) 2019-12-11 2021-04-08 김주홍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KR20220032686A (ko) 2020-09-08 2022-03-15 김주홍 스크류 결합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KR20220032684A (ko) 2020-09-08 2022-03-15 김주홍 동심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164B1 (ko) 2005-11-21 2007-08-30 주식회사 맥코이 호스연결구
KR100963377B1 (ko) * 2008-02-28 2010-06-14 김정범 니플 조립 장치
KR102238766B1 (ko) 2019-12-11 2021-04-08 김주홍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KR20220032686A (ko) 2020-09-08 2022-03-15 김주홍 스크류 결합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KR20220032684A (ko) 2020-09-08 2022-03-15 김주홍 동심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519Y1 (ko)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US9644774B2 (en) Welding joint and welding method for same, welding device, welding joint, resin pipe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CN100392310C (zh) 波纹管软套管导管和连接方法
KR10096060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U683987B2 (en) Tank connector construction
KR100753164B1 (ko) 호스연결구
KR101033613B1 (ko) 호스연결구
KR101095954B1 (ko) 유체 분배용 분기관의 제조장치
KR930004733B1 (ko)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연결방법
AU683986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tank and method of fabricating a tank connector therefore
KR200493485Y1 (ko) 배관용 고무링
KR200159243Y1 (ko) 호스연결용 컨넥터
KR20130016572A (ko) 코킹 공정을 이용한 파이프 씰링 구조
KR200228345Y1 (ko) 유체라인의 호스연결용 컨넥터
CN220779323U (zh) 一种过滤器及过滤系统
KR200443241Y1 (ko) 전기히터의 설치구조
KR101357313B1 (ko) 상수도용 플랜지부 일체형 배관 제조방법
KR100709785B1 (ko) 커플러의 작용관체에 패킹을 결속하는 제조방법
KR101017363B1 (ko) 소형 전기보일러의 토출구와 호스 연결구조
KR100347273B1 (ko) 호스연결용 컨넥터
JP4210075B2 (ja) パイプ継手
JP3550121B2 (ja) ベルト加硫装置
CN115647630A (zh) 一种活塞式单向阀的制造方法
KR20100131171A (ko) 자동차 워셔액 펌프용 파이프 연결 조립체
JPH07217752A (ja) ボールバルブ用弁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