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74Y1 - 스위치조립체 - Google Patents

스위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74Y1
KR200217074Y1 KR2019980003601U KR19980003601U KR200217074Y1 KR 200217074 Y1 KR200217074 Y1 KR 200217074Y1 KR 2019980003601 U KR2019980003601 U KR 2019980003601U KR 19980003601 U KR19980003601 U KR 19980003601U KR 200217074 Y1 KR200217074 Y1 KR 200217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asing
lock pin
groove
swi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769U (ko
Inventor
여태상
Original Assignee
여무남
주식회사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무남, 주식회사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여무남
Priority to KR2019980003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74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싱의 벽면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돌출위치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에 주위에 하트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하트형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그루브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돌출위치 및 철회위치에 고정시키는 로킹홈부 및 로킹해제홈부를 갖는 캠부와;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캠부의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U″자 형상의 로크핀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상기 로크핀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핀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캠부를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하고 로크핀의 고정구조를 간단화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이 간편해진 스위치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위치조립체
본 고안은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작감도를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조립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케이싱(70)과, 케이싱(70)내에 수용되어 스위치가 온되는 철회위치와 스위치가 오프되는 돌출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6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60)는, 케이싱(70)내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61)와, 슬라이딩부(6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61)를 가압하는 가압노브부(69)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61)의 일측판면에는 케이싱(70)과 슬라이더(60)를 탄성부세하는 압축코일스프링(80)이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62)와, 슬라이더(60)를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로크시키는 로크핀(65)을 수용하는 로크핀수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용부(62)와 로크핀수용부(68)는, 슬라이딩부(61)의 판면에 슬라이더(60)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길게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64)에 형성되며, 스프링수용부(62)는 가압노브부(69)와 대향하는 슬라이딩부(61)의 단부에 인접한 돌출부(64)에 형성되어 케이싱(70)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한편, 로크핀수용부(68)는, 돌출부(64)의 스프링수용부(62)가 형성된 영역의 타측에 상향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에는 개구를 폐쇄하는 수용부커버(63)가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로크핀수용부(68)내에는 일측 말단부가 슬라이딩부(61)의 판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로크핀(65)과, 로크핀(6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핀스프링(66)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로크핀(65)의 핀스프링(66)을 향한 말단부는 로크핀(65)이 로크핀수용부(68)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확경되어 있으며, 로크핀(65)은 핀스프링(66)에 의해 로크핀(65)의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출부(64)의 양측에는 슬라이더(60)의 이동에 따라 후술할 회로기판(57)의 스위치(58)를 접리시키는 볼이 수용되는 도시않은 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60)가 수용되는 케이싱(70)에는, 슬라이더(60)의 출입을 위한 출입개구(71)가 형성되어 있고, 출입개구(71)에 대향하는 면에는 압축코일스프링(80)이 고정되는 고정돌기(7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입개구(71)에 이웃하는 면에는 회로기판(57)이 장착되어 있다. 회로기판(57)상에는 슬라이더(60)의 이동시 볼에 의해 접리조작되는 스위치(58)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57)의 일측 연부에는 회로기판(57)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59)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70)의 회로기판(57)이 설치된 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로크핀(65)과 당접하여 스위치(58)가 온오프되도록 하는 캠부(75)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캠부(75)에는 중앙에 하트형상의 가이드부(79)를 중심으로 폐쇄루프를 갖는 그루브(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76)는 로크핀(65)의 선회방향을 따라 상승구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루브(76)상에는 스위치(58)가 온되도록 로크핀(65)이 고정되는 로킹홈부(77)와, 스위치(58)가 오프되도록 로크핀(65)이 고정되는 로킹해제홈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캠부(75)는 케이싱(7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한 사각 테두리 형상의 캠부수용부(85)에 수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60)가 케이싱(70)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75)는 캠부수용부(85)내에서 슬라이더(60)의 슬라이딩방향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조립체는, 슬라이더(60)의 가압노브부(69)를 가압하여 슬라이더(60)를 슬라이딩시키면, 로크핀(65)이 캠부(75)의 그루브(76)내에서 선회하게 된다. 이 때, 캠부(75)는 캠부수용부(85)내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며, 캠부(75)의 이동에 따라, 로크핀(65)이 로킹홈부(77)에 위치하면 볼이 스위치(58)를 가압하여 스위치(58)가 온되고, 로크핀(65)이 로킹해제홈부(78)에 위치하면 볼이 스위치(58)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58)가 오프된다.
그런데, 이러한 스위치조립체는, 캠부(75)를 별도로 형성하고, 케이싱(70)에는 캠부수용부(85)를 형성하여 캠부(75)가 캠부수용부(85)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캠부(75)에 당접하는 로크핀(65)을 슬라이더(60)에 고정하기 위해 로크핀수용부(68)와 수용부커버(63)를 형성하고, 로크핀수용부(68)내에는 로크핀(65)의 탄성이동을 위해 핀스프링(66)을 장착하였다. 이에 따라, 스위치조립체의 구성을 위한 부품의 수가 비교적 많으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로우며, 원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조립체의 오프상태시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스위치조립체의 온상태시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슬라이더를 누른 상태의 스위치조립체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스위치조립체중 케이싱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스위치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케이싱의 캠부영역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케이싱커버 7 : 회로기판
8 : 스위치 10 : 슬라이더
11 : 슬라이딩부 12 : 스프링수용부
14 : 슬라이딩제한홈 15 : 로크핀
15a : 축부 15b : 가동핀부
16 : 관통공 17 : 걸림턱
18 : 마찰방지홈 19 : 가압노브부
20 : 케이싱 25 : 캠부
26 : 그루브 27 : 로킹홈부
28 : 로킹해제홈부 30 : 압축코일스프링
31 : 탄성부세부 32 : 핀지지부
36 : 세로비드 37 : 가로비드
38 : 슬라이딩제한돌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싱의 벽면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돌출위치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위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주위에 하트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하트형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그루브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돌출위치 및 철회위치에 고정시키는 로킹홈부 및 로킹해제홈부를 갖는 캠부와;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캠부의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U″자 형상의 로크핀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상기 로크핀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핀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핀지지부가 상기 로크핀의 가로방향으로 접하도록 고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위치조립체의 비작동시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조립체는, 사각통상의 케이싱(20)과, 케이싱(20)내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10)를 갖는다.
슬라이더(10)는, 케이싱(20)내에서 탄성부세되는 슬라이딩부(11)와, 슬라이딩부(11)의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부(11)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더(10)를 케이싱(20)내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노브부(19)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1)의 중앙영역에는 슬라이딩부(11)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16)에 인접한 영역에는 양측 말단부가 평행하게 절곡된 ″U″자형상의 로크핀(15)이 장착된다. 로크핀(15)의 일측 말단부는 슬라이딩부(11)의 판면을 관통하여 축부(15a)를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 말단부는 축부(15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관통공(16)내에 수용된 가동핀부(15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11)의 판면상에는, 로크핀(15)의 장착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에 슬라이더(10)의 이동에 따라 후술할 회로기판(7)의 스위치(8)를 접리시키는 볼이 수용되는 볼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10)와 케이싱(20) 사이에는 슬라이더(10)를 탄성부세하는 압축코일스프링(30)이 개재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30)은, 슬라이더(10)와 케이싱(2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세부(31)와, 로크핀(15)을 탄성적으로 하향가압하여 로크핀(15)이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핀지지부(32)를 가진다. 핀지지부(32)는 탄성부세부(31)의 일측 말단부가 연장된 다음, 탄성부세부(31)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딩부(11)의 케이싱(20)을 향한 연부의 중앙영역에는, 압축코일스프링(30)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용부(12)는 슬라이딩부(1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싱(20)을 향한 면이 개방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프링수용부(12)의 로크핀(15)이 장착되는 영역을 향한 면에는 핀지지부(32)의 통과를 위한 도시않은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핀(15)의 축부(15a)가 고정되는 영역에는, 슬롯을 통과한 핀지지부(32)가 로크핀(15)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배치되도록 핀지지부(32)의 양측 말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걸림턱(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17)에 걸린 핀지지부(32)는 탄성유동이 가능하도록 로크핀(15)의 축부(15a)에 인접한 영역을 하향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10)를 수용하는 케이싱(20)은, 슬라이더(10)의 출입을 위한 일측벽이 개방된 출입개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개구(21)의 전방벽에는 슬라이더(10)의 스프링수용부(12)에 수용된 압축코일스프링(30)을 고정하는 고정돌기(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출입개구(21)에 이웃하는 측벽에는 회로기판(7)이 장착되어 있다. 회로기판(7)상에는 슬라이더(10)의 이동시 볼에 의해 접리조작되는 스위치(8)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치(8)는 회로기판(7)에 형성된 고정접점(8a)과, 일단부가 회로기판(7)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고정접점(8a)과 접리되는 가동접점(8b)을 가진다. 이러한 회로기판(7)의 일측 연부에는 회로기판(7)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9)가 부착되어 있으며, 회로기판(7)의 외측에는 사각판상의 케이싱커버(5)가 결합되게 된다.
한편, 케이싱(20)의 회로기판(7)이 부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슬라이더(10)의 로크핀(15)이 당접하여 스위치(8)가 온오프되도록 하는 사각판상의 캠부(25)가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캠부(25)에는 하트형상의 가이드부(29)를 중심으로 폐쇄루프를 갖는 그루브(26)가 형성되어 슬라이더(10)의 로크핀(15)이 그루브(26)를 따라 선회하게 된다. 그루브(26)는 로크핀(15)의 선회방향을 따라 상승구배를 가지며, 로크핀(15)의 수용시 스위치(8)가 온되는 로킹홈부(27)와, 스위치(8)가 오프되는 로킹해제홈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캠부(25)가 형성된 케이싱(20)의 내벽면에는, 케이싱(2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과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슬라이더(10)의 슬라이딩범위를 제한하는 슬라이딩제한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0)에는 슬라이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제한돌기(38)를 수용하는 슬라이딩제한홈(14)이 절취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0)가 케이싱(20)내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면, 스위치(8)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해 슬라이더(10)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제한홈(14)의 일측벽이 슬라이딩제한돌기(38)에 접하게 되고, 스위치(8)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제한홈(14)의 타측벽이 슬라이딩제한돌기(38)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0)는 슬라이딩제한홈(14)의 폭만큼만 케이싱(20)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캠부(25)가 형성된 케이싱(20)의 내벽면에는, 케이싱(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다음 캠부(25)를 감싸듯이 형성된 세로비드(36)와, 세로비드(36)와 직교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로비드(37)에 의해 케이싱(20)이 보강되어 케이싱(20)의 사출성형시 케이싱(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세로비드(36)가 형성되면, 케이싱(20)내에서 슬라이더(10)가 슬라이딩할 때 케이싱(20)의 내벽면과 슬라이더(10)의 벽면이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로비드(36)의 위치에 대응하는 슬라이더(10)의 벽면에 슬라이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취한 마찰방지홈(18)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더(10)의 슬라이딩시 슬라이더(10)와 세로비드(36)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한편, 캠부(25)가 형성된 케이싱(20)의 외벽면에는, 캠부(25)를 케이싱(20)에 일체로 형성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씽크마크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절취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위치조립체를 조립한 다음, 스위치조립체의 가압노브부(19)를 가압하면, 도 6 및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핀(15)의 가동핀부(15b)가 축부(15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싱(20)에 고정형성된 캠부(25)의 그루브(26)를 따라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하던 로크핀(15)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홈부(27)에 수용되면, 볼에 의해 회로기판(7)의 고정접점(8a)과 가동접점(8b)이 상호 접하여 회로가 폐쇄되면서 스위치(8)가 온된다.
한편, 이러한 스위치 온상태에서 스위치조립체의 가압노브부(19)를 가압하면, 도 6 및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핀(15)이 회동하게 되고, 로크핀(15)이 로킹홈부(27)로부터 이탈되어 캠부(25)의 그루브(26)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하던 로크핀(15)은 로킹해제홈부(28)에 고정되며, 이 때, 회로기판(7)의 스위치(8)가 상호 이격되어 회로가 개방되면서 스위치(8)가 오프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캠부(25)를 케이싱(20)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로크핀을 ″U″자형상으로 형성하여 로크핀(15)이 축부(15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그루브(26)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로크핀(15)이 탄성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압축코일스프링(30)을 연장 절곡하여 형성한 핀지지부(32)로 로크핀(15)을 가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캠부(25) 및 로크핀(15)의 고정구조가 간단해져 스위치조립체의 전체적인 부품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캠부를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하고 로크핀의 고정구조를 간단화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이 간편해진 스위치조립체가 제공된다.

Claims (2)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싱의 벽면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돌출위치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갖는 스위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주위에 하트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하트형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그루브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돌출위치 및 철회위치에 고정시키는 로킹홈부 및 로킹해제홈부를 갖는 캠부와;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캠부의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U″자 형상의 로크핀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상기 로크핀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핀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핀지지부가 상기 로크핀의 가로방향으로 접하도록 고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조립체.
KR2019980003601U 1998-03-12 1998-03-12 스위치조립체 KR200217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01U KR200217074Y1 (ko) 1998-03-12 1998-03-12 스위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01U KR200217074Y1 (ko) 1998-03-12 1998-03-12 스위치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69U KR19990037769U (ko) 1999-10-15
KR200217074Y1 true KR200217074Y1 (ko) 2001-04-02

Family

ID=6971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01U KR200217074Y1 (ko) 1998-03-12 1998-03-12 스위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11B1 (ko) 2007-03-09 2008-10-0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849B1 (ko) * 2006-11-22 2008-04-01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11B1 (ko) 2007-03-09 2008-10-0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69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1099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US6120309A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40261224A1 (en) Hinge assembly
US6155859A (en) IC socket having pressure cover and associated stopper
JP3202515B2 (ja)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
US20040196403A1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217074Y1 (ko) 스위치조립체
KR100313006B1 (ko)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KR101255214B1 (ko)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JP4030730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20062411A (ko) 레버형 도어록
CN218730757U (zh) 一种柜外操作手柄
KR101315492B1 (ko) 도어래치장치
KR200344449Y1 (ko) 휴대폰의플립형커버개폐구조
JPH0754531A (ja) ラッチ装置
KR20060010333A (ko)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00002410U (ko) 캐비넷 괘정구의 키실린더 지지구조
CN113700383B (zh) 门锁及洗衣机
KR200171949Y1 (ko) 심 카드용 소켓
KR0123734Y1 (ko) 카오디오용 노브
JP4102476B2 (ja) カメラ
JP2002134942A (ja) カバー開閉構造
JP2004052366A (ja) クレセント錠
KR1010304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락킹 장치
JPH01325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