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006B1 -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 Google Patents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006B1
KR100313006B1 KR1019990042911A KR19990042911A KR100313006B1 KR 100313006 B1 KR100313006 B1 KR 100313006B1 KR 1019990042911 A KR1019990042911 A KR 1019990042911A KR 19990042911 A KR19990042911 A KR 19990042911A KR 100313006 B1 KR100313006 B1 KR 100313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asing
lock pin
hear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071A (ko
Inventor
염규화
Original Assignee
여무남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무남,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여무남
Priority to KR101999004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0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에 접리가능한 가동단자로 이루어진 스위치유니트를 갖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하트형 캠;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하트형 캠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유리되도록 하는 로크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단자에 작동하여 상기 가동단자를 상기 고정단자에 접리조작시키는 볼; 및 상기 볼과 상기 로크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과 상기 로크핀을 상기 가동단자 및 상기 하트형 캠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트형 캠을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하고, 단일의 압축스프링으로 로크핀과 볼을 회로기판의 가동단지 및 하트형 캠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구성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작업이 간편해져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PUSH-LOCK TYPE SWITCH ASSEMBLY}
본 발명은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에 접리가능한 가동단자로 이루어진 스위치유니트를 갖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중 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종래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조립체는 사각통상의 케이싱(110)과, 케이싱(110)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145)를 갖는 슬라이더(140)를 가진다.
케이싱(110)에는 슬라이더(140)의 출입을 위한 출입개구(116)가 형성되어 있고, 출입개구(116)에 대향하는 면에는 압축코일스프링(141)이 고정되는 고정돌기(11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입개구(116)에 이웃하는 면에는 회로기판(130)이 장착되어 있다. 케이싱(110)에 설치된 회로기판(130)상에는 슬라이더(140)의 이동시 볼에 의해 접리조작되는 스위치유니트(131)가 형성되어 있으며,회로기판(131)의 일측 연부에는 회로기판(131)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137)가 부착되어 있다.
케이싱(110)의 회로기판(130)이 설치된 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케이싱(11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한 사각 테두리 형상의 캠수용부(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캠수용부(128)에는 로크핀(153)과 당접하여 스위치유니트(131)가 온오프되도록 하는 하트형 캠(120)이 장착되어 있다. 하트형 캠(120)에는 중앙에 하트형상의 가이드부(121)를 중심으로 폐쇄루프를 갖는 그루브(12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루브(126)는 로크핀(153)의 선회방향을 따라 상승구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126)상에는 스위치유니트(131)가 온상태가 되도록 로크핀(153)이 고정되는 로킹홈부(124)와, 스위치유니트(131)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로크핀(153)이 고정되는 로킹해제홈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40)는, 케이싱(110)내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50)와, 슬라이딩부(15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50)를 가압하는 가압노브부(145)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50)의 일측판면에는 케이싱(110)과 슬라이더(1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141)이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142)와, 슬라이더(140)를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로크시키는 로크핀(153)을 수용하는 로크핀수용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용부(142)와 로크핀수용부(154)는, 슬라이딩부(150)의 판면에 슬라이더(140)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길게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46)에 형성되며, 스프링수용부(142)는 가압노브부(145)와 대향하는 슬라이딩부(150)의 단부에 인접한돌출부(146)에 형성되어 케이싱(110)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로크핀수용부(154)는, 돌출부(146)의 스프링수용부(142)가 형성된 영역의 타측에 상향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에는 개구를 폐쇄하는 수용부커버(157)가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로크핀수용부(154)내에는 일측 말단부가 슬라이딩부(150)의 판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로크핀(153)과, 로크핀(15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핀스프링(159)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로크핀(153)의 핀스프링(159)을 향한 말단부는 로크핀(153)이 로크핀수용부(154)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확경되어 있으며, 로크핀(153)은 핀스프링(159)에 의해 로크핀(1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출부(146)의 양측에는 슬라이더(140)의 이동에 따라 회로기판(130)의 스위치유니트(131)를 접리시키는 볼(미도시)이 수용되는 볼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 수용부(미도시)에는 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볼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조립체는, 슬라이더(140)의 가압노브부(145)를 가압하여 슬라이더(140)를 케이싱(110)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 사이로 슬라이딩시키면, 하트형 캠(120)은 캠수용부(128)내에서 슬라이더(140)의 슬라이딩방향의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로크핀(153)은 하트형 캠(120)의 그루브(126)내에서 선회하게 된다. 하트형 캠(120)과 로크핀(153)의 이동에 따라, 로크핀(153)이 로킹홈부(124)에 위치하면 볼이 스위치유니트(131)를 가압하여 스위치유니트(131)가 온상태로 되고, 로크핀(153)이 로킹해제홈부(122)에 위치하면 볼이 스위치유니트(131)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유니트(131)가 오프상태로 된다.
그런데, 이러한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는, 하트형 캠(120)을 별도로 형성하고 있으며, 케이싱(110)에는 캠수용부(128)를 형성하여 하트형 캠(120)이 캠수용부(128)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하트형 캠(120)에 당접하는 로크핀(153)을 슬라이더(140)에 고정하기 위해 로크핀수용부(154)와 수용부커버(157)를 형성하고, 로크핀수용부(154)내에는 로크핀(153)의 탄성이동을 위해 핀스프링(159)을 장착하였다. 또한 회로기판(130)의 스위치유니트(131)를 접리시키는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부에도 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볼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조립체의 구성을 위한 부품의 수가 비교적 많으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로우며, 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트형 캠을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하고 단일의 압축스프링으로 로크핀과 볼을 하트형 캠 및 회로기판의 가동단자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구성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작업이 간편해져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오프상태시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온상태시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개략적 정단면도,
도 7은 도 8의 측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중 케이싱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20 : 하트형 캠
22 : 로킹해제부 24 : 로킹홈부
31 : 스위치유니트 33 : 고정단자
35 : 가동단자 40 : 슬라이더
45 : 가압노브부 50 : 슬라이딩부
51 : 볼 53 : 로크핀
55 : 압축스프링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에 접리가능한 가동단자로 이루어진 스위치유니트를 갖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하트형 캠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하트형 캠과 상호작용하여 상기슬라이더가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유리되도록 하는 로크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단자에 작동하여 상기 가동단자를 상기 고정단자에 접리조작시키는 볼; 및 상기 볼과 상기 로크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과 상기 로크핀을 상기 가동단자 및 상기 하트형 캠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로크핀과 접촉하는 단부에서 스프링와이어의 밑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오프상태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조립체는 사각통상의 케이싱(10)과, 케이싱(10)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45)를 갖는 슬라이더(40)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10)은 슬라이더(40)의 로크핀(53)이 당접하여 스위치유니트(31)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하는 하트형 캠(20)과, 하트형 캠(20)이 형성된 케이싱(10)의 외벽면에 형성된 절취홈(18)과, 스위치유니트(31)가 장착되는 회로기판(30)과, 회로기판(30)의 외측에서 나사결합되는 케이싱커버(11)와, 슬라이더(40)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슬라이딩제한돌기(13)와, 슬라이더(40)의 출입을 위한 일측벽이 개방된 출입개구(16)를 가진다.
하트형 캠(20)은, 슬라이더(40)의 로크핀(53)과 당접하여 스위치유니트(31)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케이싱(10)의 회로기판(30)이 설치된 면의 대향면에서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트형 캠(20)에는 하트 형상의 가이드부(21)를 중심으로 폐쇄루프를 갖는 그루브(26)가 형성되어, 슬라이더(40)의 로크핀(53)이 그루브(26)를 따라 선회하게 된다. 그루브(26)는 로크핀(53)의 선회방향을 따라 상승구배를 가지며, 로크핀(53)의 수용시 스위치가 온되는 로킹홈부(24)와, 스위치유니트(31)가 오프되는 로킹해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트형 캠(20)이 형성된 케이싱(10)의 외벽면에는, 하트형 캠(20)을 케이싱(10)에 일체로 형성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씽크마크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절취홈(18)이 형성되어 있다.
하트형 캠(20)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 회로기판(30)이 케이싱(10)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로기판(30) 상에는 슬라이더(40)의 이동시 볼(51)에 의해 접리조작되는 스위치유니트(31)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유니트(31)는 회로기판(30) 상에 설치된 고정단자(33)와 고정단자(33)에 접리가능한 가동단자(35)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단자(33)에 형성된 고정접점(34)과 가동단자(35)에 형성된 가동접점(35)이 상호 접하게 되면 회로가 폐쇄되어 스위치유니트(31)가 온상태가 된다. 이러한 회로기판(30)의 일측 연부에는 회로기판(30)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37)가 부착되어 있으며, 회로기판(30)의 외측에는 사각판상의 케이싱커버(11)가 회로기판(30)을 관통하는 나사로 결합된다.
케이싱(10)에는 슬라이더(40)의 출입을 위한 출입개구(16)가 형성되어 있고,케이싱(10)의 내벽면에는, 케이싱(10)의 길이방향의 양측벽과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슬라이더(40)의 슬라이딩범위를 제한하는 슬라이딩제한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40)에는 슬라이더(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제한돌기(13)를 수용하는 슬라이딩제한홈(44)이 절취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0)가 케이싱(10)내에 수용되어 스위치유니트(31)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해 가압되어 슬라이딩하면,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허용하는, 미리 설정된 슬라이더(40)와 케이싱(10)의 최근접 거리에서 슬라이딩제한홈(44)의 일측벽이 슬라이딩제한돌기(13)에 접하게 되고, 스위치유니트(31)가 오프상태에서는 슬라이딩제한홈(44)의 타측벽이 슬라이딩제한돌기(13)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40)는 슬라이딩제한홈(44)의 폭만큼만 케이싱(10)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더(40)는, 케이싱(10)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부(50)와, 슬라이딩부(50)의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부(50)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더(40)를 케이싱(10)내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노브부(45)를 가진다.
슬라이딩부(50)의 중앙영역에는 슬라이딩부(50)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56)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56)에 인접한 영역에는, 슬라이더(40)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가동단자(35)에 작동하여 가동단자(35)를 고정단자(33)에 접리조작시키는 볼(51)이 장착되는 볼수용부(52)가 형성되어 있고, 볼수용부(52) 하부에는 로크핀(53) 장착을 위한 장착공(58)이 형성되어 로크핀(53)을 장착하고 있다.로크핀(53)은 양측 말단부가 평행하게 절곡된 'U'자형상으로서, 로크핀(53)의 일측 말단부는 장착공(58)에 장착되어 축부(53a)를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 말단부는 축부(53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관통공(56)내에 수용된 가동핀부(53b)를 형성하고 있다. 볼수용부(52)에 장착되는 볼(51)과, 일측 말단부가 장착공(58)에 장착된 로크핀(53) 사이에는 볼(51)과 로크핀(53)을 회로기판(30)의 가동단자(35) 및 하트형 캠(20)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55)이 개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스프링(55)으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로크핀(53)과 접촉하는 단부에서 스프링와이어의 밑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압축스프링(55)과 로크핀(53)과의 맞물림을 방지하여 로크핀(53)의 오작동을 예방하고 있다.
한편, 슬라이더(40)와 케이싱(10) 사이에는 슬라이더(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41)이 개재되어 있으며, 압축코일스프링(41)을 수용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50)의 케이싱(10)을 향한 연부의 중앙영역에는 스프링수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용부(42)는 슬라이딩부(50)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있으며, 함몰된 영역의 중앙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폐쇄루프를 갖는 그루브에서 압축코일스프링(41)을 수용하고 있다. 케이싱(10)의 스프링수용부(42)와 대향하고 있는 케이싱(10)의 면에는 스프링수용부(42)에 수용된 압축코일스프링(41)의 반대측부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돌기(15)를 돌출형성시키지 않아도 압축코일스프링(41)의 이탈 가능성이 적은 경우에는 케이싱(10)의 면에 압축코일스프링(41)을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를 조립한 다음, 슬라이더(40)의 가압노브부(45)를 가압하여 슬라이더(40)를 케이싱(10)내에서 돌출위치로부터 철회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키면, 로크핀(53)이 로킹홈부(24)에 수용되어 슬라이더(40)가 철회위치에서 고정되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온상태가 된다. 도 4는 도 1의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온상태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개략적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에 있어서, 슬라이더(40)의 가압노브부(45)를 가압하여 슬라이더(40)를 케이싱(10)내에서 돌출위치로부터 철회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키면, 도 7 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핀(53)의 가동핀부(53b)가 축부(53a)를 중심으로 회동하게되고, 로크핀(53)이 로킹해제부(22)로부터 케이싱(10)에 고정 형성된 하트형 캠(20)의 그루브(26)를 따라 이동하여 로킹홈부(24)에 수용된다. 이 때 볼(51)에 의해 회로기판(30)의 고정단자(33)의 고정접점(34)과 가동단자(35)의 가동접점(35)이 상호 접하여 회로가 폐쇄되면서 스위치유니트(31)가 온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0)의 가압노브부(45)를 다시 가압하여 슬라이더(40)를 케이싱(10)내에서 철회위치로부터 돌출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키면, 로크핀(53)이 회동하는 것은 동일하나, 이번에는 로크핀(53)이 로킹홈부(24)로부터 이탈되어 하트형 캠(20)의 그루브(26)를 따라 이동하여 로킹해제부(22)에 놓이게 된다. 이 때 볼(51)에 의해 회로기판(30)의 고정단자(33)의 고정접점(34)과 가동단자(35)의 가동접점(35)이 상호 이격되어 회로가 개방되면서 스위치유니트(31)가 오프상태로 된다. 이러한 작용 원리로 인하여 슬라이더(40)의 가압노브부(45)를 가압할 때마다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의 온 또는 오프 상태가 교차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트형 캠(20)을 케이싱(10)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단일의 압축스프링(55)으로 볼(51)과 로크핀(53)을 회로기판(30)의 고정단자(33)와 하트형 캠(20)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트형 캠을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하고, 단일의 압축스프링으로 로크핀과 볼을 하트형 캠 및 회로기판의 가동단자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구성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작업이 간편해져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가 제공된다. 그리고, 압축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이며, 로크핀과 접촉하는 단부에서 스프링와이어의 밑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압축스프링과 로크핀과의 맞물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돌출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노출된 가압노브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에 접리가능한 가동단자로 이루어진 스위치유니트를 갖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하트형 캠;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하트형 캠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철회위치와 돌출위치에 유리되도록 하는 로크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단자에 작동하여 상기 가동단자를 상기 고정단자에 접리조작시키는 볼; 및
    상기 볼과 상기 로크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볼과 상기 로크핀을 상기 가동단자 및 상기 하트형 캠 각각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로크핀과 접촉하는 단부에서 스프링와이어의 밑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KR1019990042911A 1999-10-05 1999-10-05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KR100313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911A KR100313006B1 (ko) 1999-10-05 1999-10-05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911A KR100313006B1 (ko) 1999-10-05 1999-10-05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071A KR20010036071A (ko) 2001-05-07
KR100313006B1 true KR100313006B1 (ko) 2001-11-07

Family

ID=1961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911A KR100313006B1 (ko) 1999-10-05 1999-10-05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93B1 (ko) 2012-10-31 2013-07-16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푸쉬형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01024U1 (de) * 2000-01-21 2000-06-08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Membranschalter
KR100682574B1 (ko) * 2005-10-13 2007-02-15 (주) 에스비 비젼 비틀림 스프링이 개재된 푸시락 스위치
KR100818849B1 (ko) * 2006-11-22 2008-04-01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KR100862411B1 (ko) * 2007-03-09 2008-10-0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93B1 (ko) 2012-10-31 2013-07-16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푸쉬형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071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856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3086306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6155859A (en) IC socket having pressure cover and associated stopper
CN111835899A (zh) 壳体组件以及折叠式电子设备
KR100258483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313006B1 (ko) 푸시록형 스위치조립체
JP2000331563A (ja) 押釦スイッチ
KR20020075719A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KR20040090419A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JP2005138787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2051153B1 (ko) 푸시 스위치
KR100803959B1 (ko) 회전형 전기 부품
US5138296A (en) Electric switch
JP2021028901A (ja) 安全スイッチ
KR200217074Y1 (ko) 스위치조립체
KR101255214B1 (ko)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0295564Y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20060191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4273199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42123A (ja) 照光式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4030730B2 (ja) スイッチ装置
US6230978B1 (en) Card ejection device of electronic card connector
EP0908906B1 (en) Switch
KR20000002410U (ko) 캐비넷 괘정구의 키실린더 지지구조
KR200171949Y1 (ko) 심 카드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