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510Y1 -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 Google Patents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510Y1
KR200217510Y1 KR2020000029672U KR20000029672U KR200217510Y1 KR 200217510 Y1 KR200217510 Y1 KR 200217510Y1 KR 2020000029672 U KR2020000029672 U KR 2020000029672U KR 20000029672 U KR20000029672 U KR 20000029672U KR 200217510 Y1 KR200217510 Y1 KR 200217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rich
water
weight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일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일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일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29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510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업(양식, 조업 등)할 수 있는 곳에서 어장구역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어구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데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포스트와, 포스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양체와, 부양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포스트를 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무게추와, 무게추의 반대방향 포스트에 설치되어 부자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단순해 생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으며, 보관 및 유지관리에도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ERECTILE FLOAT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본 고안은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양체와 무게추를 일체로 구성하여 조립구조를 단순화 한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일컫는 부자(浮子)는 수면에서 가라앉거나 내려앉지 않고 반 영구적으로 물 위에 떠 있도록 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분야는 어업(양식, 조업 등)할 수 있는 곳에서 어장구역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어구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어선의 항로를 표시하는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부자는 해당 관청으로부터 인정받은 어업 구역을 수면상에 표시함으로써 구획 어업권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그물 등과 같은 어구의 설치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외부의 접근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어로용 부자는 야간에도 식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야광체를 부착하거나, 점등 수단을 부가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점등 수단이 부가된 종래의 부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259748호( 1998년 2월 6일 출원)에 개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점등수단이 부가된 부자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스트(1)의 상단부에 점등수단(2)이 설치되고, 포스트(1)의 하단부에는 배터리(3)가 탑재된 무게추(4)가 설치되며, 포스트(1)의 중간부에는 실질적으로 부자를 수면 위에 띄우기 위한 부양체(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부자는 부양체(5)를 기준으로 무게추(4)의 중량이 수면 하방으로 작용함에 따라 포스트(1)가 수면으로부터 직립하게 되고, 무게추(4)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점등수단(2)은 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부자는 부양체(5)와 무게추(4)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구성부품수가 증가됨은 물론 조립생산에도 불리한 측면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자는 배터리(3)가 수면 속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쇼트가 일어나지 않도록 별도의 방수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자에 설치되는 부양체와 무게추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을 단순화하고 조립생산에 유리한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포스트와, 포스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양체와, 부양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포스트를 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무게추와, 무게추의 반대방향 포스트에 설치되어 부자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부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자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자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포스트 12 ; 부양체
13 ; 무게추 14 ; 표시부
15 ; 배터리 19 ; 표시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포스트(11)의 일단에 수면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양체(12)가 설치되고, 이 부양체(12)의 바닥면에는 무게추(13)가 설치된다. 즉, 부양체(12)의 상면에는 포스트(11)가 세워지고, 부양체(12)의 바닥면에는 무게추(13)가 설치되어 수면에 띄웠을 때 무게추(13)의 작용으로 포스트가 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무게추(13)의 반대방향 포스트(11) 상단부에는 야광장치, 조명장치 혹은 점등장치 등 주간 뿐만 아니라 어두운 야간에도 부자의 설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부(14)가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14)에 점등 또는 조명을 위한 전기적인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전원을 태양에너지로부터 확보하기 위한 솔라패널(도면상 미도시됨) 및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15) 등이 필요한 바, 솔라패널은 태양에너지 공급이 수월한 표시부(14)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 개발된 초소형 및 초경량 배터리(15)를 이용하여 표시부(14) 하단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내장시킬 수 있다. 이처럼, 배터리(15)가 표시부(14)에 설치됨으로써 전기적인 장치가 수면에 잠기게 되는 부분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방수 등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점등 또는 조명을 위한 전기적인 장치로는 전력소모가 적은 발광소자(LED;16)와 이를 점멸시키기 위한 전기회로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통상적인 기술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에 설치되는 솔라패널 및 점등 또는 조명장치를 외부의 비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의 보호캡(1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양체(12)는 통상적으로 비중이 낮은 폴리우레탄 또는 발포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부양체(12) 바닥면에 설치되는 무게추(13)에 의해 수면에서 상, 하부가 구별될 수 있는 형태 즉,구형, 원기둥형, 다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무게추(13)는 통상적으로 비중이 높은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부양체(12)의 크기 및 본 고안에 따른 부자의 전체 무게를 고려하여 직립성을 부여할 수 있을 정도의 중량을 갖도록 한다.
한편, 무게추(13) 하단에는 앵커가 묶인 밧줄을 이용해 부자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계류 고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는 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위치에 표시부(14)를 유지할 수 있어 식별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어업(양식, 조업 등)할 수 있는 곳에서 어장구역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어구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데 유리하다.
특히 종래의 부양체(12)와 무게추(13)가 분리 설치되는 구조에 비해, 그 구조가 단순해 생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으며, 보관 및 유지관리에도 유리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의 변형예로서, 어장구역 표시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어업을 할 수 있는 권리를 받은 자는 관계 법령에 따라 그 면허 받은 내용(어법종류, 어업권 번호, 어업권자 성명, 면적 등)을 어장 모서리 마다 일정 크기 이상의 어장구역 표시 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어장은 조수간만의 차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어장구역 표시 구조물을 노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으로부터 상당히 높은 수 m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거나 대형 부자를 설치해야 한다.
도 3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어장구역 표시 구조물은 이와 같은 조건을 단순한 구조물로 손쉽게 만족시킬 수 있다.
즉, 포스트(11) 상단부에 표지판(19)을 대형으로 만들어 부착함으로써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체(12a)를 포스트(11)의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후 부양체(12a)의 상단면에 표지판(19a)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부양체(12)의 하부에 무게추(13a)가 설치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어업(양식, 조업 등)할 수 있는 곳에서 어장구역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어구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데 유용하며, 그 구조가 단순해 생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으며, 보관 및 유지관리에도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양체와;
    상기 부양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포스트를 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의 반대방향 포스트에 설치되어 부자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야간에도 부자의 설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야광장치, 조명장치 혹은 점등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인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배터리는 상기 표시부에 일체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체는 상기 무게추에 의해 수면에서 상, 하부가 구별될 수 있는 구형, 원기둥형, 다각기둥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상단부에 표지판을 부착하여 어장 구역 표시 구조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체를 상기 포스트의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후 상기 부양체의 상단면에 표지판을 설치하고, 상기 부양체의 하부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어장 구역 표시 구조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KR2020000029672U 2000-10-25 2000-10-25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KR200217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72U KR200217510Y1 (ko) 2000-10-25 2000-10-25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72U KR200217510Y1 (ko) 2000-10-25 2000-10-25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510Y1 true KR200217510Y1 (ko) 2001-03-15

Family

ID=7309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672U KR200217510Y1 (ko) 2000-10-25 2000-10-25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5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1781A (en) Illuminated float
US20110065342A1 (en) Lighted Dive Buoy
KR100826307B1 (ko) 위험선 표시 부표
ES2960432T3 (es) Boya de señalización de peligro con desenganche automático
JP4040655B2 (ja) ブイ
KR200217510Y1 (ko) 수면에서 직립이 유지되는 부자
KR200430080Y1 (ko) 발광기능을 갖는 수산양식용 부구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KR20150143376A (ko) 파력 발전기를 구비한 해양경계 표시등
KR101268970B1 (ko)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KR101272106B1 (ko)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장구형 부구
KR200449346Y1 (ko) 수난 안전용 부표장치
JP2008285128A (ja) 浮遊視認装置
KR20120103797A (ko) 점멸램프를 가지는 해양 부표
KR20090006311U (ko) 위험 표시 및 어구 위치 표시용 부표계
KR200419278Y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20090131558A (ko) 유향 순응식 해양 관측 표시 부표
US96436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oring beacon
JP3154407U (ja) 蓄光式浮子
JPH0648379A (ja) 柱状灯浮標
KR200230347Y1 (ko) 야간 점등 부자의 방수 스위치
JP2007056571A (ja) 浮沈式袋体
KR101647837B1 (ko) 수상 회전윈드배너
CN219029695U (zh) 一种带塑料空心板的勘测浮标
CN219406815U (zh) 一种组合式超高分子量聚乙烯浮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