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396B1 -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396B1
KR102457396B1 KR1020220067811A KR20220067811A KR102457396B1 KR 102457396 B1 KR102457396 B1 KR 102457396B1 KR 1020220067811 A KR1020220067811 A KR 1020220067811A KR 20220067811 A KR20220067811 A KR 20220067811A KR 102457396 B1 KR102457396 B1 KR 10245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ar
horizontal reinforcing
support b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김대우
김정현
윤혁기
김기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정
김민수
김대우
김정현
윤혁기
김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정, 김민수, 김대우, 김정현, 윤혁기, 김기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정
Priority to KR102022006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시공되는 건물의 전체 면적을 넓혀 건물의 충분한 공간확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과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흙막이 구조물은, 받침판체와, 상기 받침판체의 전면측에서 결합하고 양측 단부가 받침판체의 양측 단부와 함께 H빔의 홈에 끼이는 것으로서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와, 상기 좌측지지바와 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철근이 구비된 골격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SOIL RETAINING CONSTRUCTION FOR FORMING WALL AND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건축 시 H빔과 함께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물이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기초구조물이 되도록 한 흙막이 구조물과, 그것을 설치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신축 등 각종 공사를 위해 터파기 및 굴착을 할 때, 흙(토사)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막도록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한다.
흙막이 구조물은 H빔과 토류판을 설치하는 구조가,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이유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된다.
상기 H빔은 H형상 단면을 가지는 형강파일(Pile)을 의미하는 것이고, 토류판은 토압을 직접 막는 판재로서 목재, 강재,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목재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의 신축 시 터파기 및 굴착이 이루어지는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H빔(2)을 수직으로 박아 설치한 후, 토류판(3)을 H빔(2) 사이에서 양측 H빔(2)의 홈에 끼워 흙막이 구조물(4)를 형성한다.
흙막이 구조물이 둘레를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흙막이 구조물이 둘러싼 영역의 내측에서 기초 공사를 하고 벽체 등 건물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없는 공사현장에서, 토지의 둘레를 따라 흙막이 구조물(4)을 설치한 후, 그 흙막이 구조물(4)이 둘러싼 내측에 건물이 시공되면, 확보된 전체 공간에서 흙막이 구조물(4) 만큼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에서 건축이 이루어지는 바, 흙막이 구조물(4)로 인해 신축될 수 있는 건물의 면적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개지 옹벽 시공 시 부족한 부지의 확보 문제로 사업 계획이 축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지하에 주차장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건물의 시공 시, 협소한 토지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여 가급적 많은 주차면이나 장애인 편의 제공 공간 등이 확보될 수 있는 건물의 설계와 시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92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873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0-83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현장의 둘레에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하여 건물이나 구조물 , 영조물 등의 신축이 이루어짐에 있어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시공되는 건물의 전체 면적을 넓혀 건물의 충분한 공간확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확보된 토지에 대하여 최대한 넓은 건물공간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은, 후면을 형성하여 흙을 받치는 받침판체; 및 상기 받침판체의 전면측에서 상기 받침판체와 결합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받침판체의 양측 단부와 함께 H빔의 홈에 끼이는 구조물로서, 양측 단부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며 양측의 H빔의 각 홈에서 H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지지받는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와, 상기 좌측지지바와 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철근이 구비된 골격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은, 상기 좌측지지바가 소정간격으로 상하에 설치되는 상부좌측지지바 및 하부좌측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지지바는 소정간격으로 상하에 설치되는 상부우측지지바 및 하부우측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좌측지지바 및 하부좌측지지바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좌측상하지지로드와, 상기 상부우측지지바 및 하부우측지지바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우측상하지지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철근은, 상기 상부좌측지지바와 상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상부후측수평철근과, 상기 상부후측수평철근과 나란히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좌측지지바와 상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상부전측수평철근과, 상기 하부좌측지지바와 하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부후측수평철근과, 상기 하부후측수평철근과 나란히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좌측지지바와 하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부전측수평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에 결합되는 상부보강바와,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에 결합되는 하부보강바와, 상기 상부보강바와 상기 하부보강바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상하보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은, 상기 수평철근에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체와 상기 골격구조물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받침판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보강바는,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이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 상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보강바는,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이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 상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보강바와 하부보강바 및 상하보강로드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직철근이 근접하여 설치 시에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은, 건물의 외각영역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H빔을 수직으로 박아 설치하는 H빔 설치단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을, 인접한 양측의 상기 H빔의 홈에 양측 단부를 끼워 설치하되, 다수의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을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차 설치하는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 인접한 양측의 상기 H빔 사이에서 상기 수평철근과 교차하도록 수직철근을 세우는 수직철근 설치단계; 상기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과 수직철근의 전방에서 상기 받침판체와 대향하도록 판상의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받침판체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H빔, 골격구조물, 수직철근이 일체화된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은, 상기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 후, 벽체가 형성될 위치의 저부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버림콘크리트 상에 기초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수직철근은 상기 기초철근과 결속되어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수직철근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철근이 경사철근을 매개로 수평철근의 지지를 받도록, 상기 경사철근이 상기 수직철근 및 기초철근과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은, 흙막이 구조물이 토류판의 역할과 함께 벽체의 보강철근이 되어 흙막이 구조물 자체가 영구벽체가 됨으로써, 가 시설용 토류판 내측에 별도의 건물 벽체가 형성되는 종래 구조와 달리, 토지의 공간활용성을 높여 건물이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옹벽으로 사용이 되어질 경우 옹벽의 저판 축소 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받침판체와 그것에 결합되는 골격구조물로 이루어져 대량생산 및 현장운반이 용이하고, 토류판의 역할과, H빔 사이의 콘크리트 영구벽체의 골격을 형성하기에 매우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전술한 벽체의 시공방법은, 흙막이 구조와 건물 벽체가 일체화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시공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흙막이 구조물의 구성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수직철근 설치단계 전에 실시하는 버림콘크리트의 타설작업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수직철근 설치단계 전에 실시하는 기초철근의 배근작업에 관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수직철근 설치단계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도 6에서 수직철근 및 경사철근의 설치상태에 관한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거푸집 설치단계에 관한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10)은, 구조물의 후면을 형성하여 흙을 받치는 받침판체(20)와, 받침판체(20)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받침판체(20)와 결합되는 골격구조물(3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체(20)는, 목재합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H빔(5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측으로부터 붕괴될 수 있는 흙(토사)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술하게 될 건물의 시공 시 최종단계에서 벽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골격구조물(30)은 받침판체(20)의 전면측에서 받침판체(20)와 결합하고 양측 단부가 받침판체(20)의 양측 단부와 함께 H빔(50)의 홈(52)에 끼이는 구조물로서, 철제로 제작되고 받침판체(20)와 결합되어 받침판체(20)와 함께 H빔(5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의 흙을 받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골격구조물(30)은 전체 공정이 완료된 후, 타설된 콘크리트에 묻혀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벽체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골격구조물(30)에는, 양측 단부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며 인접한 양측의 H빔(50)의 각 홈(52)에서 H빔(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지지받는 좌측지지바(31) 및 우측지지바(32)와, 상기 좌측지지바(31)와 우측지지바(3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철근(35)이 구비된다.
상기 좌측지지바(31) 및 우측지지바(32)는, 양측 H빔(50)의 홈(52)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흙막이 구조물(10)이 양측 H빔(50)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H빔(50)의 홈(52)에서 H빔(50)에 기대어 구조물이 전후방향에서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좌측지지바(31) 및 우측지지바(32)는,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가 완료된 후, H빔(50)의 홈(52)의 설치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점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상부보강바(36a), 하부보강바(36b) 등도 설치작업의 완료 후에는 최종적으로 수평철근(35)과 점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철근(35)은, 받침판체(20)의 전방측에서 받침판체(20)와 나란히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것으로서, 좌측지지바(31)와 우측지지바(32)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골격구조물(30)을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킨다.
골격구조물(30)은 좌측지지바(31) 및 우측지지바(32)와, 수평철근(35)을,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가로방향이 긴 박스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좌측지지바(31)는 소정간격으로 상하에 설치되는 상부좌측지지바(31a) 및 하부좌측지지바(31b)를 포함하고, 우측지지바(32)는 소정간격으로 상하에 설치되는 상부우측지지바(32a) 및 하부우측지지바(32b)를 포함한다.
상부좌측지지바(31a) 및 하부좌측지지바(31b)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켜 일체화시키고 강도를 보강하고, 상부우측지지바(32a) 및 하부우측지지바(32b)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각각 좌측상하지지로드(37)와, 우측상하지지로드(38)가 설치된다.
좌측상하지지로드(37)는 2개의 강재로드를 보강력을 높일 수 있도록 X자 형식으로 상부좌측지지바(31a) 및 하부좌측지지바(31b)에 용접하여 연결하고, 우측상하지지로드(38)도 동일한 구조로 설치한다.
한편, 수평철근(35)은, 상부좌측지지바(31a)와 상부우측지지바(32a)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상부후측수평철근(34a)과, 상기 상부후측수평철근(34a)과 나란히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부좌측지지바(31a)와 상부우측지지바(32a)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상부전측수평철근(33a)을 포함한다.
또한, 수평철근(35)은, 하부좌측지지바(31b)와 하부우측지지바(32b)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부후측수평철근(34b)과, 상기 하부후측수평철근(34b)과 나란히 전방측에 설치되어 하부좌측지지바(31b)와 하부우측지지바(32b)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부전측수평철근(33b)을 포함한다.
한편, 골격구조물(30)은, 상부전측수평철근(33a) 및 상부후측수평철근(34a)에 결합되는 상부보강바(36a)와,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33b) 및 하부후측수평철근(34b)에 결합되는 하부보강바(36b)와, 상기 상부보강바(36a)와 하부보강바(36b)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상하보강로드(36c)를 포함한다.
상부보강바(36a)와 하부보강바(36b)는, 수평방향으로 2~3개가 독립적으로 각각 설치되고 수평철근(35)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받침판체(20)와 접촉하여 받침판체(20)가 받는 하중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하보강로드(36c)는 상부보강바(36a)와 하부보강바(36b)를 X자 형식으로 용접 연결하여 보강하는 것으로서, 상부보강바(36a)와 하부보강바(36b)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2~3개 설치되면, 상하보강로드(36c)도 2~3개 설치되어 1개의 상부보강바(36a), 대응하는 1개의 하부보강바(36b) 및 대응하는 상하보강로드(36c)로 이루어진 보강바세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2~3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보강바(36a)는, 상부전측수평철근(33a) 및 상부후측수평철근(34a)이 관통하는 결합공(36d)이 형성되어 상부전측수평철근(33a) 및 상부후측수평철근(34a) 상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부전측수평철근(33a) 및 상부후측수평철근(34a)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보강바(36b)도 하부전측수평철근(33b) 및 하부후측수평철근(34b)이 관통하는 결합공(36d)이 형성되어 하부전측수평철근(33b) 및 하부후측수평철근(34b) 상에서 수평 이동되도록 하부전측수평철근(33b) 및 하부후측수평철근(34b)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보강바(36a)와 하부보강바(36b) 및 상하보강로드(36c)는, 각 보강바세트 별로 수평철근(35)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수평철근(35) 상에서 그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용은, 후술하는 건물 벽체의 형성용 수직철근(77)이 근접하여 설치 시에, 상부보강바(36a)와 하부보강바(36b)가 수직철근(77)과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수직철근(77)의 설치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의 흙막이 구조물(10)이 정확한 치수로 제작되어 공급되더라도 현장상황에 따라 수직철근(77)의 설치위치가 수시로 변동하게 되므로, 수평철근(35)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수직철근(77)이, 상부보강바(36a) 및 하부보강바(36b)의 방해를 받으면서 설치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흙막이 구조물(10)에는, 상기 수평철근(35)에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받침판체(20)와 골격구조물(3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39)와, 상기 받침판체(20)에 형성되고 체결구(39)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29)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39)는 링형상 머리를 가진 아이볼트가 바람직하고 수평철근(35)에 링형상 머리가 걸린 상태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체결구(39)는 수평철근(35) 상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작업자는 현장에서 체결구(39)를 이동시켜 체결공(29)의 위치와 일치시킨다.
상기 체결공(29)은 받침판체(20)에 형성된 관통구멍이고 체결구(39)의 볼트나선부가 끼워져 너트(38a)와 결합이 이루어져 체결이 완료되는 부분이다.
공사현장까지의 운반작업의 편의를 위해, 골격구조물(30)과 받침판체(20)는 분리된 상태로 운반되고 현장에서 체결구(39)가 체결공(29)에 끼워짐으로써 골격구조물(30)과 받침판체(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골격구조물(30)과 받침판체(2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단일의 흙막이 구조물(10)이 준비되고, 이후 다수의 흙막이 구조물(10)이 수직 설치된 H빔(50) 사이에 순차 끼워진다.
다음은 전술한 구조의 흙막이 구조물(10)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은, 건물의 외각영역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H빔(50)을 수직으로 박아 설치하는 H빔 설치단계, 전술한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10)을, 인접한 양측의 H빔(50)의 홈(52)에 양측 단부를 끼워 설치하되, 다수의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10)을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차 설치하는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 인접한 양측의 H빔(50) 사이에서 수평철근(35)과 교차하도록 수직철근(77)을 세우는 수직철근 설치단계, 상기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10)과 수직철근(77)의 전방에서 받침판체(20)와 대향하도록 판상의 거푸집(95)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받침판체(20)와 거푸집(95)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H빔(50), 골격구조물(30), 수직철근(77)이 일체화된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H빔 설치단계는, 건물의 외각영역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H빔(50)을 수직으로 박아 설치하는 공정이다.
H빔(50)의 설치위치에 건물의 영구적인 벽체가 형성되어 H빔(50)도 벽체에 매몰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H빔(50)의 위치가 결정된다.
H빔(50)의 설치가 완료되면, 흙이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을 하면서 도 3과 같이, 흙막이 구조물(10)을 설치한다.
상기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는,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10)을, 인접한 양측의 H빔(50)의 홈(52)에 양측 단부를 끼워 설치하되, 다수의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10)을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차 설치한다.
흙막이 구조물(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수직철근 설치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수직철근(77)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도 4와 같이 흙막이 구조물(10)의 전면의 저부에 해당하는 지면을 파내고 저부의 흙막이 구조물(10)과 일체가 되는 버림콘크리트(60)를 타설한다.
버림콘크리트(60)는 벽체가 형성될 위치의 저부에서 기초철근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면을 형성한다.
버림콘크리트(60)가 타설 및 양생되어 수평면이 형성되면, 버림콘크리트(60) 상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기초철근(71,73)을 배근한다.
기초철근(71,73)은 생성될 벽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높이를 가진 입체적 블록형상의 구조로 배근한다.
이후, 도 6 및 도 7과 같이 기초철근(71,73)과 연결되도록 수직철근(77)을 설치한다.
수직철근(77)은 인접한 양측의 H빔(50) 사이에서 수평철근(35)과 교차하도록 수직철근(77)을 세우고 수직철근(77)은 수평철근(35)과 함께 건물 벽체의 골격을 형성한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수직철근(77)은 하부에서 경사철근(75)을 매개로 기초철근(71,73)과 철사 등에 의해 결속되어 연결됨으로써 기초철근(71,73)으로부터 지지받을 수 있다. 경사철근(75)은 세워진 수직철근(77)과 상단부가, 수평의 기초철근(71,73)과는 하단부가 철사 등 결속수단으로 결속되어 수직철근(77)의 설치구조를 보강한다.
또한, 수직철근(77)은 전측수직철근(77a)과 후측수직철근(77b)이 나란히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흙막이 구조물(10)의 수평철근(35)과 서로 교차되고 각각 서로 결속되어 설치강도가 보강된다.
즉, 전측수직철근(77)은 상부전측수평철근(33a) 및 하부전측수평철근(33b)과 철사 등 결속수단으로 결속되고, 후측수직철근(77)은 상부후측수평철근(34a) 및 하부후측수평철근(34b)과 철사 등 결속수단으로 결속된다.
수직철근 설치단계가 완료된 후, 거푸집 설치단계가 진행된다.
도 8을 참고하면, 거푸집 설치단계는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10)과 수직철근(77)의 전방에서 받침판체(20)와 대향하도록 판상의 거푸집(95)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에 앞서서 기초철근(71,73)이 배근된 버림콘크리트(60) 상에는 기초거푸집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초콘크리트구조물(78)이 미리 형성된다.
이후 도 8과 같이, 벽체 형성을 위한 위의 거푸집 설치단계가 진행된다.
거푸집(95)이 설치된 후에는, 벽체 형성단계가 진행된다.
벽체 형성단계에서, 받침판체(20)와 거푸집(95)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H빔(50), 골격구조물(30), 수직철근(77)이 일체화된 벽체가 형성된다.
여기서, 받침판체(20)가 거푸집(95)가 대향하고 있고 받침판체(20)와 거푸집(95)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이므로, 받침판체(20)은 후방에서 거푸집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벽체 형성단계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95)를 제거하고 기초콘크리트구조물(78)과 일체화된 건물의 벽체가 완성되고, 그 벽체는 내부에서 수평철근(35)과 수직철근(77) 및 H빔(50)이 골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후면의 받침판체(20)는 H빔(50)에 끼워진 상태로 벽체와 함께 잔류한다.
콘크리트의 양생으로 형성된 벽체에서, 받침판체(20) 중 외부로 노출된 것은 제거하고 벽체의 외표면을 미장 작업하여 벽체를 완성할 수 있으며, 지중에서 흙을 등지고 있는 받침판체(20)는 그대로 둔 상태로 작업은 완료된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은, 공사현장의 둘레에 흙막이 구조물(10)을 설치하여 건물의 신축이 이루어지되, 흙막이 구조물(10)이 영구벽체가 되도록 시공함으로써, 흙막이 구조물(10)과 벽체가 서로 독립적으로 시공되는 종래의 공정과 달리, 건물의 전체 면적을 넓힐 수 있고 주어진 면적에서 건물의 충분한 내부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흙막이 구조물 20; 받침판체
29; 체결공 30; 골격구조물
31; 좌측지지바 31a; 상부좌측지지바
31b; 하부좌측지지바 32; 우측지지바
32a; 상부우측지지바 32b; 하부우측지지바
33a; 상부전측수평철근 33b; 하부전측수평철근
34a; 상부후측수평철근 34b; 하부후측수평철근
35; 수평철근 36a; 상부보강바
36b; 하부보강바 36c; 상하보강로드
36d; 결합공 37; 좌측상하지지로드
38; 우측상하지지로드 39; 체결구
50; H빔 52; 홈
60; 버림콘크리트 71,73; 기초철근
77; 수직철근 77a; 전측수직철근
77b; 후측수직철근 78; 기초콘크리트구조물
90; 버팀대 91; 버팀수평대
95; 거푸집

Claims (5)

  1. 후면을 형성하여 흙을 받치는 받침판체; 및
    상기 받침판체의 전면측에서 상기 받침판체와 결합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받침판체의 양측 단부와 함께 H빔의 홈에 끼이는 구조물로서, 양측 단부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며 양측의 H빔의 각 홈에서 H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지지받는 좌측지지바 및 우측지지바와, 상기 좌측지지바와 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철근이 구비된 골격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지지바는 소정간격으로 상하에 설치되는 상부좌측지지바 및 하부좌측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지지바는 소정간격으로 상하에 설치되는 상부우측지지바 및 하부우측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좌측지지바 및 하부좌측지지바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좌측상하지지로드와,
    상기 상부우측지지바 및 하부우측지지바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우측상하지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철근은,
    상기 상부좌측지지바와 상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상부후측수평철근과, 상기 상부후측수평철근과 나란히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좌측지지바와 상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상부전측수평철근과,
    상기 하부좌측지지바와 하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부후측수평철근과, 상기 하부후측수평철근과 나란히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좌측지지바와 하부우측지지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부전측수평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에 결합되는 상부보강바와,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에 결합되는 하부보강바와,
    상기 상부보강바와 상기 하부보강바를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상하보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철근에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체와 상기 골격구조물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받침판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보강바는,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이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 상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상부전측수평철근 및 상부후측수평철근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보강바는,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이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 상에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하부전측수평철근 및 하부후측수평철근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보강바와 하부보강바 및 상하보강로드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직철근이 근접하여 설치 시에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4. 건물의 외각영역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H빔을 수직으로 박아 설치하는 H빔 설치단계;
    제1항 또는 제3항의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을, 인접한 양측의 상기 H빔의 홈에 양측 단부를 끼워 설치하되, 다수의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을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차 설치하는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
    인접한 양측의 상기 H빔 사이에서 상기 수평철근과 교차하도록 수직철근을 세우는 수직철근 설치단계;
    상기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과 수직철근의 전방에서 상기 받침판체와 대향하도록 판상의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받침판체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H빔, 골격구조물, 수직철근이 일체화된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구조물 설치단계 후,
    벽체가 형성될 위치의 저부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버림콘크리트 상에 기초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수직철근은 상기 기초철근과 결속되어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수직철근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철근이 경사철근을 매개로 수평철근의 지지를 받도록, 상기 경사철근이 상기 수직철근 및 기초철근과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시공방법
KR1020220067811A 2022-06-02 2022-06-02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KR10245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811A KR102457396B1 (ko) 2022-06-02 2022-06-02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811A KR102457396B1 (ko) 2022-06-02 2022-06-02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396B1 true KR102457396B1 (ko) 2022-10-21

Family

ID=8380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811A KR102457396B1 (ko) 2022-06-02 2022-06-02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3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71A (ja) 1998-06-23 2000-01-11 Miki Juki Kogyo Kk 地下側壁の築造方法
KR200258922Y1 (ko) 2001-09-27 2001-12-29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벽체패널의 설치구조
KR20080025219A (ko) * 2006-09-15 2008-03-20 주식회사 백산공영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1378732B1 (ko) 2012-05-21 2014-04-23 이송 사각형상 조성의 고압분사 그라우팅기법을 활용한 흙막이벽체 조성공법
KR20170102724A (ko) * 2016-03-02 2017-09-12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371A (ja) 1998-06-23 2000-01-11 Miki Juki Kogyo Kk 地下側壁の築造方法
KR200258922Y1 (ko) 2001-09-27 2001-12-29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벽체패널의 설치구조
KR20080025219A (ko) * 2006-09-15 2008-03-20 주식회사 백산공영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1378732B1 (ko) 2012-05-21 2014-04-23 이송 사각형상 조성의 고압분사 그라우팅기법을 활용한 흙막이벽체 조성공법
KR20170102724A (ko) * 2016-03-02 2017-09-12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793B1 (ko)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30167B1 (ko) 지주와 파일을 일체화시킨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JP2011006849A (ja) 基礎工法
KR102362257B1 (ko)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102457396B1 (ko) 벽체 형성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JP2006207265A (ja) 杭と柱との接合工法とその構造
KR100856723B1 (ko) 캔틸레버형 지지거더를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방법
JPH0684690B2 (ja) 建造物の地下階増築方法
JPS6137692Y2 (ko)
JP200316094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貯水槽の構築工法
KR20030040687A (ko) 구조물 외벽용 패널,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외벽조립구조 및 구조물지하외벽 시공공법
KR102330771B1 (ko) 브라켓을 이용한 더블 거더 역타공법
JP7283659B2 (ja) 山留め構造
JP3086384B2 (ja) 基礎構造及び基礎の施工方法
KR102139214B1 (ko) 격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H0657769A (ja) 地下躯体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757032B2 (ja) キャピタルのある柱を備えた地下躯体の逆打ち工法による構築法
JPH0598653A (ja) 地下逆打工法における鋼管コンクリート柱
JP2572680B2 (ja) 逆打ち工法による地下構造
JPH04289329A (ja) 建造物のコンクリート基礎形成方法、並びに建造物の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
JPH101957A (ja) 建築地下工事方法
JPH07331784A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及び施工方法
KR20010054238A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아치형 통로 구축시공방법
JP2002061213A (ja) 逆打ち工法
JP2023102967A (ja) 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