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396Y1 - 개량 히트파이프 - Google Patents

개량 히트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396Y1
KR200337396Y1 KR20-2003-0031457U KR20030031457U KR200337396Y1 KR 200337396 Y1 KR200337396 Y1 KR 200337396Y1 KR 20030031457 U KR20030031457 U KR 20030031457U KR 200337396 Y1 KR200337396 Y1 KR 200337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pipe
injection
jig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기
손용환
안성준
서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Priority to KR20-2003-0031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83Means for filling or sealing 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파이프 내부의 진공도를 높이며, 수명을 향상시키면서도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개량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열전도성 조성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공이 형성된 히트파이프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파이프 일측으로 회전하는 봉합부 성형지그로 가압하여 봉합부 성형지그의 내측형상(=반구형)과 동일하게 형성한 후 TIG용접으로 완전 밀폐시킨 봉합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회전하는 주입부 성형지그로 가압하여 중앙에 주입공이 관통된 융기관이 돌출되도록 주입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봉합부와 주입부를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공정단축과 원가절감 효과를 득하고, 견고성을 향상시켜 진공파괴에 의한 불량률 등을 일소토록 하여 히트파이프(1)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량 히트파이프{An improved heat pipe}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제작이 용이하고, 파이프 내부의 진공도를 높이며, 수명을 향상시키면서도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개량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히트파이프는 초열전도체로서, 작동원리는 진공으로 밀폐된 용기에 주입된 작동유체가 흡열이나 방열할 시 증발과 응축이 일어남으로서 생기는 상변화를 이용하여 양 단부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체이다.
종래 히트파이프(1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P)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밀폐용기로 형성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P) 일단에 별도의 마개(101)를 가압하여 내입한 후 용접에 의해 부착하고, 타단에 열전도성 조성물 주입구가 형성된 별도의 마개(102)를 용접 부착하여 열전도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밀봉하는 방법과 파이프(P) 단부를 압착하여 용접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한 방법들로 제작되는 히트파이프는 대량생산이 곤란하고,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진공파괴에 의해 불량률이 높으며, 산소용접 등의 화염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그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상기 문제점들을 일소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개를 사용한 히트파이프가 제조공정과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것에 반하여 별도의 마개 사용하지 않고 파이프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정의 간소화와 원가절감의 효과를 득하고, 진공파괴에 의한 불량률과 산소용접의 화염에 의한 산화 작용을 일소할 수 있는 개량 하트파이프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히트파이프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a, 3b는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를 사용한 진공밀폐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P:파이프
1:히트파이프 2:봉합부
3:주입부 4:주입공
5:융기관 6:봉합부 성형지그
7:주입부 성형지그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고, 도 3a, 3b는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열전도성 조성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공(4)이 형성된 히트파이프(1)를 적극 개량한 것으로서, 상기 히트파이프(1)는 스테인리스강이나 구리로 구성된 파이프(P)의 일측으로 반구형의 밀폐된 봉합부(2)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중앙에 열전도성 조성물을 히트파이프(1) 내측으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4)이 관통된 융기관(5)이 돌출 형성된 주입부(3)를 형성한다.
상기 양측의 봉합부(2)와 주입부(3)는 파이프(P)와 일체로 형성함을 요지로 한다.
상기 일체로 형성된 히트파이프(1)는 통상의 스테인리스강이나 구리로 구성된 파이프(P) 일측을 회전하는 봉합부 성형지그(6)로 가압하여 봉합부 성형지그(6)의 내측 형상(=반구형상)과 동일하게 성형해 TIG용접(Tungsten Inert Gas Welding)으로 완전 밀폐시키고, 타측은 회전하는 주입부 성형지그(7)로 가압하여 중앙에 주입공(4)이 형성된 융기관(5)이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8은 진공밀폐장치, 9는 융기관(5)을 가압 마찰하도록 한 치구, 10은 진공밀폐장치(8)에서 히트파이프(1)를 끼움 고정하는 척, 11은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진공실린더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1) 일측으로 반구형의 봉합부(2)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주입부(3)를 형성하여 주입부(3)의 주입공(4)으로 액체 또는 겔(Gel)상의 열전도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밀폐장치(8)의 척(10)에 히트파이프(1)의 봉합부(2)측을 끼움 고정하고, 주입공(4)이 삽입된 진공실린더(11) 내에서 주입공(4)을 통해 히트파이프(1) 내의 공기를 흡출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융기관(5)을 회전하는 치구(9)로 가압 마찰하여 함몰되면서 주입부(3) 자체가 밀폐되도록 한 후, TIG용접으로 보강하여 열전도성 조성물이 주입된 히트파이프(1)를 완성하는 것이다.
히트파이프(1)의 봉합부(2)와 주입부(3)를 각각의 성형지그(6)(7)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마개(101)(102)를 사용하지 않아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 제조원가를 절감토록 하고, 봉합부 성형지그(6)로 파이프(P) 자체의 단부를 마찰 가열시켜 반구형으로 형성한 다음 TIG용접하여 진공밀폐에 대한 히트파이프(1)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주입부(3)를 파이프(P)와 일체로 형성하여 열전도성 조성물의 인입후 회전하는 치구(9)로 가압 마찰하고, TIG용접하여 진공밀폐에 대한 견고성의 향상과 아울러 종래 열전도성 조성물 주입구의 밀폐 시 산소용접 등의 화염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히트파이프(1)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히트파이프(1)의 봉합부(2)와 주입부(3)를 파이프(P)와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공정의 단축과 제조원가의 절감 효과를 득할 수 있고, 봉합부와 주입부 성형지그(6)(7)로 히트파이프(1) 단부를 성형하고 TIG용접법으로 마감 형성함으로써 진공밀폐에 대한 견고성을 향상시켜 진공파괴에 의한 불량률과 산소용접의 화염에 의한 히트파이프(1)의 산화 작용을 일소토록 하여 히트파이프(1)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하고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열전도성 조성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공(4)이 형성된 히트파이프(1)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1)는 파이프(P) 일측으로 빈구형의 봉합부(2)를 회전하는 봉합부 성형지그(6)로 가압하여 밀폐구성하고, 타측으로는 주입공(4)이 관통된 융기관(5)이 돌출된 주입부(3)를 회전하는 주입부 성형지그(7)로 가압 구성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히트파이프.
KR20-2003-0031457U 2003-10-07 2003-10-07 개량 히트파이프 KR200337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457U KR200337396Y1 (ko) 2003-10-07 2003-10-07 개량 히트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457U KR200337396Y1 (ko) 2003-10-07 2003-10-07 개량 히트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396Y1 true KR200337396Y1 (ko) 2003-12-31

Family

ID=4942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457U KR200337396Y1 (ko) 2003-10-07 2003-10-07 개량 히트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3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64523A (ja) 圧接式平面型ヒートパイプ、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37396Y1 (ko) 개량 히트파이프
US20200287198A1 (en) Liquid Injection Device
TWI288815B (en) A heat pipe manufacturing process
KR20090014064A (ko) 히트파이프 및 이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방열기
CN101882560B (zh) 一种高效陶瓷灯
CN100582635C (zh) 热管封口结构及热管
KR20040014022A (ko) 히트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장치
RU2307913C2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ая колонна
JPS5989997A (ja) ヒ−トパイプとその製造方法
TWI754124B (zh) 均溫板之製程
KR200218072Y1 (ko) 압착밀봉 히트파이프
CN106898539B (zh) 一种脉冲氙灯及其封接方法
JPH0285693A (ja) ヒートパイプ
CN109489267A (zh) 一种贯通式太阳能中温真空管及加工方法
KR100876188B1 (ko) 히트파이프의 캡 용접장치를 이용한 용접방법
CN202523960U (zh) 气体激光管密封连接结构
CN108817879A (zh) 一种无需退火的热导管的制作方法
JP2007105710A (ja) 真空排気封止装置
KR101202436B1 (ko) 전기 융착을 이용해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장치
CN202111054U (zh) 高效陶瓷灯
CN2655157Y (zh) 热管
KR960000287B1 (ko) 개량 히트파이프(Heat Pipe)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5180723A (ja) ヒートパイプの端部封止方法
JPH11201673A (ja) 板型ヒートパイプ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