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778Y1 -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778Y1
KR200217778Y1 KR2019990005231U KR19990005231U KR200217778Y1 KR 200217778 Y1 KR200217778 Y1 KR 200217778Y1 KR 2019990005231 U KR2019990005231 U KR 2019990005231U KR 19990005231 U KR19990005231 U KR 19990005231U KR 200217778 Y1 KR200217778 Y1 KR 200217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guide
paper
gea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943U (ko
Inventor
권도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5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77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778Y1/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sett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 용지의 크기에 따라 이동되는 용지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기어부와, 가이드 벽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봉투 가이드와, 상기 봉투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기어부와, 상기 용지 급지장치의 하면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이동으로 제2 기어부를 연동시켜 봉투 가이드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중간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봉투의 사용시 봉투 가이드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여, 봉투 가이드의 오동작에 따른 봉투의 급지 불량 현상을 방지하고, 따라서 프린터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프린터 성능 신뢰성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Apparatus for envelope automation setting of printer}
본 고안은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투의 사용시 사용되는 봉투 가이드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여 봉투 가이드의 오동작에 따른 봉투의 급지 불량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프린터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린터는 Letter, A4, Executive, B5, A5, 봉투 등과 같이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프린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용지 급지장치가 구비된 프린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로써, 프린터 본체(1)의 후방에 용지 급지장치(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지 급지장치(2)는 용지 가이드(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일측의 가이드 벽(4)의 내측에 봉투의 급지시에 사용되는 봉투 가이드(5)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용지 가이드(3)는 일측에 탄성 누름편(6)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탄성 누름편(6)을 누르고 좌,우 이동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탄성 누름편(6)을 놓으면 그 탄성 누름편(6)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요철부(7)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일단 세팅된 용지 가이드(3)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봉투 가이드(5)는 봉투만 인쇄할 경우에만 수직으로 세워 사용하게 되며, 그 외의 용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닥에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세팅 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보충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4 용지와 같이 비교적 큰 폭의 용지(P1)를 인쇄할 경우에는 용지 가이드(3)를 좌측으로 벌려 공간을 확보한 후, 용지(P1)를 밀어 넣고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내리면, 가이드 벽(4) 및 용지 가이드(3)의 안내를 받으며 급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봉투 가이드(5)는 바닥면에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용지의 급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봉투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먼저, 봉투 가이드(5)를 수직으로 돌려서 세우고, 봉투(P2)를 봉투 가이드(5)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삽입한 후, 용지 가이드(3)를 봉투(P2)를 향하여 우측으로 밀어서 봉투(P2)를 세팅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봉투 가이드(5) 및 용지 가이드(3)의 사이에 봉투(P2)를 세팅한 상태에서 인쇄 명령을 내리면 봉투 가이드(5) 및 용지 가이드(3)의 사이로 봉투(P2)가 급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세팅장치는, 봉투(P2)의 인쇄를 위하여 반드시 봉투 가이드(5)를 돌려서 세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프린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의 경우에는 봉투 가이드(5)를 사용하지 않고 봉투(P2)를 가이드 벽(4)에 밀어 놓은 다음, 용지 가이드(3)를 이동시켜 봉투(P2)를 세팅한 상태에서 인쇄를 함으로써 봉투(P2)의 픽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봉투(P2)의 픽업이 억지로 이루어진다고 하여도 급지 동작이 불안정하여 급지 불량이 발생되는 등, 봉투(P2)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봉투의 사용시 사용되는 봉투 가이드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여 봉투 가이드의 오동작에 따른 봉투의 급지 불량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프린터 성능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봉투 자동 세팅장치가 구비된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평면도.
도 4는 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용지 급지장치 13 ; 가이드 벽
15 ; 용지 가이드 21 ; 제1 기어부
22 ; 수납홈 23 ; 봉투 가이드
24 ; 제2 기어부 25 ; 축핀
26 ; 중간 기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지 급지장치의 양측에 가이드 벽과, 용지 가이드가 구비되고 용지의 크기에 따라서 용지 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린터의 용지 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기어부와, 상기 가이드 벽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봉투 가이드와, 상기 봉투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기어부와, 상기 용지 급지장치의 하면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이동으로 제2 기어부를 연동시켜 봉투 가이드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중간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중간기어의 일측에 제1 기어부는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고, 타측에 제2 기어부는 항시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 기어부의 직선 이동에 의해서만 제2 기어부가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기어부에 중간 기어가 위치하는 도피홈을 형성하여, 봉투 가이드의 위치가 세팅된 상태에서 제1 기어부와 중간 기어의 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에 의하면, 봉투의 사용시 사용되는 봉투 가이드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여 봉투 가이드의 오동작에 따른 봉투의 급지 불량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프린터 성능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평면도, 도 4는 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1)의 후방에 용지 급지장치(1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용지 급지장치(12)의 일측에는 가이드 벽(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대측에는 탄성 누름편(14)이 형성된 용지 가이드(1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용지 가이드(15)는 기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지 급지장치(12)에 형성된 요철부(16)에 의해 그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는, 상기 용지 가이드(15)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기어부(21)와, 상기 가이드 벽(13)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홈(2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봉투 가이드(23)와, 상기 봉투 가이드(23)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기어부(24)와, 상기 용지 급지장치(12)의 하면 소정 부위에 축핀(25)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부(21)의 이동으로 제2 기어부(24)를 연동시켜 봉투 가이드(23)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중간 기어(2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기어부(21)와, 제2 기어부(24)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래크(21a)(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기어(26)는 상기 제1 기어부(21)와, 제2 기어부(24)의 래크(21a)(24a)가 상,하측에서 각각 맞물리는 형태의 피니언 기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부(21)에는 중간 기어(26)가 도피하기 위한 도피홈(21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에 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부(21)와, 제2 기어부(24), 그리고 중간 기어(26)의 외관으로 보이지 않는다.
또한, 봉투(P2)를 인쇄하지 않고 그 외의 용지를 인쇄하는 경우, 봉투 가이드(23)는 가이드 벽(13)의 수납홈(22)에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A4 용지와 같이 비교적 큰 폭의 용지(P1)를 인쇄할 경우에는 용지 가이드(15)를 좌측으로 벌려 공간을 확보한 후, 용지(P1)를 밀어 넣고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내리면, 가이드 벽(13) 및 용지 가이드(15)의 안내를 받으며 급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봉투 가이드(2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벽(13)의 수납홈(22)에 수납된상태를 유지하므로 봉투의 급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봉투(P2)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봉투(P2)를 가이드 벽(13)에 밀착시킨 후, 용지 가이드(15)를 봉투(P2)를 향하여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15)의 제1 기어부(21)에 형성된 래크(21a)가 중간 기어(26)에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중간 기어(26)가 축핀(2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중간 기어(26)의 회전에 의해 그 중간 기어(26)에 항시 맞물리는 래크(24a)가 형성된 제2 기어부(24)가 좌측으로 소정 거리(d) 만큼 이동하게 됨으로써 봉투 가이드(23)도 동일 거리(d) 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봉투 가이드(23) 및 용지 가이드(15)의 사이에서 봉투(P2)를 안정하도록 지지하게 되며, 상기 봉투 가이드(23)가 제자리를 잡으면, 용지 가이드(15)의 래크(21a)는 중간 기어(26)를 벗어나 도피홈(21b)에 중간 기어(26)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시 A4와 같은 비교적 큰 용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시 용지 가이드(15)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용지 가이드(15)의 래크(21a)가 다시 중간 기어(26)에 맞물려 그 중간 기어(2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중간 기어(26)의 회전에 의해 봉투 가이드(23)를 우측으로 밀어 수납홈(22)의 내부로 수납시키게 된다.
이 후, 상기 용지 가이드(15)는 래크(21a)가 중간 기어(26)를 벗어나 통상적인 안내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봉투 가이드(23)는 가이드 벽(13)의 수납홈(2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돌출 또는 수납되는 바, 상기 봉투 가이드(2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도면에 도시한 수납홈(22)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봉투 가이드(23)를 안정한 상태로 직선 이동시키는 어떠한 구조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는, 인쇄 용지의 크기에 따라 이동되는 용지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기어부와, 가이드 벽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봉투 가이드와, 상기 봉투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기어부와, 상기 용지 급지장치의 하면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이동으로 제2 기어부를 연동시켜 봉투 가이드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중간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봉투의 사용시 봉투 가이드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며, 따라서 봉투 가이드의 오동작에 따른 봉투의 급지 불량 현상을 방지하여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프린터 성능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용지 급지장치의 양측에 가이드 벽과, 용지 가이드가 구비되고 용지의 크기에 따라서 용지 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린터의 용지 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기어부와,
    상기 가이드 벽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봉투 가이드와,
    상기 봉투 가이드의 내측연부에 직각을 이루며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기어부와,
    상기 용지 급지장치의 하면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이동으로 제2 기어부를 연동시켜 봉투 가이드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중간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어의 일측에 제1 기어부는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고, 타측에 제2 기어부는 항시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 기어부의 직선 이동에 의해서만 제2 기어부가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에 중간 기어가 위치하는 도피홈을 형성하여, 봉투 가이드의 위치가 세팅된 상태에서 제1 기어부와 중간 기어의 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KR2019990005231U 1999-03-31 1999-03-31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KR200217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31U KR200217778Y1 (ko) 1999-03-31 1999-03-31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31U KR200217778Y1 (ko) 1999-03-31 1999-03-31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43U KR20000018943U (ko) 2000-10-25
KR200217778Y1 true KR200217778Y1 (ko) 2001-03-15

Family

ID=5476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31U KR200217778Y1 (ko) 1999-03-31 1999-03-31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7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43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652A (en) Apparatus for feeding paper to a printing office machine
EP1570997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feeding tray
KR100226091B1 (ko) 수동식 기록용지 삽입기구
EP0418793B1 (en) Recording apparatus
US7487961B2 (en) Sheet cassett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8174387A (ja) 多数シート挿入機トレイのための整列ゲート
EP0418740B1 (en)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CN114684643A (zh) 供送机构、图像形成装置及供送托盘
JP2009143691A (ja) 記録装置
KR0176713B1 (ko) 전사/기록용지 카트리지와 기록장치
JP4419733B2 (ja) 画像形成装置
JP4831140B2 (ja) シート保持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17778Y1 (ko) 프린터의 봉투 자동 세팅장치
JP2015024524A (ja) シート押え装置および印刷装置
US5338021A (en) Paper feeding mechanism
JP4096496B2 (ja) 給紙装置
JPH0295628A (ja) カセット
JP5163414B2 (ja) 給紙カセット
JP5499571B2 (ja) 給紙装置
JPH0542983Y2 (ko)
US116357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otatable manual feed tray
JP6177696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08257B2 (ja) プリンタの給紙装置
JPH0444509Y2 (ko)
JP6381748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