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28Y1 - 차선표지병 - Google Patents

차선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28Y1
KR200217028Y1 KR2020000027967U KR20000027967U KR200217028Y1 KR 200217028 Y1 KR200217028 Y1 KR 200217028Y1 KR 2020000027967 U KR2020000027967 U KR 2020000027967U KR 20000027967 U KR20000027967 U KR 20000027967U KR 200217028 Y1 KR200217028 Y1 KR 200217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lane marker
road surface
marker bottl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선
Original Assignee
이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선 filed Critical 이기선
Priority to KR2020000027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2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노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통행 차량의 하중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된 차선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 노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선을 임시로 표시하도록 된 차선표지병에 있어서, 납짝한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30)와, 이 바디(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야광부재(40)와, 상기 바디(30)의 저면에 부착되어 이 바디(30)를 노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표지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선표지병{lane indication cake}
본 고안은 차선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도로 노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통행 차량의 하중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된 임시차선의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롭게 포장된 도로는 정식 차선이 도색되기 전에 임시로 차선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선표지구(5)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차선표지구(5)는 베이스(6)와, 이 베이스(6)에 대해 대략 수직설치된 표지부(7)와, 이 표지부(7)의 상단 전후면에 부착된 야광스티커(8)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선표지구(5)는 수직 설치된 표지부(7)가 차량에 의해 자주 눌리게 되는데, 중대형 차량에 의해 눌려지게 되는 경우 등에는 상기 표지부(7)가 쉽게 부러져 파손되는 경우가 빈발하였다.
한편, 도로의 중앙선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선표지병(20)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선표지병(20)은 그 저면에 포스트(22)가 소정 길이 돌출형성된 금속재의 블록(24)과, 이 블록(24)의 측면에 설치된 야광스티커(26)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표지병(20)은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 노면에 소정 깊이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이 고정공에 상기 포스트(22)를 억지끼움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가 번거롭기 때문에, 새롭게 포장된 도로의 임시차선을 표시하는데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며, 통상 정식차선을 표시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노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통행 차량의 하중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된 차선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선표지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차선표지병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선표지병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차선표지구 6. 베이스
7. 표지부 8, 26. 야광스티커
20. 차선표지병 22. 포스트
24. 블록 30. 바디
32. 안착홈 40. 야광부재
50. 접착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 노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선을 임시로 표시하도록 된 차선표지병에 있어서, 납짝한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30)와, 이 바디(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야광부재(40)와, 상기 바디(30)의 저면에 부착되어 이 바디(30)를 노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표지병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표지병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차선표지병은 블록형상의 바디(30)와, 이 바디(30) 상면에 구비되는 야광부재(40)와, 상기 바디(30)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져 도로의 노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야광스티커가 부착되는 안착홈(32)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30)는 고강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사출 성형되며, 비교적 가볍고 통행 차량의 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된다. 상기 야광부재(40)는 상기 바디(30) 상면의 안착홈(32)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야광스티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도 야광테이프나 야광페인트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30)의 저면에는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부재(50)가 부착되어, 이 바디(30)를 도로의 노면에 간편하게 부착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차선표지병은 노란색의 야광부재(40)가 구비된 경우 도로의 중앙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도로의 중앙선을 표시하고, 하얀색의 야광부재(40)가 구비된 경우 도로의 중앙선 이외의 차선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선표지병은 두께가 얇은 블록형태로 이루어져 차량에 의해 눌려지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사출성형되므로 코스트 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선표지병은 도로의 노면에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부재(50)로 간편하게 부착 설치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차선표지병은 가벼우면서도 견고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합성수지재로 대량으로 사출성형되므로 코스트가 절감되고, 노면에 간편하게 부착 설치되므로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도로 노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선을 임시로 표시하도록 된 차선표지병에 있어서, 납짝한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30)와, 이 바디(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야광부재(40)와, 상기 바디(30)의 저면에 부착되어 이 바디(30)를 노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표지병.
KR2020000027967U 2000-10-07 2000-10-07 차선표지병 KR200217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67U KR200217028Y1 (ko) 2000-10-07 2000-10-07 차선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67U KR200217028Y1 (ko) 2000-10-07 2000-10-07 차선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28Y1 true KR200217028Y1 (ko) 2001-03-15

Family

ID=7307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967U KR200217028Y1 (ko) 2000-10-07 2000-10-07 차선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60B1 (ko) * 2012-03-23 2013-12-13 (주)부광세이프티 매립형 도로 표지병
KR102647441B1 (ko) * 2023-03-31 2024-03-14 대한민국 안전 시설물용 임시 도로 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60B1 (ko) * 2012-03-23 2013-12-13 (주)부광세이프티 매립형 도로 표지병
KR102647441B1 (ko) * 2023-03-31 2024-03-14 대한민국 안전 시설물용 임시 도로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7028Y1 (ko) 차선표지병
KR101938680B1 (ko) 설치수단을 갖는 도로표지병
JPH10121408A (ja) 視線誘導標識を付した縁石ブロック
KR20180100742A (ko) 표지주 설치형 표지판 및 이의 설치방법
JPH09158136A (ja) 車止め用の縁堰
KR200326777Y1 (ko) 도로표지병
KR100413131B1 (ko) 가드레일
KR200300011Y1 (ko) 탈, 부착식 산업 안전 표지판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KR200301359Y1 (ko) 정보제공판이 부착된 볼라드
KR200208861Y1 (ko) 도로의 가이드레일용 안내표시구
KR102027735B1 (ko) 교차로용 도로표지병 모듈
KR200430984Y1 (ko) 차선표시구
KR200452317Y1 (ko) 차량유도표지판
US6315491B1 (en) Roadway marker device
KR920003739Y1 (ko) 도로 표지구
JPS61204406A (ja) 路面標識
KR20030047360A (ko) 차선표시라인 구조물
JPH083453Y2 (ja) 工事用標識
KR100646219B1 (ko) 사이드포스트의 야광반사경 및 그 부착방법
KR890004137Y1 (ko) 횡단보도 안전 표시대
KR200287316Y1 (ko) 주차구역 표지구
KR200234822Y1 (ko) 차선 임시 표시구
KR200274085Y1 (ko) 측량경계 표시구
KR20010091755A (ko) 노면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