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392Y1 -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392Y1
KR200217392Y1 KR2020000023279U KR20000023279U KR200217392Y1 KR 200217392 Y1 KR200217392 Y1 KR 200217392Y1 KR 2020000023279 U KR2020000023279 U KR 2020000023279U KR 20000023279 U KR20000023279 U KR 20000023279U KR 200217392 Y1 KR200217392 Y1 KR 200217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rope
phenomena
pipe
marine
seaw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준
양창옥
Original Assignee
구형준
양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준, 양창옥 filed Critical 구형준
Priority to KR2020000023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392Y1/ko

Links

Landscapes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백화현상으로 황폐화되어 가고 있는 연안(수심 3-10m)어장에 설치하여 인공적으로 해중림이 조성되게 함으로써, 백화현상을 치유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먹이 자원이 풍부한 서식장으로 조성되도록 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하부체(110)(120)로 되는 다수개의 본체(100)를 파이프(300)와 폐타이이로 된 종묘로프(200)로 연결되게 하여, 종묘로프(200)의 벨트면에는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어 정착할 수 있게 하고, 음영홈(103)에는 부착성 동물이 부착되어 서식되게 하며, 고리(111)에는 포자 발생시기에 도달한 해조류의 엽체를 담은 망사 주머니가 묶이게 하여 자연포자가 부착되어 자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UNNATURAL SEAWEEDS FOR COMPOSING SUBMARINE WOOD}
본 고안은 백화현상을 치유하기 위한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화현상으로 황폐화되어 가고 있는 연안(수심 3-10m)어장에 설치하여 인공적으로 해중림이 조성되게 함으로써, 백화현상을 치유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먹이 자원이 풍부한 서식장으로 조성되도록 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어장의 백화현상은 쿠로시오 난류, 앨리뇨 현상 및 환경오염에 의한 환경변화로 수온의 상승과 해조류의 광합성 저해 등에 의해 발생되고 있으며, 현재 동해안 일대에 급속하게 확산되어 연안 양식어장이 황폐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백화현상에 의해 수산자원의 고갈은 물론 부영양화도 촉진되어 자연적인 치유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백화현상으로 황폐화되어 가고 있는 연안(수심 3-10m)어장에 설치하여 인공적으로 해중림이 조성되게 함으로써, 백화현상을 치유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먹이 자원이 풍부한 서식장으로 조성되도록 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하부체로 되는 다수개의 본체를 파이프와 폐타이이로 된 종묘로프로 연결되게 하여, 종묘로프의 벨트면에는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어 정착할 수 있게 하고, 음영홈에는 부착성 동물이 부착되어 서식되게 하며, 고리에는 포자 발생시기에 도달한 해조류의 엽체를 담은 망사 주머니가 묶이게 하여 자연포자가 부착되어 자랄 수 있게 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상세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01 ... 관통홀
102 ... 관통홀 103 ... 음영홈
104 ... 보강철근 110 ... 상부체
111 ... 고리 120 ... 하부체
200 ... 종묘로프 300 ... 파이프
301 ... 끼움홀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본체(100)와, 종묘로프(200)와, 파이프(3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일정한 무게를 지니게 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상부체(110)와 하부체(120)로 된다.
상부체(110)는 4면이 동일한 경사면을 이루면서 상부는 좁은 사각면을 지니게 되고, 하부는 넓은 사각면을 이루게 되며, 좁은 상부면에는 고리(1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4면에는 두개 한 쌍을 이루는 관통홀(101)(102)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하여 형성된다. 즉, 두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관통홀(101)이 두개 한 쌍을 이루는 다른 관통홀(102)보다 높게 위치하여 형성된다.
하부체(120)는 상부체(110)의 하부, 즉, 넓은 사각면을 이루게 되는 부분에 연속하여 형성되는데 4면이 수직의 면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체(110)(120)의 각면에는 음영홈(103)이 형성되는데, 이 음영홈(103)은 도 3 도시와 같이 상기 상,하부체(110)(120)에 대해 동일한 폭과 깊이를 지니면서 형성된다.
상기 종묘로프(200)는 폐타이어로 성형되는데, 폐타이어의 코드 포(布)라고 하는 나일론제 포가 돌출 되게 하여서 이 포에 종묘가 이식되게 하는 동시에 정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종묘로프(200)는 폐타이어 또는 일반 로프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300)는 PVC 파이프로 도 5 도시와 같이 종묘로프(200)가 교차된 상태로 끼움 되게 할 수 있는 끼움홀(30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수개의 본체(100)를 나란히 위치시킨 후 파이프(300)와 종묘로프(200)로 서로 연결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도 4 도시와 같이 두줄이 한 쌍을 이루는 파이프(300)로 3개의 본체(100)가 나란히 연결되게 하고, 파이프(300)로 연결된 본체(100)들을 다시 종묘로프(200)로 연결되게 하며,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파이프(300)에 종묘로프(200)가 교차되어 연결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종묘로프(200)에 다시 파이프(300) 또는 종묘로프(200)가 교차되어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300)는 각 본체(100)의 관통홀(101)을 관통되게 하여 본체(100)들이 연결되게 하고, 종묘로프(200)는 관통홀(102)을 관통되게 하여 본체(100)가 연결되게 하며,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각 파이프(300)로는 종묘로프(200)가 교차되게 하여 연결되게 하되, 도 5 도시와 같이 각 파이프(300)에 구비되는 끼움홀(301)을 통해 종묘로프(200)가 끼움 되게 하여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종묘로프(200)의 코드 포(布)가 상부면에 위치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300)에 의한 연결 및 종묘로프(200)에 의한 연결로 상기 본체(100)는 해저 바닥면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바닥면에 밀착되어 위치하게 되는 한편, 본체(100)의 자체 무게로 인해 파도에 의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묘로프(200)의 코드 포(布)에는 각종 해조류(미역,다시마,감태,모자반,우뭇가사리,도박 등)의 종묘가 이식되어 정착할 수 있게 되고, 고리(111)에는 포자 발생시기에 도달한 해조류의 엽체를 담은 망사 주머니가 묶이게 하여 자연포자가 부착되어 자랄 수 있게 되며, 음영홈(103)들에는 부착성 동물인 패조류가 서식하는 동시에 번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묘로프(200)에 이식된 종묘가 자라서 해중림이 조성되면 그 무게에 의해 종묘로프(200)가 해저 바닥면에 밀착되어 백화현상으로 황폐화된 어장에 연중 해중림이 조성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4는 보강철근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안 어장의 해저 바닥에 설치되어, 4계절 해중림이 조성되게 하여 백화현상을 치유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먹이 자원이 풍부하게 하여 서식장을 조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부착성 패류 및 어류가 정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폐타이어와 같은 환경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4면이 동일한 경사면을 이루게 되고, 높낮이가 서로 다른 두개 한 쌍의 관통홀(101)(102)이 각면에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부면에 포자 발생시기에 도달한 해조류의 엽체를 담은 망사 주머니를 묶어 둘 수 있게 하는 고리(111)가 형성되는 상부체(110)와;
    상기 상부체(110)의 하부에 연속하여 4면이 수직면을 이루게 되는 하부체(12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20)의 각면에 부착성 동물이 부착되어 서식되게 하는 음영홈(103)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체(110)(120)로 되는 다수개의 본체(100)를 파이프(300)와 폐타이이로 된 종묘로프(200)로 연결되게 하여, 종묘로프(200)에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어 정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2020000023279U 2000-08-17 2000-08-17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200217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79U KR200217392Y1 (ko) 2000-08-17 2000-08-17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79U KR200217392Y1 (ko) 2000-08-17 2000-08-17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392Y1 true KR200217392Y1 (ko) 2001-03-15

Family

ID=7305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279U KR200217392Y1 (ko) 2000-08-17 2000-08-17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3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56B1 (ko) * 2009-03-04 2009-09-02 황태용 해중림 조성을 위한 해조류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조류 부착 방법
KR100944090B1 (ko) * 2009-07-13 2010-02-24 주식회사 해중 레일을 이용한 인공어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56B1 (ko) * 2009-03-04 2009-09-02 황태용 해중림 조성을 위한 해조류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조류 부착 방법
KR100944090B1 (ko) * 2009-07-13 2010-02-24 주식회사 해중 레일을 이용한 인공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191A (en) Marine habitat systems
US5803660A (en) Integrated reef building system
JP4855503B2 (ja) 人工浮島用植生基盤、その製法及び植生用人工浮島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0572070B1 (ko) 조림초와 해중림 조성부재의 고정 방법
KR100572069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KR20150143001A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100720121B1 (ko)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KR100975397B1 (ko) 계단형 인공어초
KR200217392Y1 (ko)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10057206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KR100865922B1 (ko) 다각형 전복 해중림초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CN207092007U (zh) 一种具有引鸟功能的生态防浪驳岸
JP2007159483A (ja) 稚魚(天然・放流)の成長と魚類の産卵を育む魚礁パート2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0797938B1 (ko) 사다리꼴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KR101821775B1 (ko) 다기능 해중림초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KR100841394B1 (ko) 육각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JPH10276598A (ja)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KR20200106802A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