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796Y1 - 감시용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용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796Y1
KR200217796Y1 KR2020000016745U KR20000016745U KR200217796Y1 KR 200217796 Y1 KR200217796 Y1 KR 200217796Y1 KR 2020000016745 U KR2020000016745 U KR 2020000016745U KR 20000016745 U KR20000016745 U KR 20000016745U KR 200217796 Y1 KR200217796 Y1 KR 200217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mera
housing
brack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2020000016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백화점이나 할인유통업체 등의 상품진열매장이나 금융기관, 그 밖의 빌딩 등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제안된 것들은 대부분 하우징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카메라가 일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동작제어가 어렵고 동작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하부에 상부 회로기판(53)이 설치되는 상부판(43)이 지지링(42)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지링(42)의 하부에 상부판(43)에 고정되는 하부판(44)이 설치되는 고정베이스(41)의 하부판(44)에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를 통해 하부에 하우징 회로기판(34)이 설치되는 모터 브라켓트(21)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모터 브라켓트(21)에 팬 제어모터(24)와 틸트 제어모터(25)를 설치하며, 팬 제어모터(24)를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와 접속하고, 케이스(14) 내부에 줌렌즈가 내장된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 (13)의 상단에 설치한 카메라 브라켓트(16)를 모터 브라켓트(21)의 틸트 제어모터 (25)에 접속하는 한편 일측에 투시창(12)이 마련된 하우징(11)을 모터 브라켓트 (21)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판(19)에 설치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줌렌즈가 카메라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를 사용함은 물론 콤팩트하게 구성한 팬틸트장치를 하우징(11)에 일체로 내장시킴으로써 하우징(11)의 부피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감시용 카메라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다 작은 설치공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하우징(11)의 외부 노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카메라장치 설치부위의 미관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며,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 및 하우징 (11)을 좌우방향으로 각도제한 없이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카메라(13)로 감시할 수 없는 사각지역을 없앨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일 감시지점으로부터 다른 감시지점으로의 절환이 쉽게 되고, 그 동작시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며, 상부 회로기판(53)의 접속커넥터(55)와 케이블 연결축(55)에 제어전선 및 케이블단자를 극히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각 부품에 대한 고장을 수리할 때에 간편하게 제어전선 접속커넥터(58)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감시용 카메라장치 { a camera mechanism watching a specific area }
본 고안은 백화점이나 할인유통업체 등의 상품진열매장이나 금융기관, 그 밖의 빌딩 등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카메라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보다 넓은 면적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어 그 하부의 일정범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에 관계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감시용 카메라장치에 있어서는 감시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감시범위를 상하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틸트기능(tilt)과 카메라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감시범위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팬기능(pan), 그리고 감시영상중의 특정 부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줌기능(zoom)을 갖게 하는 예가 많다.
이처럼 틸트기능과 팬기능, 그리고 줌기능을 갖춘 감시용 카메라장치는 한 대의 카메라장치로 보다 넓은 공간을 자세하게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종래에 제안된 것들은 대부분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카메라가 일 방향으로 연속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동작제어가 어렵고 동작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감시영상중에서 특정 부위를 확대하기 위한 줌기능을 위해서는 카메라에 줌렌즈가 설치되어야 하는 바,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의 전방에 별도의 줌렌즈를 설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줌렌즈 자체가 돌출되는 데다가 줌렌즈의 작동공간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큰 하우징을 사용해야 할 뿐 아니라 카메라의 일측에 팬구조와 틸트구조가 함께 조립된 별도의 팬틸트장치(pan-tilt)를 부착 설치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피가 큰 하우징을 사용하는 상기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장치들은 하우징의 설치 공간을 많이 확보해야 할 뿐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의 면적이 비교적 넓게 되어 미관상에도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고, 아울러 회전하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장치와 천장에 설치되는 고정베이스에 설치된 상부회로기판이 연결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므로 카메라가 내장된 하우징의 좌우 회전범위가 제한되어 360도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여 일 지점을 감시하다가 그 좌측이나 우측의 다른 지점을 감시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에 카메라를 작은 각도로 회전시키지 못하고 큰 각도로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많게 되어 카메라의 제어가 번거롭게 되고, 동작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장치는 도 5와 같이 외부의 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전선(80)이 고정베이스의 상부판(75)에 형성된 관통공(76) 및 상부판 (75)의 하단에 부착 설치되는 상부 회로기판(73)의 관통공(74)을 통과하여 상부회로기판(73)의 하부에서 결선되기 때문에 그 결선작업이 극히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일단 설치를 마친 후에 연결전선(80)을 상부 회로기판(73)에서 분리하기가 곤란하게 되므로 사후관리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하우징의 부피를 줄여 설치공간 및 외부 노출면적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를 좌우방향으로 무제한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감시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연결전선의 결선작업 및 사후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상부회로기판 결속부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 대비한 종래 장치의 상부회로기판 결속부위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2 : 투시창
13 : 카메라 14 : 케이스
15 : 표면렌즈 16 : 카메라 브라켓트
18 : 틸트 기준편 19 : 지지판
21 : 모터 브라켓트 22 : 수평지지부
23 : 수직지지부 24 : 팬 제어모터
25 : 틸트 제어모터 26 : 모터축기어
27 : 기어벨트 28 : 모터축기어
29 : 외측 연결기어 30 : 기어벨트
31 : 내측 연결기어 32 : 틸트 회전기어
33 : 기어벨트 34 : 회로기판
36 : 틸트 기준센서 37 : 팬 기준센서
41 : 고정베이스 42 : 지지링
43 : 상부판 44 : 하부판
44a : 팬 기준편 45 : 회전접점형 연결부재
47 : 고정기어 48 : 지지축
49 : 고정너트 53 : 상부 회로기판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케이스 내부에 줌렌즈가 내장된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를 하우징의 내하부에 설치하고,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베이스의 상부판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하우징에 고정되는 모터 브라켓트를 회전접점형 연결부재를 통해 접속하는 한편 모터 브라켓트에 카메라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틸트제어모터와 팬 제어모터를 설치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서 도 4까지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측에 투시창(12)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돔형 하우징(11)의 내하부에 장방형의 케이스(14)의 내부에 줌렌즈(미도시)가 내장되고 케이스(14)의 전방에 표면렌즈(15)가 노출된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의 상부에는 일측에 하부로 절곡된 접속부 (17)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부로 절곡된 틸트기준편(18)이 마련된 장방형의 카메라 브라켓트(16)가 설치되며, 이 카메라 브라켓트(16)의 접속부(17)는 후술할 모터 브라켓트(21)에 결합된 틸트 회전기어(32)의 일측에 결합된다.
한편 개구된 돔형 하우징(11)의 상단부에는 일측에 결여부(20)가 마련된 원판상의 지지판(19)이 고정 설치되고, 이 지지판(19)의 하부면 일측에는 일측에 수평지지부(22)의 일측 하부에 수직지지부(23)가 마련된 형태의 모터 브라켓트(21)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트(21)의 수평지지부(22) 하단 일측에는 팬 제어모터(24)가 설치되고, 수직지지부(23)의 내측에는 틸트 제어모터(25)가 설치되는 바, 팬 제어모터(24)의 모터축기어(26)는 수평지지부(22)의 상부로 돌출 설치되어 후술할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의 고정기어(47)와 기어벨트(27)를 통해 접속되고, 틸트 제어모터(25)의 모터축기어(26)는 수직지지부(2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지지부(23)의 외측 중앙 전방에 설치되는 외측 연결기어(29)와 기어벨트(30)를 통해 접속되며, 이 외측 연결기어(29)와 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내측 연결기어(31)는 수직지지부(2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틸트 회전기어(32)와 기어벨트(33)를 통해 접속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팬 제어모터(24) 및 틸트 제어모터(25)는 외부에서 그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나 서보모터 (servo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브라켓트(21)의 하단에는 일측에 결여부(35)가 마련되는 원판형의 하우징 회로기판(34)이 설치되며, 이 하우징 회로기판(34)의 하부면 일측에는 카메라 브라켓트(16)의 틸트 기준편(18)과 대응되는 틸트 기준센서(36)가 설치되고, 상부면 일측에는 후술할 고정베이스 하부판(44)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팬 기준편 (44a)과 대응되는 팬 기준센서(37)가 설치된다.
한편 실내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베이스(41)는 지지링(4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원판상의 상부판(43)과 하부판(44)이 설치되는 형태를 갖으며,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를 통해 모터 브라켓트(21)가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하부판(44)은 그 상단에 설치된 다수의 거리유지봉(44b)을 통해 상부판(43)과 결합되고, 상부판(43)은 그 하단에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와 접속되는 상부 회로기판(53)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는 몸체(46)의 상부가 고정베이스 하부판 (44)의 상부로 돌출되고, 몸체(46)의 하부가 고정베이스 하부판(44)의 하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몸체(46)의 하단부에 팬 제어모터(24)와 접속되는 회전기어(27)가 설치되고, 고정기어(47)의 하단면에 모터 브라켓트(21)의 접속공(21a)에 삽입되는 지지축(48)이 마련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에서 모터 브라켓트(21)의 접속공(21a)에 삽입되어 모터 브라켓트(21)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의 지지축(48)의 하단부 외주에는 고정너트(49)가 결합되며, 지지축(48)의 하단으로 인출되는 연결전선(50)은 하우징 회로기판(34)에 접속된다.
도 3에는 고정베이스 상부판(43)과 상부 회로기판(53)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하부판(44)의 상부로 돌출된 회전접점형 연결부재 몸체(46)에 연결된 연결전선(51)의 접속커넥터(52)가 하단부에 접속되는 원판상의 상부 회로기판 (53)의 상단부 중앙에는 접속커넥터(54)와 케이블 연결축(55)이 설치되며, 상부판 (43)의 중앙에는 그에 대응되는 장방형의 관통공(56)과 원형의 연결공(57)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부판(43)의 상부로 돌출된 상부 회로기판(53)의 접속커넥터(54) 및 케이블 연결축(55)에 제어전선(미도시)이 결선되는 접속커넥터(58) 및 케이블단자(미도시)를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60은 고정베이스(41)의 지지링(42)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과 고정베이스(41) 연결부위를 밀폐하는 밀폐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모터 브라켓트(21)에 설치된 틸트제어모터(25)를 통해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의 지지축(48)에 결합된 모터 브라켓트(21) 및 그에 결합된 하우징,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 등을 좌우방향으로 무제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틸트제어모터(25)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의 모터축기어(28)에 접속된 외측 연결기어(29) 및 내측 연결기어(31)를 통해 틸트 회전기어(3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틸트 회전기어(32)에 접속된 카메라 브라켓트(16)와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틸트제어모터(25)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의 표면렌즈(15)는 하우징(11)의 투시창(12)쪽을 향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팬 제어모터(2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의 모터축기어(28)가 일 방향으로 자전하는 동시에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의 고정기어(47)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일 방향으로 공전하게 되므로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의 지지축(47)에 지지되는 모터 브라켓트(21) 및 그에 결합된 지지판(19), 하우징(11), 하우징 회로기판(34), 카메라 브라켓트(16),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 (13)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팬 제어모터(24)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모터 브라켓트(21) 및 하우징(11), 그리고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 (13) 등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우징(11)의 내하부에 내장된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카메라(13)하부의 각 지역을 사각부분 없이 감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필요한 경우 줌렌즈를 작동하여 감시화면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우징 회로기판(34)의 하부면에 설치한 틸트 기준센서(34)와 카메라 브라켓트(16)의 상부면에 마련한 틸트 기준편(18)을 통해 틸트 기준각도를 설정하고, 하우징 회로기판(34)의 상부면에 설치한 팬 기준센서(37)와 고정베이스 하부판(44)의 하부면에 마련한 팬 기준편(44a)을 통해 팬 기준각도를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의 틸트 각도와 팬 각도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감시장소를 설정하게 되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설정된 각 장소를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프리셋 포지션(Preset Position)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1)의 내하부에 설치한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를 팬 제어모터(24) 및 틸트 제어모터(25)를 지지하는 모터 브라켓트(21)에 접속하며, 모터 브라켓트(21)를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를 통해 고정베이스(41)의 하부판(44)에 접속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렌즈가 카메라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를 사용함은 물론 콤팩트하게 구성한 팬틸트장치를 하우징(11)에 일체로 내장시킴으로써 하우징(11)의 부피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감시용 카메라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다 작은 설치공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하우징(11)의 외부 노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카메라장치 설치부위의 미관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를 사용하여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 및 하우징(11)을 좌우방향으로 각도제한 없이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카메라(13)로 감시할 수 없는 사각지역을 없앨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일 감시지점으로부터 다른 감시지점으로의 절환이 쉽게 되고, 그 동작시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베이스(41)의 상부판(43)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부 회로기판(53)의 접속커넥터(55)와 케이블 연결축(55)에 외부의 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선을 결선한 접속커넥터(58) 및 케이블단자를 간편하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제어전선 및 케이블단자의 접속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각 부품에 대한 고장을 수리할 때에 간편하게 제어전선 접속커넥터(58)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하부에 상부 회로기판(53)이 설치되는 상부판(43)이 지지링(42)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지링(42)의 하부에 상부판(43)에 고정되는 하부판(44)이 설치되는 고정베이스(41)의 하부판(44)에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를 통해 하부에 하우징 회로기판 (34)이 설치되는 모터 브라켓트(21)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모터 브라켓트(21)에 팬 제어모터(24)와 틸트 제어모터(25)를 설치하며, 팬 제어모터 (24)를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와 접속하고, 케이스(14) 내부에 줌렌즈가 내장된 줌렌즈 일체형 카메라(13)의 상단에 설치한 카메라 브라켓트(16)를 모터 브라켓트 (21)의 틸트 제어모터(25)에 접속하는 한편 일측에 투시창(12)이 마련된 하우징 (11)을 모터 브라켓트(21)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판(19)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브라켓트(16)의 일측 상부에 틸트 기준편(18)을 마련하고, 고정베이스 하부판(44)의 하단 일측에 팬 기준편(44a)을 마련하며, 모터 브라켓트(21)의 하부에 설치한 하우징 회로기판(34)에 하단과 상단에 틸트 기준센서(36)와 팬 기준센서(37)를 설치하여 틸트 기준각도와 팬 기준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모터 브라켓트(21)를 수평지지부(22)의 일측 하부에 수직지지부(23)가 마련된 형태로 구성하는 한편 모터 브라켓트(21)의 수평지지부(22)에 설치한 팬 제어모터(24)의 모터축기어(26)를 회전접점형 연결부재(45)에 설치한 고정기어(47)와 기어벨트(27)를 통해 접속하고, 모터 브라켓트(21)의 수직지지부 (23) 상부에 설치한 틸트제어모터(25)의 모터축기어(26)를 수직지지부(23)의 중앙에 설치한 외측 연결기어(29)와 기어벨트(30)를 통해 접속하는 동시에 외측 연결기어(29)와 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내측 연결기어(31)를 수직지지부(23)의 하부에 설치한 틸트 회전기어(32)와 기어벨트(33)를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고정베이스 하부판(44)에 설치한 상부 회로기판(53)의 상부 중앙에 접속커넥터(54)와 케이블 연결축(55)을 설치하고, 고정베이스 상부판 (43)의 중앙에 그와 대응되는 관통공(56)과 연결공(57)을 형성하여 고정베이스 상부판(43)의 상부로 돌출된 상부 회로기판(53)의 접속커넥터(54) 및 케이블 연결축 (55)에 제어전선이 결선되는 접속커넥터(58) 및 케이블단자를 접속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장치.
KR2020000016745U 2000-06-13 2000-06-13 감시용 카메라장치 KR200217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45U KR200217796Y1 (ko) 2000-06-13 2000-06-13 감시용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45U KR200217796Y1 (ko) 2000-06-13 2000-06-13 감시용 카메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423A Division KR100371848B1 (ko) 2000-06-13 2000-06-13 감시용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796Y1 true KR200217796Y1 (ko) 2001-03-15

Family

ID=7305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745U KR200217796Y1 (ko) 2000-06-13 2000-06-13 감시용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7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36B1 (ko) 2005-05-30 2008-0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0869048B1 (ko) 2008-06-27 2008-11-18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CN112492259A (zh) * 2019-09-12 2021-03-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36B1 (ko) 2005-05-30 2008-0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0869048B1 (ko) 2008-06-27 2008-11-18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CN112492259A (zh) * 2019-09-12 2021-03-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CN112492259B (zh) * 2019-09-12 2023-07-0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848B1 (ko) 감시용 카메라장치
AU20073328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 field alignment
US6705774B2 (en) Camera apparatus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100724306B1 (ko)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JPH01227138A (ja) 監視アセンブリ
KR101899489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WO2005076068A1 (ja) ドーム型カメラ
WO2006012524A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4312880B2 (ja) テレビカメラ
EP2281393A1 (en)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JP2008153842A (ja) 監視システム
JP2003174571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2360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용 구조물
EP0931972B1 (en) Parts-mounted member and method of mounting parts
JP2010074477A (ja) 電子機器
KR200217796Y1 (ko) 감시용 카메라장치
JPH0993471A (ja) パノラマ式テレビカメラ装置および映像モニタ装置
KR20050089510A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KR20140116744A (ko)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100717894B1 (ko) 팬/틸트 카메라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KR101197004B1 (ko) 파노라마 카메라의 사각을 최소화시키는 감시 카메라
JPH08102880A (ja) 監視用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