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672Y1 -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672Y1
KR200217672Y1 KR2020000029266U KR20000029266U KR200217672Y1 KR 200217672 Y1 KR200217672 Y1 KR 200217672Y1 KR 2020000029266 U KR2020000029266 U KR 2020000029266U KR 20000029266 U KR20000029266 U KR 20000029266U KR 200217672 Y1 KR200217672 Y1 KR 200217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duct
parking lot
underground parking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미터보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미터보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미터보벤트
Priority to KR2020000029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672Y1/ko

Link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하주차장에 복수개의 콤팩트한 덕트 송풍기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 송풍기의 송풍력이 미치지 않는 송풍구역에 무덕트 송풍기를 설치함으로서, 최소의 설치비용으로 환기 설비하여 환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송풍기를 주차장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덕트 송풍기의 토출구에 메인덕트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노즐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덕트 송풍기의 송풍 사각지대에 무덕트 송풍기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ventilating device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본 고안은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덕트 송풍기와 무덕트 송풍기를 지하주차장에 병행 설치하여 지하주차장의 환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창고 및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면적이 넓은 장소에서는 일산화탄소, 각종 악취 및 분진 등이 발생하고, 특히, 지하주차장은 건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대략 지하 6층 까지 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차량이 주차장소까지 이동중에 다량의 일산화탄소(CO)를 배출함으로서, 주차장법 시행규칙 등에서 일정하게 환기 설비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 설비중에서 종래의 일예를 살펴보면 사각함체형의 송풍기 본체의 전방에 메인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덕트의 양측면으로 분기되는 분기덕트를 연결하며, 상기 분기 덕트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을 설치하여 주차장 하단부에 머물러 있는 일산화탄소를 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일반적으로 덕트 송풍기라 하며 지하주차장의 면적에 따라 적정갯수를 설치하여 환기하고 있는데 이는 필요한 풍량을 얻기 위해서는 송풍기가 대형이고, 덕트의 크기도 대구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공사 기간도 길어지고 설치비가 많이 들며 건축 용적상 층고에 많은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덕트가 대구경으로 이루어져 다른 타 설비에 많은 장애와 실제 사용에 간섭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예로는 무덕트 송풍기를 일정간격으로 지하주차장의 천정에 설치하여 환기를 하고 있다.
상기의 무덕트 송풍기는 경제적이고 층고에 제한을 받지 않는 반면에 수향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설계 및 시공을 함으로서 국부적으로 환기가 되지 않는 환기의 사각지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하주차장을 지탱해주는 기둥이라든지 장애물에 의해 환기가 되지 않는 곳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지하주차장에 복수개의 컴팩트한 덕트 송풍기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 송풍기의 송풍력이 미치지 않는 송풍구역에 무덕트 송풍기를 설치함으로서, 최소의 설치비용으로 환기 설비하여 환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덕트 송풍기를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덕트 송풍기를 상세히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덕트 송풍기를 상세히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무덕트 송풍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환기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덕트 송풍기 본체 10: 송풍기 몸체
11케이스 11a: 흡입구
11b: 토출구 12: 구동모터
13: 팬 14: 소음 흡음판
20: 메인덕트 30: 분기덕트
40: 노즐 41: 에어댐퍼
42: 노즐헤드 43: 후렉시블관
200: 무덕트 송풍기 본체 201: 축류팬
202: 흡입구 203: 토출구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송풍기를 주차장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덕트 송풍기의 토출구에 메인덕트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노즐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덕트 송풍기(100)의 송풍 사각지대에 무덕트 송풍기를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덕트 송풍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덕트 송풍기(100)는 팬(13)이 설치된 송풍기 본체(10)와, 상기 송풍기 본체(10)에 연결된 메인덕트(20)와, 상기 메인덕트(20)의 양측에 연결되는 분기덕트(30)와, 상기 분기덕트(3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노즐(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 본체(10)는 사각함체 형상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모터(12)에 연결된 팬(13)이 수용되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11)는 냉각 압연 철판이나 전기 도금 아연 철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녹슬음이나 색상에 변함없이 장기간 사용에 지장이 없어야 하며 케이스(11)를 조립한 후 팬(13)에서 운전중 발생하는 공력 소음을 최소화하여 조용히 가동 할 수 있도록 케이스(11) 내부에는 흡음재(우레탄 발포용 스폰지폼)를 30∼40㎜ 두께로 하여 강력 접착제로 케이스(11)에 부착하는 것이고, 상기 케이스(11) 내측에도 소음흡입판(14)을 설치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11)에는 흡입구(11a)와 토출구(11b)가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구(11a)에는 보호 철망이 설치되어 공기중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 주어 팬(13)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팬(13)은 단흡입(SINGLE SUCTION)방식의 시로코팬으로 이루어져 있고 고정압(90㎜Aq)에 풍량은 20∼35CMM을 낼 수 있으며 소요 동력은 1HP 또는 2HP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덕트(20)는 닥트 송풍기 본체(10)의 토출구(11b)에 설치하는 것으로 원형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메인덕트(20)의 양측에는 분기덕트(30)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분기덕트(30)에 다수개 설치된 노즐(40)은 에어댐퍼(41)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노즐헤드(42)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댐퍼(41)와 노즐헤드(42) 사이에는 후렉시블관(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후렉시블관(43)은 SUS재질로 이루어져 자유자재로 토출 방향과 토출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도 4은 본 고안의 무덕트 송풍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덕트 송풍기(200)는 덕트 송풍기(100)의 송풍력이 미치는 않는 송풍구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축류팬(201)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에는 흡입구(20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토출구(203)가 형성되어 지하주차장(300)의 천정에 설치함으로서, 실내의 공기를 교반하여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환기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주차장(300)에 복수개의 덕트 송풍기(100)와 무덕트 송풍기(200)를 설치하고, 환기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환기를 원활이 하기 위해서 도면상 우측 상부에 흡기팬(311)이 설치된 흡기용 기계실(310)이 설치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배기팬(321)이 설치된 배기용 기계실(320)이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로 급ㆍ배기하고 있다.
또한, 부호 330은 자연 통풍구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 340은 차량의 주차공간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350은 차량 출입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지하주차장(300)을 일정간격으로 송풍구획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각각 복수개의 덕트 송풍기(100)를 설치하며, 상기 덕트 송풍기(100)의 송풍력이 미치지 않으면서 설치하기도 곤란한 송풍구역에 무덕트 송풍기(200)를 설치하여 자연 통풍구(330)와 흡기용 기계실(310)에 설치된 흡기팬(311)으로 외기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덕트 송풍기(100) 및 무덕트 송풍기(200)에서 공기를 송풍하여 지하주차장(300) 하단부에 공기보다 무거워 정체되어 있는 일산화 탄소 등의 오염물질을 배기용 기계실(320)에 설치된 배기팬(321)으로 강제 배기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주차장의 천정에 도 5에서와 같이 닥트 송풍기(100)와 무닥트 송풍기(200)를 설치한 후 공기를 송풍함과 동시에 흡기팬(311)과 자연 통풍구(330)를 통해 외기를 유입하게 된다.
이때 닥트 송풍기(100)와 무닥트 송풍기(200)를 햐향되게 설치하여 지하주차장(300)의 하단부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일산화 탄소 등의 오염물질을 교반 또는 반송하여 배기구 쪽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배기팬(321)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기류의 흐름을 흡기팬(311) 및 자연통풍구(330)측에서 배기팬(321) 측으로 유도함으로서 지하주차장(300)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은 외형을 컴팩트함과 아울러 성능면에서는 효율을 높인 닥트 송풍기와 상기 닥트 송풍기의 송풍력이 미치지 않는 송풍구역에 무닥트 송풍기를 병행 설치함으로서 국부적으로 환기가 되지 않던 지하주차장의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를 절감시킬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흡입구(11a)와 토출구(11b)가 형성된 덕트 송풍기(100)를 지하주차장(300)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덕트 송풍기(100)의 토출구(11b)에 메인덕트(20)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노즐(40)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덕트 송풍기(100)의 송풍 사각지대에 무덕트 송풍기(2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KR2020000029266U 2000-10-20 2000-10-20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KR200217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66U KR200217672Y1 (ko) 2000-10-20 2000-10-20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66U KR200217672Y1 (ko) 2000-10-20 2000-10-20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672Y1 true KR200217672Y1 (ko) 2001-03-15

Family

ID=7309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266U KR200217672Y1 (ko) 2000-10-20 2000-10-20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6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39B1 (ko) 2019-11-18 2020-05-04 김면갑 온도제어에 의한 동파방지 겸용 스마트 환기 제어장치
KR102194461B1 (ko) 2020-06-04 2020-12-24 주식회사 오투인더스트리 지하주차장 공기정화 시스템
CN114674051A (zh) * 2022-04-25 2022-06-28 湖北长湘联商贸有限公司 一种风机房结构及汽车库通风及排烟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39B1 (ko) 2019-11-18 2020-05-04 김면갑 온도제어에 의한 동파방지 겸용 스마트 환기 제어장치
KR102194461B1 (ko) 2020-06-04 2020-12-24 주식회사 오투인더스트리 지하주차장 공기정화 시스템
CN114674051A (zh) * 2022-04-25 2022-06-28 湖北长湘联商贸有限公司 一种风机房结构及汽车库通风及排烟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31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910006190B1 (ko) 청정실장치
JP2002081733A (ja) 空気調和装置の化粧パネル、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ATE485184T1 (de) Niedrigprofil-hvac-system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US5259816A (en) Ventilating apparatus
KR200217672Y1 (ko)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EP0694151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air to a ventilated space
JPH0833227B2 (ja) 流体処理装置
JP2014148292A (ja) 車両用空気調和機
JP3339527B2 (ja) 送風ユニット及び換気方法
JP7412149B2 (ja) 空調制御室
KR100337489B1 (ko) 건물용무덕트급기구
KR200155720Y1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JP4693614B2 (ja) ダクト用換気扇
KR101852479B1 (ko) 가변형 다방향 토출구를 구비한 지능형 송풍기
KR100218918B1 (ko)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
CN2526563Y (zh) 直喷射流诱导风机
JP3384036B2 (ja) 換気装置
JP2550225Y2 (ja) 床下と天井裏の換気装置
FI91802C (fi) Ilmanvaihtojärjestelmä monikerroksista rakennusta varten
CN219283544U (zh) 一种隔断仓
JPS5830Y2 (ja) デイリベントユニツト
JP4787767B2 (ja) 建物のダクト設置構造、及びダクト設置方法
JPS62190339A (ja) 清浄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409

Effective date: 2003122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