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583Y1 - 옹벽용 블럭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583Y1
KR200217583Y1 KR2020000019955U KR20000019955U KR200217583Y1 KR 200217583 Y1 KR200217583 Y1 KR 200217583Y1 KR 2020000019955 U KR2020000019955 U KR 2020000019955U KR 20000019955 U KR20000019955 U KR 20000019955U KR 200217583 Y1 KR200217583 Y1 KR 200217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grooves
blocks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은산업
Priority to KR2020000019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583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하천 제방 또는 호안 등의 옹벽 설치가 필요한 모든 절토면에 옹벽을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블럭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콘크리트 블럭은 옹벽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T자형 블럭, 옹벽을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주는 구간분할용 블럭, 옹벽의 후방에서 옹벽을 지지하여 주는 옹벽지지용 블럭, 완성된 옹벽의 최상부에 적재되는 옹벽마감용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럭들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옹벽이 설치될 장소에서 측량을 행하여 정확한 위치에 다수의 수직부재를 설치하고, T자형 블럭과 구간분할용 블럭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홈으로 수직부재를 통과시키면서 블럭을 쌓아 나가고, 후방에는 옹벽지지용 블럭을 고정시켜서 T자형 블럭 및 구간분할용 블럭을 와이어에 의해 옹벽지지용 블럭과 연결하고, 완성된 옹벽의 최상부에 옹벽마감용 블럭을 적재하고, 옹벽과 옹벽지지용 블럭과의 사이를 흙이나 잡석 등으로 메꾸어준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럭 {Blocks for Constructing a Breast Wall}
본 고안은 옹벽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면 등에 옹벽을 설치할 때에 옹벽의 시공과 보수를 쉽게 하는 한편 옹벽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여 주는 옹벽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옹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의 블럭을 구간 구분 없이 민자 형태로 길게 연속적으로 조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옹벽은 옹벽 배토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이 옹벽 전체에 강하게 작용되는 단점이 있으며, 배토면의 토압에 의해 옹벽의 일부분이 붕괴되었을 경우에 그 붕괴된 부분을 보수하고자 할 때는 민자 형태로 길게 연속적으로 조적되어 있는 특징 때문에 새로 보수하는 옹벽과 기존의 옹벽이 잘 맞지 않아 틈이 발생하는 결과가 빈번히 초래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새로 보수하는 옹벽과 기존의 옹벽에 형성되는 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블럭을 절단하거나 블럭을 깨뜨려서 억지로 짜 맞추는 강제조적방식을 취하거나, 틈이 발생된 부분에 강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틈을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거나, 아니면 다시 옹벽 전체를 시공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이렇게 강제조적방식에 의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방식에 의해 틈이 제거된 곳은 하나의 미봉책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2차, 3차 재 붕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현장에 있어서, 하나의 작업장소에서 옹벽을 계속적으로 조적하면서 나가는 것이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여러 작업장소에서 동시에 옹벽을 쌓아 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시점이 되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쌓아 온 옹벽이 만나게 되며, 최종적으로 만나는 부분을 이음처리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옹벽을 만들고 있다.
옹벽용 블럭은 대개 형틀에 의해서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형틀의 마모나 다른 원인에 의해서 모든 블럭이 완전히 동일한 치수로 제작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작업방법과 같이 서로 다른 작업장소에서 옹벽을 쌓아오기 때문에 옹벽설치 장소의 주변여건 또는 시공상의 다양한 난점들에 의한 결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에서 쌓아온 옹벽이 만나는 부분은 일치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틈새를 형성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이러한 틈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강제조적방식 또는 콘크리트 타설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이 흉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붕괴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옹벽 및 하천의 제방 또는 호안(湖岸) 등에 사용되는 블럭에는 철근이 삽입되지 않은 무근형태의 블럭들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옹벽 배면의 토압에 의한 블럭 변형이 쉬우며, 쉽게 파손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옹벽시공에 사용되는 각 블럭에 형성되어 있는 무늬는 단순고딕형태의 돌출형으로서 자연과의 친화력이 없으며, 그 색상 또한 회백색의 콘크리트 색상을 띠는 것이 주종을 이르기 때문에 자연속에 시공되는 옹벽일 경우 자연경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길게 설치되는 옹벽의 사이사이에 구간 분할용 블럭을 삽입하여 옹벽의 시공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의 사이사이에 구간 분할용 블럭을 삽입하여 옹벽 배토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며, 옹벽에 시공되는 모든 블럭들에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부가하여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콘크리트 블럭은 옹벽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T자형 블럭, 옹벽을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주는 구간분할용 블럭, 옹벽의 후방에서 옹벽을 지지하여 주는 옹벽지지용 블럭, 완성된 옹벽의 최상부에 적재되는 옹벽마감용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럭들을 시공할 때에는, 옹벽이 설치될 장소에서 측량을 행하여 정확한 위치에 다수의 수직부재를 설치하고, T자형 블럭과 구간분할용 블럭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홈으로 수직부재를 통과시키면서 블럭을 쌓아 나가고, 후방에는 옹벽지지용 블럭을 고정시켜서 T자형 블럭 및 구간분할용 블럭을 와이어에 의해 옹벽지지용 블럭과 연결하고, 완성된 옹벽의 최상부에 옹벽마감용 블럭을 적재하고, 옹벽과 옹벽지지용 블럭과의 사이를 흙이나 잡석 등으로 메꾸어주면 된다.
도 1은 종래의 옹벽이 시공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T자형 블럭, 구간분할용 블럭 및 옹벽지지용 블럭을 사용하여 옹벽을 제작하는 하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T자형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간분할용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간분할용 블럭의 한 가지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옹벽지지용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옹벽마감용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T자형 블럭, 구간분할용 블럭 및 옹벽지지용 블럭을 사용하여 옹벽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0은 완성된 옹벽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옹벽의 완성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T자형 블럭 2 : 구간분할용 블럭
3 : 옹벽지지용 블럭 4 : 옹벽마감용 블럭
5 : 와이어 안내홈 6a, 6d : 수직부재 통과구멍
7a, 7b : 수직부재 안내 홈 8a, 8b : T자형 블럭 결합용 홈
9 : 와이어 체결부재 홈 10 : 말뚝삽입용 구멍
11a, 11b : 연결부재 홈 12 : 기초 콘크리트 바닥
13 : 와이어 14 : 수직부재
15 : 체결부재 16 : 연결부재
17 : 말뚝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T자형 블럭(1)을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옹벽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간분할용 블럭(2)을 배열하여 옹벽을 완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자형 블럭(1) 또는 구간분할용 블럭(2)에는 수직부재(14)가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하층의 T자형 블럭(1) 또는 구간분할용 블럭(2)은 수직부재(14)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탱된다.
또한 옹벽의 후면에는 지지블럭(3)이 배열되고, T자형 블럭(1) 또는 구간분할용 블럭(2)을 통과하는 수직부재(14)는 와이어(13)에 의해 지지블럭(3) 내의 체결부재(15)와 연결된다.
도 3에는 T자형 블럭(1)의 개략적인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블럭(1)에는 수직부재(14)(도 2 참조)가 관통하기 위한 구멍(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6a)의 좌우에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나사홈(6b)(6c)이 형성되어 있다.
T자형 블럭(1)을 제작할 때에는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간분할용 블럭, 옹벽지지용 블럭, 옹벽마감용 블럭도 마찬가지로 제작시에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나사홈(6b)(6c)은 T자형 블럭(1)을 운반하거나 이동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체결용 금구를 나사홈(6b)(6c)에 삽입하고 이 금구에 로프 등의 운반도구를 연결하면 T자형 블럭(1)을 운반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T자형 블럭(1)의 좌우측 단부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한 쌍의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재 안내홈(7a)(7b)은 옹벽을 설치할 때에 인접하게 되는 T자형 블럭(1)의 수재부재 안내홈(7a)(7b) 또는 후술하는 구간분할용 블럭(2)의 수재부재 안내홈(7a')(7b')과 밀착되어 완전한 구멍을 형성하며, 그 형성된 구멍으로 수직부재(14)가 통과하게 된다.
T자형 블럭(1)의 상부 표면에는 구멍(6a)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홈(5)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홈(5)은 와이어 안내홈으로서, 지지 블럭(3)(이에 대하여는 후술함)과 수직부재(14)를 연결하는 와이어(13)가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또한 와이어 안내홈(5)은 T자형 블럭(1)의 상측으로 다른 T자형 블럭(1)이 적층될 경우에 상측의 T자형 블럭(1)의 하부면과 와이어(13)의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와이어(13)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구간분할용 블럭(2)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분할용 블럭(2)의 중앙부에는 수직부재(14)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6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6a)의 좌우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분할용 블럭(2)을 운반 또는 이동할 때에 사용되는 나사홈(6b)(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간분할용 블럭(2)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구간분할용 블럭(2)의 모서리 인접 지역에는 다수의 수직부재 관통구멍(6d)이 형성되어 있다.
구간분할용 블럭(2)의 좌우측 단부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수직부재 안내홈 (7a)(7b)을 가진 요홈(凹溝)(8a)(8b)(이하 'T자형 블럭 결합용 홈'이라 한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a)(8b)은 옹벽을 시공할 때에 T자형 블럭(1)의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있는 부분과 결합되는 곳이다.
즉, 구간분할용 블럭(2)의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a)(8b)에는 T자형 블럭(1)의 두부(頭部)가 결합되며, 이때 구간분할용 블럭(2)의 수직부재 안내홈(7b)과 T자형 블럭(1)의 수직부재 안내홈(7a)이 합쳐져서 완전한 원을 형성하면서 수직부재 (14)의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간분할용 블럭(2)에는 중앙의 수직부재 관통구멍(6a)과 또 다른 다수의 수직부재 관통구멍(6d)을 통하여 다수의 수직부재(14)가 통과할 뿐만 아니라, 구간 분할용 블럭(2)의 좌우측으로는 T자형 블럭(1)과 결합되면서 수직부재 안내홈(7a)(7b)를 또한 수직부재(14)가 관통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옹벽의 배토면에서 옹벽으로 전달되는 토압을 보다 강하게 지탱할 수 있고, 구간분할용 블럭(2)과 구간분할용 블럭(2) 사이에 조적된 하나의 옹벽이 붕괴될 경우에 다른 구간에 조적된 옹벽이 붕괴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구간분할용 블럭(2)의 상부 표면에는 구멍(6a)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와이어 안내홈(5)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전술한 T자형 블럭(1) 내에 형성된 와이어 안내홈(5)과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옹벽을 시공하는 현장의 지형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간분할용 블럭(2)을 변형시킨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 또는 호안(湖岸) 또는 각종 공사에 의해서 만들어진 절토면은 대개 그 형태가 일직선이 아니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구간분할용 블럭(2')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간분할용 블럭(2')에 있어서는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a)(8b)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구간분할용 블럭(2')의 좌측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a)(8b)을 구간분할용 블럭(2')의 우측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것은 거의 직각에 가깝게 굽은 지형에 대비하기 위해서 제작된 것이며, 와이어 안내 홈(5)은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a)과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b)의 중간을 지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된 구간 분할용 블럭(2')은 다양한 지형에 따라 적절하게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 형틀의 간단한 변형에 의해서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a)(8b)의 위치 및 와이어 안내홈(5)의 위치와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T자형 블럭(1)과 구간분할용 블럭(2)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T자형 블럭(1)을 쌓아가는 도중에 옹벽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구간분할용 블럭(2)을 쌓아서 전체 옹벽이 구간분할용 블럭(2)에 의해 일정한 간격의 구간으로 나뉘어지도록 하여준다.
이와 같이 구간분할용 블럭(2)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하기 때문에 여러 작업장소에서 동시에 옹벽을 시공하여도 인접하는 작업자들이 결국 구간분할용 블럭 (2)에서 만나기 때문에 종래에 옹벽 시공에서 문제로 되었던 틈새를 상쇄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여러 작업장소에서 동시에 옹벽을 시공할 때에 인접하는 작업자들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는 옹벽의 주변여건, 블럭 치수의 불일치성, 시공상의 미세한 오차 등에 따라 틈새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틈새를 메우기 의해서 강제 조적 방식이나 콘크리트 타설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옹벽붕괴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간분할용 블럭(2)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감소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럭들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우선 옹벽이 설치될 주변여건을 측량하고 수직부재(14)를 세워야할 지점 및 개수 그리고 구간분할용 블럭(2)을 조적할 위치 등을 정확히 계산한 후에, 수직부재(14)를 소정의 위치마다 설치하고 기초 콘크리트 바닥(12)(도 2 참조)을 설치한다. 기초 콘크리트 바닥(12)은 수직부재(14)를 지탱하고 옹벽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또한 옹벽을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후, 수직부재(14)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따라서 T자형 블럭(1) 및 구간분할용 블럭(2)을 쌓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작업장소에서 동시에 옹벽을 시공하여도 그 치수가 일정하고 인접하는 작업자들이 만나는 지점에서 옹벽이 어긋나는 일이 없게 된다.
상하층의 T자형 블럭(1)을 중심축이 엇갈리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쌓으려고 할 때에는 구간분할용 블럭(2)과 맞닿는 부분의 T자형 블럭(1)을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반으로 나누어 쌓을 수도 있고 또는 공장에서 절반짜리 T자형 블럭을 생산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간이 분할되어 시공된 옹벽은 구간마다 배토면의 토압을 전달받아 지탱하기 때문에 연속 조적된 옹벽에 비해 토압에 강한 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만약에 강한 토압이 옹벽에 전달되어 어느 1구간의 옹벽이 붕괴되더라도 이미 구간이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구간의 옹벽이 연속적으로 붕괴하는 일이 차단되며, 따라서 붕괴된 일부 구간의 옹벽만을 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옹벽을 보수하는 일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종래에는 붕괴된 옹벽을 보수할 경우 새로 시공되는 옹벽과 기존의 옹벽이 잘 맞지 않아 만나는 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였고,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강제 조적 방식이나 콘크리트 타설방식을 사용하여 보수를 행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2차, 3차 붕괴의 원인이 되거나 혹은 옹벽 전체를 다시 시공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의 많은 비용, 시간 및 인력을 투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럭들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은 붕괴된 구간만을 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12)과 함께 설치된 수직부재(14)에 의해 붕괴 전에 시공된 옹벽과 동일한 옹벽을 새로 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옹벽지지용 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옹벽지지용 블럭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지지용 블럭(3)의 상단부에는 와이어 체결부재 홈(9)과 말뚝삽입용 구멍(10)이 같은 선상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와이어 체결부재 홈(9)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서는 와이어 안내홈(5)이 길게 연장되어 있다. 옹벽지지용 블럭(3)의 양측 단부에는 연결부재 홈(11a)(1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체결부재 홈(9), 말뚝삽입용 구멍(10) 및 연결부재 홈(11)의 내부는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체결부재 홈(9)은 옹벽과 연결되는 와이어(13)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 체결부재 홈(9)에 체결부재(15)를 삽입한 후에 옹벽 내의 수직부재(14)와 체결부재(15)의 사이를 와이어(13)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말뚝삽입용 구멍(10)은 옹벽지지용 블럭(3)의 내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옹벽지지용 블럭(3)의 고정과 운반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옹벽지지용 블럭(3)을 운반할 경우에는 고리형태를 가진 금구(도시하지 않았음)를 말뚝삽입용 구멍(10)과 고정시키고, 그 금구에 로프 등을 결속하여 인력이나 장비 등에 의해서 옹벽지지용 블럭(3)을 운반하면 된다. 옹벽지지용 블럭(3)이 축조 현장까지 운반되면 말뚝삽입용 구멍(10)에서 금구를 제거하고, 그 말뚝삽입용 구멍(10)에 말뚝(17)(도 9 참조)을 수직하게 박아서 옹벽지지용 블럭(3)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연결부재 홈(11a)(11b)에는 인접하는 옹벽지지용 블럭(3) 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6)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옹벽지지용 블럭(3)은 옹벽에 전달되는 배토면의 토압을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서, 옹벽이 조적될 때에 그 옹벽의 배후에 동시에 설치된다. 즉, 옹벽이 1층씩 조적될 때마다 그 옹벽의 배후에 옹벽과 같은 높이로 옹벽지지용 블럭(3)을 말뚝(17)을 박아 설치하고, 옹벽지지용 블럭(3)의 와이어 체결부재 홈(9)에 체결부재(15)를 삽입한 다음, 옹벽내의 수직부재(14)와 체결부재(15)의 사이를 와이어(13)로 연결시킨다 (도 9 참조).
옹벽지지용 블럭(3) 내의 와이어 체결부재 홈(9) 및 말뚝용 삽입 구멍(10)의 개수는 옹벽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마감용 블럭(4)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마감용 블럭(4)은 옹벽이 완성되었을 때에 옹벽의 최상부에 적층되는 블럭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용 블럭(4)의 상단부에는 수직부재(14)가 통과하는 구멍(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6a)의 좌우측으로 마감용 블럭(4)의 단부에는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옹벽이 완전히 시공되면 마감용 블럭(4)의 구멍(6a)과 수직부재 안내홈(7a)(7b)에 수직부재(14)를 통과시켜 옹벽의 최상부에 설치하며, 마감용 블럭(4)의 구멍(6a)과 수직부재 안내홈(7a)(7b)은 마감용 블럭(4)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마무리한다.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T자형 블럭(1), 구간분할용 블럭(2), 마감용 블럭(4)에 형성된 각종 구멍과 홈에 수직부재(14)가 통과하면 그 즉시 충진용 모르타르를 삽입시켜 수직부재(14)와 T자형 블럭(1), 구간분할용 블럭(2), 마감용 블럭(4)을 단단히 결속시킨다.
한편, 옹벽의 단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T자형 블럭(1), 구간분할용 블럭(2), 마감용 블럭(4)의 정면부에 다양한 무늬를 부가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T자형 블럭(1), 구간분할용 블럭(2), 옹벽지지용 블럭(3), 마감용 블럭(4)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하나의 시공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옹벽을 설치할 장소에 수직부재(14)를 소정의 위치에 배열하고 기초 콘크리트 바닥(12)을 양생하여 옹벽의 저면부를 형성시킨다. 기초 콘크리트 바닥 (12)에 설치되는 수직부재(14)는 사전에 모든 측량 및 계측을 거쳐서 계산된 위치에 세워지는 것이며, 기초 콘크리트 바닥(12)을 설치하기 전에 철근을 배근하여 기초 콘크리트 바닥(12)의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기초 콘크리트 바닥(12) 내에 설치된 수직부재(14)는 T자형 블럭(1)의 구멍 (6a) 및 수직부재 안내홈(7a)(7b), 구간분할용 블럭(2)의 구멍(6a)과 구멍(6d) 및 수직부재 안내홈(7a)(7b), 그리고 마감용 블럭(4)의 구멍(6a) 및 수직부재 안내홈 (7a)(7b)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이며, 수직부재(14)는 옹벽의 높이만큼 긴 것을 처음부터 세울 수도 있고, 혹은 적정한 길이(예를 들어 T자형 블럭이 3∼4층 적재되는 높이 정도)의 것을 세워 놓았다가 블럭을 조적하여 가면서 새로운 수직부재 (14)를 상술한 구멍 및 홈에 삽입하여 콘크리트로 고정하면서 계속적으로 쌓아가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는 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수직부재(14)를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12)을 설치한 후에는 그 상부에 구간분할용 블럭(2)과 T자형 블럭(1)을 조적하게 된다. 우선, 구간분할용 블럭 (2)을 관통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수직부재(14)에 구간분할용 블럭(2)의 구멍(6a), 구멍(6d), 수직부재 안내홈(7a)(7b)을 관통시키고, 그 양측면으로 구간분할용 블럭 (2)의 수직부재 안내홈(7a)(7b)과 T자형 블럭(1)의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서로 만나도록 구간분할용 블럭(2)의 T자형 블럭 결합용 홈(8a)(8b)에 T자형 블럭(1)의 두부(頭部)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그 측면으로 인접하는 T자형 블럭(1)들의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서로 만나도록 T자형 블럭(1)을 계속 위치시키면서 T자형 블럭(1)을 조적하여 나간다. 수직부재(14)가 관통하는 모든 구멍과 홈에는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각 블럭과 수직부재(14)의 결속을 더욱 공고히 한다.
이와 같이 옹벽의 최하단이 완성되면 옹벽 후면의 적당한 위치를 선정하여 옹벽지지용 블럭(3)을 설치하고, 옹벽지지용 블럭(3)의 말뚝삽입용 구멍(10)에 말뚝(17)을 박아서 옹벽지지용 블럭(3)을 지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옹벽지지용 블럭(3)의 연결부재 홈(11a)(11b)에 연결부재(16)를 체결하여서 인접하는 옹벽지지용 블럭(3)들을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옹벽의 후면으로 옹벽지지용 블럭(3)이 설치되면, 옹벽지지용 블럭(3)의 와이어 체결부재 홈(9)에 체결부재(15)를 삽입하고, T자형 블럭(1)의 구멍(6a)을 통과하는 수직부재(14) 및 구간분할용 블럭(2)의 구멍(6a)을 통과하는 수직부재(14)를 와이어(13)에 의해 전술한 체결부재(15)와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옹벽의 최하단이 완료되며, 그 윗쪽으로 다시 구간분할용 블럭(2) 및 T자형 블럭(1)을 쌓고 후방에 옹벽지지용 블럭(3)을 설치하는 단계를 계속하여 나간다. 이때, 옹벽을 쌓는 단계의 중간 중간마다 옹벽과 옹벽지지용 블럭 (3)의 사이에 잡석 등을 채워 메워줌으로써 배토면에서 형성되는 물이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 T자형 블럭(1)을 쌓을 때에는 상하층의 T자형 블럭 (1)의 중심축이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쌓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원하는 높이만큼의 옹벽을 쌓은 후, 옹벽의 최상부에 마감용 블럭(4)을 적층시킴으로써 옹벽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마감용 블럭(4)을 적층할 때에는 마감용 블럭(4) 내의 구멍(6a)과 수직부재 안내홈(7a)(7b)으로 수직부재 (14)를 통과시키면 된다.
도 10에는 완성된 옹벽의 최상부에 마감용 블럭(4)이 적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실제 공사시에 마감용 블럭(4)이 적층될 때에는 옹벽과 옹벽지지용 블럭(3) 사이가 잡석 등으로 메꾸어져 있게 되지만, 도면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옹벽지지용 블럭(3)이 드러나도록 도시하였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옹벽 후방의 옹벽지지용 블럭(3)들이 비스듬한 계단과 같은 형태로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공사현장의 여건에 따라서는 옹벽지지용 블럭(3)들이 수직열을 이루도록 일렬로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옹벽의 최상층에 마감용 블럭을 적층한 후, 수직부재(14)가 통과하는 구멍 (6a) 및 수직부재 안내홈(7a)(7b)을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마무리하고, 마감용 블럭 (4)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까지 옹벽의 후방을 흙과 잡석 등으로 메꾸어주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설치공사가 완료된다. 도 14에 있어서, 참조부호 (18)은 흙 또는 잡석이며, 참조부호(19)는 새로 형성된 지표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옹벽용 블럭들에 의하면, 옹벽을 시공할 때에 미리 구간을 분할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사전에 치밀한 계획과 측량에 의해 수직부재를 세우고 그 수직부재에 각 블럭들을 통과시킴으로써 종래에 발생되었던 틈새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여 옹벽의 안전성이 최대화될 뿐만 아니라, 특히 옹벽이 붕괴될 경우에는 붕괴된 구간만을 다시 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용하다.
본 고안의 옹벽용 블럭들을 사용하여 옹벽을 설치할 때에는 미리 수직부재를 세우고 각 블럭들의 구멍을 수직부재로 통과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블럭들을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쌓지 않고 장비를 이용하여 옹벽공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옹벽을 설치할 때의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각 블럭의 정면부에는 다양한 무늬 또는 모양을 각 블럭과 일체로 구성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였으며, 그 각 블럭의 색상 또한 자연색과 동일하게 하여 자연친화적인 면모를 더욱 부가시켰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내용과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하여질 수 있음도 명백하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좌우 대칭축상의 임의의 지점에는 수직부재(14)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 (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6a)의 좌우측으로 블럭의 가장 바깥쪽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6a)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와이어 안내홈(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럭(1).
  2.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수직부재(14)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6a)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 중의 어느 두 면에는 요홈(8a)(8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요홈(8a)(8b)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8a)(8b)들이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멍 (6a)과 상기 배면의 사이에, 그리고 상기 요홈(8a)(8b)들이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의 하나와 배면에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요홈(8a)(8b)들이 위치하는 면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과 상기 구멍(6a)의 사이에 와이어 안내홈(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구간분할 블럭(2)(2').
  3. 다수의 와이어 체결부재 홈(9)이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체결부재 홈(9)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와이어 안내홈 (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체결부재 홈(9)들의 중간위치에는 말뚝삽입용 구멍(10)이 형성되어 있고,
    양 단부에는 인접하는 옹벽지지용 블럭과 연결되는 연결부재(16)를 삽입하기 위한 홈(11a)(1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지지용 블럭(3).
  4.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수직부재(14)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6a)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6a)의 좌우측으로 블럭의 가장 바깥쪽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수직부재 안내홈(7a)(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마감용 블럭(4).
KR2020000019955U 2000-07-12 2000-07-12 옹벽용 블럭 KR200217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55U KR200217583Y1 (ko) 2000-07-12 2000-07-12 옹벽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55U KR200217583Y1 (ko) 2000-07-12 2000-07-12 옹벽용 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536A Division KR100375821B1 (ko) 2000-07-11 2000-07-11 옹벽용 블럭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583Y1 true KR200217583Y1 (ko) 2001-03-15

Family

ID=7305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955U KR200217583Y1 (ko) 2000-07-12 2000-07-12 옹벽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5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010B1 (ko) 옹벽 블록
CN101798817B (zh) 组合式挡土墙结构
CN110268124B (zh) 一种预浇筑加强重型混凝土护土墙
WO2018017656A1 (en) Veneer connectors,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walls
EP2694745B1 (en) Modular system of building blocks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CA1286123C (en) Structural assembly for producing walls
KR100538186B1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100375821B1 (ko) 옹벽용 블럭 및 그 시공 방법
KR100290257B1 (ko)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217583Y1 (ko) 옹벽용 블럭
KR20060001203A (ko)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KR100671959B1 (ko) 옹벽의 축조방법
JP2005068710A (ja) 壁用型枠ブロックと壁構造並び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
JP3499781B2 (ja) 組上げ構築壁及びその施工法
JPS586019B2 (ja) 擁壁パネル及びその組立て工法
JP7284617B2 (ja) 基礎構造
JPH04254618A (ja) 石積み擁壁構造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2457396B1 (ko)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JPS6323475Y2 (ko)
JP6301989B2 (ja) ブロック塀の施工方法
JPH01111923A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