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26Y1 -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226Y1
KR200216226Y1 KR2020000006569U KR20000006569U KR200216226Y1 KR 200216226 Y1 KR200216226 Y1 KR 200216226Y1 KR 2020000006569 U KR2020000006569 U KR 2020000006569U KR 20000006569 U KR20000006569 U KR 20000006569U KR 200216226 Y1 KR200216226 Y1 KR 200216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gear
tooth
stop
whee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재
Original Assignee
이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재 filed Critical 이흥재
Priority to KR2020000006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226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륜차를 세우기 위한 스탠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이륜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치차와, 제1 치차에 고정되는 정지패달과, 제1 치차에 치합되도록 이륜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치차와, 제2 치차에 고정되어 이륜차를 세우기 위한 스탠더와, 이륜차 상에 힌지점을 두도록 설치되어 스탠더의 상승방향에 대응하는 제2 치차의 역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치차의 역회전을 자유롭게 하여 스탠더를 상승시키는 운행패달과, 이륜차와 스탠더 사이에 설치되어 스탠더의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 스프링과, 이륜차와 운행패달 사이에 설치되어 운행패달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를 제2 치차의 외주부에 형성된 톱니에 접촉시키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정지패달이나 운행패달을 밟아 스탠더를 간편하게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스탠딩장치{Standing Apparatus for 2 Wheel Vehicle}
본 고안은 이륜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륜차를 세우기 위한 스탠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나 오토바이시클과 같은 2륜차에는 정지시에 차체를 세우기 위한 스탠딩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탠딩 장치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몸체(2)의 힌지핀(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더(4)와, 몸체(2)의 핀(2b)과 스탠더(4)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8)과, 스탠더(4)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6)를 구비한다. 운행시에 스탠더(4)는 도 1b와 같이 스프링(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정지시에는 차체가 넘어가지 않도록 스탠더(4)는 운전자에 의해 젖혀지게 된다. 이 때, 스탠더(4)는 힌지핀(2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대략 수직으로 서게 되면서 바닥면이 지면에 접촉된다. 이 정지상태에서 스탠더(4)는 스토퍼(6)와 스프링(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탠딩장치는 차체가 정지된 후에 운전자가 내려서 스탠더(4)를 운전자의 발로 젖혀져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로 하여금 많은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게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앞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32,52,72 : 몸체 4,16,36,66,80 : 스탠더
6,64 : 스토퍼 8,26,28,46,48,88,90 : 스프링
14,34,74,78 : 치차 18,38,54a,76 : 정지패달
22,42,60 ,84: 롤러 24,44,54b,86 : 운행패달
50 : 중간레버 54 : T자형 패달
56 : 수평레버 62a,62b : 굴절레버
17,37,57,81 : 연결링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이륜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치차와, 제1 치차에 고정되는 정지패달과, 제1 치차에 치합되도록 이륜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치차와, 제2 치차에 고정되어 이륜차를 세우기 위한 스탠더와, 이륜차 상에 힌지점을 두도록 설치되어 스탠더의 상승방향에 대응하는 제2 치차의 역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치차의 역회전을 자유롭게 하여 스탠더를 상승시키는 운행패달과, 이륜차와 스탠더 사이에 설치되어 스탠더의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 스프링과, 이륜차와 운행패달 사이에 설치되어 운행패달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를 제2 치차의 외주부에 형성된 톱니에 접촉시키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핀(12a)에 고정된 치차(14) 및 스탠더(16)와, 스탠더(16)를 아래로 누르기 위한 정지패달(18)과, 치차(14)의 역방향 회전을 규제함과 아울러 스탠더(16)를 들어 올리기 위한 운행패달(24)과, 운행패달(24)과 몸체(12) 사이에 설치된 제1 스프링(26)과, 스탠더(16)와 몸체(12)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프링(28)을 구비한다. 치차(14)에는 원주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수직면과 임의의 경사각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톱니들(14a)이 원주면 상에 나란히 형성된다. 이 치차(14)의 중심은 도 3과 같이 몸체(12)를 관통하여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핀(12a)에 고정된다. 스탠더(16)는 도 3과 같이 사다리 형태를 가지며 몸체(12)에 설치된 제1 핀(12a)에 고정되어 정지패달(18)에 연동됨으로써 치차(14)와 함께 회전한다. 스탠더(16)의 일측 끝단부에는 핀(20)과 연결링크(17)에 의해 롤러(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스탠더(16)의 중앙부와 정지패달(18)의 끝단은 용접 또는 도시하지 않은 결합부재에 의해 일체화된다. 또한, 스탠더(16)의 힌지축상에 정지패달(18)이 연결될 수도 있다. 스탠더(16)에 설치되는 고정핀(16b)과 몸체(12)의 치차(14) 위 쪽에 설치된 고정핀(12c) 사이에는 제2 스프링(28)이 설치된다. 제2 스프링(28)은 스탠더(16)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정지패달(18)은 스탠더(16)에 고정되며 운전자의 힘을 스탠더(16)에 전달한다. 이 정지패달(18)에 의해 차체의 정지시 또는 서행중에 스탠더(18)는 지면 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운행패달(24)의 끝단에는 후크(25)가 형성되고 몸체(12)에 설치되는 제2 핀(12b)에 의해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운행패달(24)의 후크(25)는 치차(14)의 톱니들(14a) 사이에 끼워진다. 제1 스프링(26)은 운행패달(24)에 형성된 고정핀(24a)과 몸체(12)에 형성된 고정핀(12d)에 양끝단이 고정되고 몸체(12)의 제2 핀(12b)을 감싸게 된다. 이 제1 스프링(26)은 탄성 복원력을 운행패달(24)에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운행패달(24)의 후크(25)가 치차(14)의 톱니(14a)들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2a와 같은 운행 상태에서 스탠더(16)는 제2 스프링(2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몸체(12) 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서행시 또는 정지시에 운전자가 자신의 발로 정지패달(18)을 밟게 되면 도 2b와 같이 정지패달(18)은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이 정지패달(18)에 연동되어 스탠더(16)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치차(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운행패달(24)의 후크(25)는 톱니들(14a)의 경사면을 따르기 때문에 운행패달(24)은 제2 핀(12b)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면서 치차(14)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탠더(16)에 설치된 롤러(22)가 먼저 지면에 접촉된다. 이 때, 롤러(22)는 지면과의 마찰을 줄이게 된다. 여기서, 정지시 롤러(22)와 스탠더(16)의 휘어진 끝단이 지면에 공통으로 접촉되게 하거나 스탠더(16)를 지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세워 스탠더(16)의 휘어진 끝단만이 지면에 접촉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b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도 2a와 같은 운행상태로 복귀되는 동작은 운전자가 운행패달(24)을 밟으면서 시작된다. 이렇게 운전자가 운행패달(24)을 밟으면 운행패달(24)의 후크(25)는 치차(14)의 톱니들(14a)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스탠더(16)는 제2 스프링(2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치차(14)의 시계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도 2a와 같이 몸체(12) 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몸체(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핀(32a)에 고정된 치차(34) 및 스탠더(36)와, 스탠더(36)를 아래로 누르기 위한 정지패달(38)과, 정지패달(38)로부터의 힘을 스탠더(36)에 전달하기 위한 중간레버(50)와, 치차(34)의 역방향 회전을 규제함과 아울러 스탠더(38)를 들어 올리기 위한 운행패달(44)과, 운행패달(44)과 몸체(32) 사이에 설치된 제1 스프링(46)과, 스탠더(36)와 몸체(32)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프링(48)을 구비한다. 치차(34)에는 원주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수직면과 임의의 경사각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톱니들(34a)이 원주면 상에 나란히 형성된다. 이 치차(34)의 회전중심은 제1 핀(32a)에 고정된다. 스탠더(36)는 사다리 형태를 가지며 몸체(32)의 제1 핀(32a)에 고정되어 정지패달(38)에 연동됨으로써 치차(34)와 함께 회전한다. 스탠더(36)의 일측 끝단부에는 핀(40)과 연결링크(37)에 의해 롤러(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탠더(36)에 설치되는 고정핀(36b)과 몸체(32)의 치차(34) 위 쪽에 설치된 고정핀(32c) 사이에는 제2 스프링(48)이 설치된다. 제2 스프링(48)은 스탠더(36)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운행패달(44)의 끝단에는 후크(45)가 형성되고 몸체(32)에 설치되는 제2 핀(32b)에 의해 몸체(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크(45)는 치차(34)의 톱니들(34a) 사이에 삽입된다. 정지패달(38)은 운전자의 힘을 중간레버(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레버(50)는 정지패달(38)의 중앙부를 관통되는 핀(38a)과 스탠더(36)에 관통되는 핀(36a) 사이에 설치되어 정지레버(38)로부터의 힘을 스탠더(3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스프링(46)은 운행패달(44)에 형성된 고정핀(44a)과 몸체(32)에 형성된 고정핀(32d)에 양끝단이 고정되고 몸체(32)의 제2 핀(32b)을 감싸게 된다. 이 제1 스프링(46)은 탄성 복원력을 운행패달(44)에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운행패달(44)의 후크(45)가 치차(34)의 톱니(34a)들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4a와 같은 운행 상태에서 스탠더(36)는 제2 스프링(4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몸체(32) 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서행시 또는 정지시에 운전자가 자신의 발로 정지패달(38)을 밟게 되면 이 힘은 중간레버(50)를 경유하여 스탠더(36)에 전달된다. 그러면 정지패달(38), 중간레버(50) 및 스탠더(36)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치차(3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운행패달(44)의 후크(45)는 톱니들(34a)의 경사면을 따르기 때문에 운행패달(44)은 제2 핀(32b)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면서 치차(34)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탠더(36)에 설치된 롤러(42)가 먼저 지면에 접촉된다. 이 때, 롤러(42)는 지면과의 마찰을 줄이게 된다. 여기서, 정지시 롤러(42)와 스탠더(36)의 휘어진 끝단이 지면에 공통으로 접촉되게 하거나 스탠더(36)를 지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세워 스탠더(36)의 휘어진 끝단만이 지면에 접촉되게 할 수도 있다. 도 4b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도 4a와 같은 운행상태로 복귀되는 동작은 운전자가 운행패달(44)을 밟으면서 시작된다. 이렇게 운전자가 운행패달(44)을 밟으면 운행패달(44)의 후크(45)는 치차(34)의 톱니들(34a)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스탠더(36)는 제2 스프링(4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몸체(32) 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장치를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대비하면, 중간레버(50)에 의해 정지패달(38)의 구동 스트로크(Stroke) 즉, 하강구간의 길이가 더 짧아지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몸체(52)에 형성된 핀(5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T자형 패달(54)과, 핀(56a)에 의해 T자형 패달(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레버(56)와, 핀(52b)에 의해 몸체(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더(66)와, 수평레버(56)의 직선운동에 연동되어 스탠더(66)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과, 제1 굴절레버(62a)와 몸체(5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5)과,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64)를 구비한다. T자형 패달(54)은 핀(52a)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정지패달(54a)과 운행패달(54b)이 형성되며, 몸체(52)와 수평레버(56) 사이에 설치되어 운전자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수평레버(56)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T자형 패달(54)에 의해 일체화된 정지패달(54a,)과 운행패달(54b)은 수평레버(56)의 양끝단에서 몸체(52)에 힌지점을 두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정지패달(54a)과 운행패달(54b)은 각각 수평레버(56)의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수평레버(56)는 그 일측이 핀(56a)에 의해 T자형 패달(5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반대측이 핀(56b)에 의해 제1 및 제2 굴절레버(62a,62b)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이 수평레버(56)는 T자형 패달(54)에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을 구동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은 그 일측 끝단들이 중첩되어 핀(56b)에 의해 수평레버(56)에 연결되고 그 반대측 끝단이 각각 핀들(52c,66a)에 의해 몸체(52)와 스탠더(66)에 연결된다. 이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은 수평레버(56)의 수평방향 직선운동에 연동되어 스탠더(66)를 상승 및 하강시키게 된다. 스탠더(66)는 핀(52b)에 의해 몸체(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핀(66a)에 의해 제2 굴절레버(62b)에 연결된다. 또한, 스탠더(66)의 일측 끝단부에는 핀(58)과 연결링크(57)에 의해 롤러(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스탠더(66)는 수평레버(56)의 직선운동에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의 힌지점 즉, 핀(56b)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에 연동되어 핀(52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스프링(65)은 스탠더(66)와 몸체(52) 사이에 설치되어 스탠더(66)의 상승위치 또는 하강위치를 자신의 탄성 복원력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스토퍼(64)는 스탠더(66)의 하강위치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굴절레버(62a,62b)의 회전 한계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몸체(52)에 형성되어 스탠더(66)가 하강위치에 도달할 때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와 같은 운행 상태에서 스탠더(66)는 스프링(65)에 의해 굴절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에 의해 몸체(52) 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서행시 또는 정지시에 운전자가 자신의 발로 정지패달(54a)을 밟게 되면 이 힘에 의해 T자형 패달(54)은 핀(52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수평레버(56)는 회전운동하는 T자형 패달(54)을 따라 우측으로 직선운동하여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을 끌어당기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탠더(66)는 수평레버(56)에 연동되어 하강하게 된다. 그 결과, 스탠더(66)에 설치된 롤러(60)가 먼저 지면에 접촉된다. 도 5b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도 5a와 같은 운행상태로 복귀되는 동작은 운전자가 운행패달(54b)을 밟으면서 시작된다. 이렇게 운전자가 운행패달(54b)을 밟으면 T자형 패달(54)은 핀(52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수평레버(56)는 회전운동하는 T자형 패달(54)을 따라 좌측으로 직선운동하여 제1 및 제2 굴절레버들(62a,62b)을 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탠더(66)는 수평레버(56)에 연동되어 도 5a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몸체(72)에 형성된 핀(7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치차(74)와, 제1 치차(74)에 고정된 정지패달(76)과, 제1 치차(74)에 치합되도록 몸체(72)에 형성된 핀(7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치차(78)와, 제2 치차(78)에 고정된 스탠더(80)와, 일측에 형성된 후크(85)가 제2 치차(78)의 톱니들 사이에 끼워지고 몸체(72)에 형성된 핀(72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행패달(86)과, 몸체(72)와 운행패달(8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90)과, 몸체(72)와 스탠더(8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88)을 구비한다. 각각 경사면과 수직면을 가지는 제1 치차(74)와 제2 치차(78)의 톱니들은 치합된다. 제1 및 제2 치차(74,78)의 회전비는 운전자가 정지패달(76)를 밟는 거리에 비하여 제2 치차(78)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치차(74)의 직경이 제2 치차(78)의 그것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제1 치차(74)는 정지패달(76)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하여 제2 치차(78)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치차(78)는 제1 치차(74)에 연동되어 제1 치차(7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탠더(8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탠더(80)는 제2 치차(78)에 고정되고 그 일측 끝단부에 핀(82)과 연결링크(81)를 롤러(8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운행패달(86)은 핀(72c)을 통하여 몸체(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 끝단에 제2 치차(78)의 톱니들 사이에 끼워지는 후크(85)가 형성된다. 이 운행패달(86)은 후크(85)를 이용하여 제2 치차(78)의 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운전자에 의해 구동되어 제2 치차(78)의 시계방향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스프링(90)은 양끝단이 각각 몸체(72)에 형성된 핀(72a)과 운행패달(86)에 형성된 핀(86a)에 고정되어 탄성 복원력을 운행패달(86)에 지속적으로 가하게 된다. 제2 스프링(88)은 양끝단이 각각 몸체(72)에 형성된 핀(72d)과 스탠더(80)에 형성된 핀(80a)에 고정되어 스탠더(80)의 상승위치 또는 하강위치를 자신의 탄성 복원력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도 6a와 같은 운행 상태에서 스탠더(80)는 스프링(8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몸체(72) 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서행시 또는 정지시에 운전자가 자신의 발로 정지패달(72)을 밟게 되면 이 힘에 의해 제1 치차(7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 치차(7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스탠더(80)는 제2 치차(78)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 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 결과, 스탠더(80)에 설치된 롤러(84)가 지면에 접촉된 후, 스탠더(80)의 휘어진 끝단이 지면에 접촉된다. 도 6b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도 6a와 같은 운행상태로 복귀되는 동작은 운전자가 운행패달(86)을 밟으면서 시작된다. 이렇게 운전자가 운행패달(86)을 밟으면 제2 치차(78)와 스탠더(80)는 제2 스프링(8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치차(7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스탠더(80)와 정지패달(76)은 몸체(72)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차체의 몸체부에 정지패달과 운행패달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정지패달과 운행패달에 연동하여 스탠더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력전달 및 동력변환수단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정지패달이나 운행패달을 밟아 스탠더를 간편하게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스탠딩장치는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서행시에 스탠더를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짐을 실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이륜차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운전자에 대한 근접위치에서 정지패달, 운행패달 및 이 패달들을 통해 공급되는 구동력에 연동되어 스탠더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력전달 및 동력변환수단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1. 이륜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치차와,
    상기 제1 치차에 고정되는 정지패달과,
    상기 제1 치차에 치합되도록 상기 이륜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치차와,
    상기 제2 치차에 고정되어 상기 이륜차를 세우기 위한 스탠더와,
    상기 이륜차 상에 힌지점을 두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탠더의 상승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치차의 역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상기 치차의 역회전을 자유롭게 하여 상기 스탠더를 상승시키는 운행패달과,
    상기 이륜차와 상기 스탠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탠더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기 위한 제1 스프링과,
    상기 이륜차와 상기 운행패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운행패달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를 상기 제2 치차의 외주부에 형성된 톱니에 접촉시키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더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탠더에 앞서
    지면에 접촉하는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KR2020000006569U 2000-03-09 2000-03-09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KR200216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569U KR200216226Y1 (ko) 2000-03-09 2000-03-09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569U KR200216226Y1 (ko) 2000-03-09 2000-03-09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226Y1 true KR200216226Y1 (ko) 2001-03-15

Family

ID=7305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569U KR200216226Y1 (ko) 2000-03-09 2000-03-09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2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56B1 (ko) * 2010-06-14 2013-02-14 진홍재 보조바퀴가 구비된 오토바이용 메인스탠드 장치
KR101231755B1 (ko) * 2010-04-09 2013-02-14 진홍재 오토바이용 미끄럼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55B1 (ko) * 2010-04-09 2013-02-14 진홍재 오토바이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1231756B1 (ko) * 2010-06-14 2013-02-14 진홍재 보조바퀴가 구비된 오토바이용 메인스탠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43572U (ko)
KR200216226Y1 (ko) 이륜차용 스탠딩장치
TWI400176B (zh) The structure of a standing bicycle
JP3353116B2 (ja) 人力走行車およびその車輪駆動機構
KR101906548B1 (ko) 자전거
KR100435265B1 (ko) 페달로라보드
KR20080044371A (ko)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JP3111972U (ja) 自転車
JP3891854B2 (ja) トラクタ
KR200233264Y1 (ko) 절첩식 소형 자전거
JP4501032B2 (ja) 走行具
JPS6328078Y2 (ko)
JP2598923Y2 (ja) 車両用シー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JPH06115478A (ja) 自転車の駆動装置
KR100588807B1 (ko) 레버식 자전거
KR20150128091A (ko) 자전거 동력장치
JPH0440987Y2 (ko)
JPH037275Y2 (ko)
JPS632052Y2 (ko)
JPH0434653Y2 (ko)
JPH0524582Y2 (ko)
JPH0678185U (ja) 自転車ランプ用ギアー式発電装置
JP2004073659A (ja) 走行具
JPH032050Y2 (ko)
JPH0648361A (ja) 自転車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