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786Y1 -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786Y1
KR200216786Y1 KR2020000019194U KR20000019194U KR200216786Y1 KR 200216786 Y1 KR200216786 Y1 KR 200216786Y1 KR 2020000019194 U KR2020000019194 U KR 2020000019194U KR 20000019194 U KR20000019194 U KR 20000019194U KR 200216786 Y1 KR200216786 Y1 KR 200216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hole
polishing
side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이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이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이날테크
Priority to KR2020000019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786Y1/ko

Links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로가 도금되어 있는 기판에 있어서, 동일한 모양으로 수개의 회로가 인쇄되고 절단공이 형성된 기판을 본체에 고정되게한 것과: 본체의 상면에서 간격 조절용 연마장치가 설치된 압착구룰 설치하여 각가의 기판에 형성된 컨넥터를 압착하도록 한 것과: 압착구에 설치된 연마장치를 전후로 구동시켜 연마용 로울러가 기판의 컨넥터부에 있는 이바리를 압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한번에 여러 장의 기판을 가공함으로서 단시간에 대량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가 있고 기판의 경사면을 따라 압착하여 제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바리에 의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THE DEVICE OF ELIMINATING UNCESSANG GUILT}
본 고안은 회로가 도금되어 있는 기판에 있어서, 컨넥터에 도금된 도금부가 돌출된 이바리(BURR)를 연마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본체에 수개의 연마장치가 설치된 압착구를 설치하여 간단하게 컨넥터에 돌출된 이바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통신기기나 전자기기들이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하여 기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에 사용되어온 기판은 기판의 표면에 도금되어 있는 회로부와 컨넥터부로 구분되는 바, 기판을 다른 컨넥터에 체결할 경우 기판에 도금되어 있는 도금부가 컨넥터의 접속부에 부딪치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기판의 컨넥터에 도금되어 있는 회로의 이바리가 벗겨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판이 불량 처리됨으로서 원자재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즉 컨넥터에 도금되어 있는 도금부 이바리가 벗겨지면서 그 일측에 도금되어 있는 회로에 접촉하게 됨으로서 쇼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가의 기판을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마지나 솔을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에는 기판을 잡은 다음 기판의 컨넥터부를 갈아 이바리를 제거하였고, 연마지나 솔로 제거되지 않는 이바리는 칼로서 제거하였으나 칼을 사용할 경우 제품에 흠집(SCRATCH)이 자주 발생되어 기판이 불량 처리되거나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사람이 수동으로 기판 하나씩 컨넥터면을 일일이 연마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람이 직접 손으로 작업을 함으로서 정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초보자가 연마를 할 경우 연마부의 코팅부가 떨어져 인쇄부의 동이 노출되거나 연마각도가 틀리는 등의 불량률이 심하여 전문가를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전문가를 채용하여 제품을 연마 생산할 경우 생산량에 비하여 수입금액이 낮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초보자를 훈련시켜 연마함으로서 불량률이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수개의 연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압착구를 설치하되 압착구에 설치되어 있는 연마장치가 전후로 유동되게 하여 본체에 기판을 고정한 다음 압착구로 압착하고, 이 상태에서 연마장치를 전후로 유동시킴으로서 연마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연마 로울러가 이바리를 압착 연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연마장치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연마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연마기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연마기의 조립상태를 보인 발췌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압착구의 전개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 은 본 고안 기판 압착 고정부의 요부 확대 측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압착로울러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 기판 고정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1 은 본 고안 기판 고정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지지대 3. 연마장치
4. 압착구 5. 12. 스톱퍼 6. 가이드레일
7. 9. 받침대 8. 안착부 10. 기판 고정장치
11. 16. 손잡이 14. 27. 유동구 15. 가이드봉
17. 26. 장공 18. 체결홈 19. 보조지지대
20. 33. 스프링 21. 유동핀 22. 25. 고정핀
23. 가이드홈 24. 나사홈 28. 30. 고정나사
29. 연마기본체 31. 유동본체 32. 나사축
34. 경사부 35. 경사로울러
동일한 모양으로 수개의 회로가 인쇄되고 절단공이 형성된 기판을 본체에 고정되게 하며, 본체의 상면에서 간격 조절용 연마장치가 설치된 압착구룰 설치하여 각가의 기판에 형성된 컨넥터를 압착하도록 하고, 압착구에 설치된 연마장치를 전후로 구동시켜 연마용 로울러가 기판의 컨넥터부에 있는 이바리를 압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체(1)의 후미 양측에 지지대(2)를 설치하여 연마장치(3)가 설치되어 있는 압착구(4)를 체결하되 지지대(2)의 내부 일측에는 스톱퍼(5)를 설치하고, 압착구(4)의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레일(6)을 설치하여 연마장치(3)를 체결하여 전후로 유동되게 하고, 본체(1)의 양측에는 받침대(7)를 설치하며, 본체(1)의 상부에는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8)를 설치하되 안착부(8)의 상면에 기판을 보호하는 받침대(9)를 설치하고, 안착부의 전면 양측에는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고정장치(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36은 기판, 37은 컨넥터, 38은 도금부의 이바리를 보인 것이다.
상기 연마장치(3)는 일측에 손잡이(11)가 형성된 압착구(4)의 상부 양측에 스톱퍼(12)가 체결된 가이드레일(6)을 설치하여 각각 유동구(14)를 체결하되 양측의 유동구 사이에는 전후로 가이드봉(15)으로 고정하며, 그 상부에는 손잡이(16)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가이드봉(15)에는 수개의 연마기(16)를 체결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게 하며, 압착구(4)의 전면에는 장공(17)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8)을 형성하고, 이 체결홈(18)에 보조지지대(19)를 설치하되 보조지지대(19)의 끝부분에는 내부에 스프링(20)과 유동핀(21)이 체결되어 완충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고정핀(22)을 설치한다.
상기 기판 고정장치(10)는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판안착부(8)의 저면 양측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하되 그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홈(24)을 형성하고, 가이드홈(23)에는 일측에 고정핀(25)이 상측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장공(26)이 형성된 유동구(27)를 체결하여 장공(26)의 상부에서 고정나사(28)로서 나사홈(24)에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연마기(16)는 연마기본체(29)의 양측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가이드봉(15)에 체결하되 각각의 관통공의 상측에는 고정나사(30)를 설치하여 연마기본체(29)가 고정되게 하고, 고정나사와 고정나사 사이의 내측으로 나사공을 형성하고, 유동본체(31)의 상부 전후에는 나사축(32)을 고정 설치한 다음 스프링(33)을 체결하여 연마기본체(29)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에 체결하여 고정하며, 유동본체(31)의 하단부에는 45°경사진 경사부(34)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34)의 일측에 연마로울러(3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기판의 컨넥터에 도금되어 있는 이바리를 제거하고자 할때에는 가공하고자 하는 기판의 컨넥터와 다음 컨넥터의 간격만큼 압착구(4)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연마장치(3)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유동본체(31)의 상부 전후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나사(30)를 풀고 각각의 유동본체(31)를 유동시키면 유동본체(31)는 가이드봉(15)을 타고 미끄럼운동을 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각각의 연마기(16)의 간격을 기판의 컨넥터의 넓이만큼 벌린다음 고정나사(3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판의 두께만큼 압착구(4)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보조지지대(19)의 고정핀(22)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때 고정핀(22)은 나사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핀(22) 자체를 회전시켜 상하작동 시킴으로서 길이를 조절하면 된다.
본체(1)의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압착구(4)를 들어올리면 압착구(4)는 후미 지지대(2)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5)에 의하여 젖혀진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8)에 기판을 고정하기 전에 안착부(8)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지지대(2)의 간격을 벌려 보조지지대(2)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22)이 안착부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한다.
또한 안착부(8)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판고정장치(10)의 유동구(27)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28)를 풀고 유동구를 이동시켜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기준홀의 위치에 맞도록 유동구(27)의 고정핀(25)의 위치를 이동시킨 다음 다시 고정나사를 조이면 고정나사는 유동구(27)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동구(27)만 이동하게 됨으로서 기판의 기준홀에 맞추어 고정핀(25)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판의 컨넥터를 연마할 준비를 한 다음 본체(1)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압착구(4)를 들어올리면 압착구(4)는 본체의 후미 지지대(2)에 체결된 축을 고정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압착구(4)를 후미로 젖히면 압착구(4)는 지지대(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5)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8)에 기판을 올려놓되 기판의 양측에 형성된 기준홀이 본체의 안착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25)에 삽입 되게 하여 올려 놓은 다음 압착구(4)의 손잡이(11)를 잡고 압착구(4)를 전면으로 당기면 압착구(4)에 설치되어 있는 연마기(15)가 각각의 기판에 형성된 컨넥터에 올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1)를 이용하여 압착구(4)를 하단으로 누르게 되면 압착구(4)의 전면 하단 양측의 보조지지대(19)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22)이 기판접 접하게 되면서 기판을 압착하여 고정하게 되는 바, 이때 고정핀(22)은 압착구(4)가 압착하는 힘이 과중될 경우 고정핀(2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20)을 압착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유동본체(31)에 체결되어 있는 연마로울러(35)가 기판의 콘넥터와 접하게 되면서 유동본체(31)가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연마기본체(29)와 유동본체(31)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33)을 압착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기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착구(4)를 누른 상태에서 연마기본체(29)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16)를 잡고 당기게 되면 양측의 유동구(14)는 가이드봉(1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의 유동구(14)가 같이 압착구(4)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6)을 타고 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동본체(3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마로울러(35)가 기판의 컨넥터와 같은 모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울러가 컨넥터에 도금되어 있는 회로를 압착하게 됨으로서 회로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를 따라 압착됨으로서 경사부에 붇게 함으로서 이바리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컨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회로들의 이바리는 압착로울러가 지나가면서 압착하게 됨으로서 외측으로 쓸리지 않고 하단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바리가 그 주변에 있는 다른 이바리와 접하지 않고 하단으로 압착됨으로서 쇼트의 가능성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착구(4)를 압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마기의 손잡이를 작동시켜 연마로울러(35)가 기판의 컨넥터를 압착하여 이바리를 제거한 다음 압착구(4)를 상부로 들어올려 기판을 분리한 다음 기판을 뒤집어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다시 이바리를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상부에 수개의 연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압착구를 설치하되 압착구에 설치되어 있는 연마장치가 전후로 유동되게 하여 본체에 기판을 고정한 다음 압착구로 압착하고, 이 상태에서 연마장치를 전후로 유동시킴으로서 연마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연마 로울러가 이바리를 압착 연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한번에 여러 장의 기판을 가공함으로서 단시간에 대량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가 있고 기판의 경사면을 따라 압착하여 제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바리에 의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본체(1)의 후미 양측에 지지대(2)를 설치하여 연마장치(3)가 설치되어 있는 압착구(4)를 체결하되 지지대(2)의 내부 일측에는 스톱퍼(5)를 설치하고, 압착구(4)의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레일(6)을 설치하여 연마장치(3)를 체결하여 전후로 유동되게 하고, 본체(1)의 양측에는 받침대(7)를 설치하며, 본체(1)의 상부에는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8)를 설치하되 안착부(8)의 상면에 기판을 보호하는 받침대(9)를 설치하고, 안착부의 전면 양측에는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고정장치(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BURR)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마장치(3)는 일측에 손잡이(11)가 형성된 압착구(4)의 상부 양측에 스톱퍼(12)가 체결된 가이드레일(6)을 설치하여 각각 유동구(14)를 체결하되 양측의 유동구 사이에는 전후로 가이드봉(15)으로 고정하며, 그 상부에는 손잡이(16)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가이드봉(15)에는 수개의 연마기(16)를 체결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게 하며, 압착구(4)의 전면에는 장공(17)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8)을 형성하고, 이 체결홈(18)에 보조지지대(19)를 설치하되 보조지지대(19)의 끝부분에는 내부에 스프링(20)과 유동핀(21)이 체결되어 완충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고정핀(22)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BURR)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 고정장치(10)는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판안착부(8)의 저면 양측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하되 그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홈(24)을 형성하고, 가이드홈(23)에는 일측에 고정핀(25)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장공(26)이 형성된 유동구(27)를 체결하여 장공(26)의 상부에서 고정나사(28)로서 나사홈(24)에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BURR)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연마기(16)는 연마기본체(29)의 양측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가이드봉(15)에 체결하되 각각의 관통공의 상측에는 고정나사(30)를 설치하여 연마기본체(29)가 고정되게 하고, 고정나사와 고정나사 사이의 내측으로 나사공을 형성하고, 유동본체(31)의 상부 전후에는 나사축(32)을 고정 설치한 다음 스프링(33)을 체결하여 연마기본체(29)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에 체결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BURR)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유동본체(31)의 하단부에는 경사부(34)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34)에 연마로울러(3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BURR)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6)을 타고 전후로 유동되는 유동구(14)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연마기(16)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가 도금된 기판의 이바리(BURR) 제거장치.
KR2020000019194U 2000-07-05 2000-07-05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 KR200216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94U KR200216786Y1 (ko) 2000-07-05 2000-07-05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94U KR200216786Y1 (ko) 2000-07-05 2000-07-05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213A Division KR20020004372A (ko) 2000-07-05 2000-07-05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786Y1 true KR200216786Y1 (ko) 2001-03-15

Family

ID=7308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194U KR200216786Y1 (ko) 2000-07-05 2000-07-05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7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22B1 (ko) 2019-06-19 2020-03-06 박철수 사출물의 이바리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22B1 (ko) 2019-06-19 2020-03-06 박철수 사출물의 이바리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7176A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200216786Y1 (ko)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장치
KR20020004372A (ko) 회로가 도금된 기판 컨넥터의 이바리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218225648U (zh) 一种新型零点定位夹紧机构
CN112658691A (zh) 一种冲浪板切割打磨一体装置
CN112338680B (zh) 一种电子设备印制电路板磨边处理机械
CN213938447U (zh) 一种计算机硬件组装用pcb板磨角装置
CN214109909U (zh) 一种pcb电路板的磨板装置
KR20090029871A (ko) 에지밴딩기용 트리밍장치
JP2005152717A (ja) 除塵装置
CN214265002U (zh) 一种木板加工用圆角打磨装置
CN209811906U (zh) 一种线路板打磨装置
CN213137038U (zh) 一种pcb钻孔机
CN220108348U (zh) 一种线路板插件装置
CN221111307U (zh) 一种磨床加工用装夹装置
CN215942834U (zh) 一种电子设备用基板加工夹持装置
EP1542267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SHING A WAFER
CN215240206U (zh) 一种阀块外壁打磨用夹持台
CN221022758U (zh) 一种印刷装置
CN212735100U (zh) 轴承座钻孔工装
CN216905473U (zh) 一种线路板生产用的固定治具
KR100342845B1 (ko) 최소형 피. 씨. 비 기판의 접속부 연마방법 및 그 장치
CN209998917U (zh) 一种用于研磨陶瓷基板表面异物的抛光头
CN221111506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五金件夹具
WO2003010807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dispositif de circuit integre semi-conduc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