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413Y1 -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413Y1
KR200215413Y1 KR2020000022667U KR20000022667U KR200215413Y1 KR 200215413 Y1 KR200215413 Y1 KR 200215413Y1 KR 2020000022667 U KR2020000022667 U KR 2020000022667U KR 20000022667 U KR20000022667 U KR 20000022667U KR 200215413 Y1 KR200215413 Y1 KR 200215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and
speaker
housing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만
Original Assignee
조은아이앤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아이앤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은아이앤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413Y1/ko
Priority to PCT/KR2001/001083 priority patent/WO2002012024A1/en
Priority to AU2001266390A priority patent/AU2001266390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 프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사용이 간편한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룸 밀러에 내장하여 기존 룸 밀러에 중첩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고, 자체 스피커와 차량 스피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 차량의 튜너를 커지 않은 상태에서도 핸드 프리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축전을 이루어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형성하여 전원 연결에 따른 번거로움을 배재하고, 핸드 프리의 기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이루어진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휴대폰의 음성 출력을 입력 받아서 FM 신호로 송신하며 이를 제어 표시하는 회로를 내장하는 전면과 후면 하우징(10, 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하우징의 전면 하부 중앙에 LCD 표시창(30)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마이크(110)를 결합하며, 상기 전면 하우징의 저면으로는 스피커 볼륨(111)과 스피커 스위치(112), RF 스위치(113), 채널 변경 스위치(114), 녹음 스위치(115) 및 재생 스위치(116)를 나열하여 이루고 그 직상부에는 각각의 스위치 동작을 표시하는 LED(LED1 ~ LED2)를 노출 형성하여 이루는 것과,
상기 후면 하우징(20)의 일 표면에는 내장 스피커(210)를 부착하고 중앙 하부로 솔라셀(40)을 결합하여 이루되 양측으로 체결 클립(220)을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음성 입력잭(117)과 외부 전원 입력잭(118)을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Hand-free device}
본 고안은 핸드 프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사용이 간편한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급증하고 이동 통신이 발전하여 차량 운행중에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상기 차량 운행중에 휴대폰 사용으로 인하여 교통사고가 다발하고 있으며 휴대폰의 사용을 운전중에 금지하자는 법안까지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휴대폰 통화로 인한 사고발생율이 떨어지지 않고 늘어나는 추세이다.
차량 운전중에 휴대폰으로 인한 사고발생의 요인은 주로 한 손으로 휴대폰을 잡고 통화하면서 한 손으로만 운전대를 잡고 운전을 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안전하고 통화내용에 집중하느라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가 수반되어 상황 대처 능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통화시에,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손으로 휴대폰을 잡지 않고서도 통화할 수 있는 핸드프리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핸드프리장치는 차량의 거치대에 휴대폰을 장착하고 휴대폰의 저면에 설치된 접속용잭에 핸드프리키트를 연결하고 여기에 연결된 스피커(또는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 핸드프리장치는 설치시 차량의 판넬에 나사 등으로 체결되므로 차체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으며 접착 테이프로 부착 설치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여름날과 같은 시기에는 접착제가 녹아내려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떨어진 자리는 접착제에 의하여 오염된 상태로 청소가 용이하지도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핸드 프리 장치의 구동 전원을 차량의 전원에만 의종하여 시거 잭으로부터 연결시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시거 잭의 사용을 번거롭게 하고 튀어나온 플러그는 행동을 제약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핸드 프리 장치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근접 배치된 구조로 값싸게 이루어지므로 하울링의 발생이 심하여 사용하는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울링에 따른 문제점 등을 보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수신되는 휴대폰의 음성 신호를 FM 신호로 변조하여 재 발신하고 자기 차량의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FM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스피커로 재생 출력하도록 이루고 발신 음성은 픽업되어 휴대폰으로 입력되어 전송되도록 이루어진 핸드 프리 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룸 밀러에 내장하여 기존 룸 밀러에 중첩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자체 스피커와 차량 스피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 차량의 튜너를 커지 않은 상태에서도 핸드 프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축전을 이루어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형성하여 전원 연결에 따른 번거로움을 배재한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핸드 프리의 기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이루어진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음성 출력을 입력 받아서 FM 신호로 송신하며 이를 제어 표시하는 회로를 내장하는 전면과 후면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하우징의 전면 하부 중앙에 LCD 표시창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마이크를 결합하며, 상기 전면 하우징의 저면으로는 스피커 볼륨과 스피커 스위치, RF 스위치, 채널 변경 스위치, 녹음 스위치 및 재생 스위치를 나열하여 이루고 그 직상부에는 각각의 스위치 동작을 표시하는 LED를 노출 형성하여 이루는 것과,
상기 후면 하우징의 일 표면에는 내장 스피커를 부착하고 중앙 하부로 솔라셀을 결합하여 이루되 양측으로 체결 클립을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음성 입력잭과 외부 전원 입력잭을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도시한 외형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면 하우징 12 : 반사경
20 : 후면 하우징 30 : LCD 표시창
40 : 솔라셀 110 : 마이크
111 : 볼륨 112 : 스피커 스위치
113 : RF 스위치 114 : 채널변경 스위치
115 : 녹음 스위치 116 : 재생 스위치
117 : 음성 입력잭 118 : 외부 전원 입력잭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음성 출력 잭과 연결되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출력이 FM 전송되고 차량에 마려된 FM 라디오를 통하여 동기 수신되어 출력되며, 통화자의 음성은 마이크를 통하여 휴대폰으로 입력되어서 전송되는 방식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에 있어서 FM 라디오을 배제하고 본 고안의 핸드 프리에 마련된 자체 스피커로도 재생이 가능하다.
도 1에 본 고안의 외형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통상의 룸 밀러로서 기능을 겸하면서 핸드 프리 장치를 내장한 하우징을 이룬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 하우징(10)과 후면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하우징의 표면에는 반사경(12)을 부착 형성하고, 전면 하우징(10)의 전면 하부 일측에는 음성 픽업용 마이크(111)를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동작 표시용 LCD 표시창(30)을 구성하고 좌우로 스위치 작동 표시용 LED(LED1~LED5)를 형성한다.
상기 전면 하우징의 하부 저면으로는 일측으로부터 스피커 볼륨(111)과 스피커 스위치(112), RF 스위치(113), 채널 스위치(114), 녹음 스위치(115) 및 녹음 재생 스위치(11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하우징의 상부에는 음성 입력잭(117)과 외부 전원 입력잭(118)을 형성하여 이룬다.
상기 후면 하우징(20)의 외부 표면 일측으로는 수신 음성을 재생 출력하는 스피커(210)을 형성하고 중앙부 양측으로 체결 클립(220)을 형성하여 이룬다.
상기 후면 하우징(20)의 중앙부분에는 차량의 앞유리 방향과 나란한 정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솔라셀(40)을 고정 형성하여 내장된 충전지에 축전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제 작용을 이하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핸드 프리 장치는 휴대폰(H)에 마련된 음성 출력용 잭을 통하여 음성 입력잭(117)으로 연결시킨다.
음성 입력잭으로 입력되는 휴대폰의 수신 음성 신호는 두가지의 재생 경로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하나의 경로는 자체 스피커(210)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스피커 스위치(112)를 통하여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체 스피커로 선택되면 차량의 튜너를 켜지 아니하여도 자체 스피커로 통화 재생이 가능하게 되며, 자체 스피커를 사용치 아니하도록 스위칭하면 차량 스피커로만 재생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선 출원된 핸드 프리 장치에 따라서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는 RF 신호로 재 송신되어 차량의 튜너로 동조 수신되어 재생되는 경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신 음성의 재송신을 선택하기 위하여 RF 스위치(113)이 이용된다.
RF 스위치(113)의 선택에 따라서 수신 음성이 본 핸드 프리를 이용하여 재 송신되는 것이다.
채널 변경 스위치(114)는 상기 재 송신하는 주파수가 인접 주파수에 영향을 받아 혼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1단계씩 주파수를 변경하는 스위치로 이용되며 이러한 변경에 따라 수신이 양호한 주파수로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녹음 스위치(115)와 재생 스위치(116)는 내장된 녹음 모듈에 통화 음성을 녹음하거나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여 청취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볼륨(111)은 상기 자체 스피커(210)으로 재생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모든 스위치(112~116)의 조작은 하우징의 전면 하부에 마련된 해당 스위치의 LED(LED1~LDE5)에 발광 표시됨에 따라 조작 상태의 식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LCD 표시창(30)은 평상시 내장 회로에 의하여 시간의 표시가 이루어져 시계로 사용되고, 상기 채널의 변경시에는 변경되어 설정되는 주파수를 표시하는 다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본 고안이 구동하는데 소요되는 전원은 차량의 전원으로 구동되거나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지 전원으로 구동 될 수도 있다.
설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는 솔라셀(40)에 의한 태양 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전지의 축전량이 부족하거나 사용 지역이 장기적인 일조량 부족 상태일 경우에는 차량 전원을 외부 전원 입력잭(118)에 연결하여 전원 공급을 이룰 수 있도록 겸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룸 밀러를 내장하여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기존 룸 밀러에 체결 클립(220)으로 용이하게 덮어 씌워 체결된다.
체결 클립의 일단은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탄성 슬라이드되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바와 유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기존 룸 밀러에 체결되면 전면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경(12)으로 후면 관측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핸드 프리로 기능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차량의 룸 밀러에 체결되므로서 설치가 극히 간편하며 차량의 손상을 배제하고 설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자체 스피커와 차량 스피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 차량의 튜너를 커지 않은 상태에서도 핸드 프리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축전을 이루어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형성하여 전원 연결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핸드 프리의 기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등의 여러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수신 음성을 재생하는 스피커와 송신 음성을 픽업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 프리 장치에 있어서,
    통상의 룸 밀러로서 기능을 겸하면서 핸드 프리 장치를 내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전면 하우징(10)과 후면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하우징의 표면에는 반사경(12)을 부착 형성하고, 전면 하우징(10)의 전면 하부 일측에는 음성 픽업용 마이크(111)를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동작 표시용 LCD 표시창(30)을 구성하고 좌우로 스위치 작동 표시용 LED(LED1~LED5)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전면 하우징의 하부 저면으로는 일측으로부터 스피커 볼륨(111)과 스피커 스위치(112), RF 스위치(113), 채널 스위치(114), 녹음 스위치(115) 및 녹음 재생 스위치(116)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음성 입력잭(117)과 외부 전원 입력잭(118)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후면 하우징(20)의 외부 표면 일측으로는 수신 음성을 재생 출력하는 스피커(210)을 형성하고 중앙부 양측으로 체결 클립(2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밀러가 내장된 핸드 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우징(20)의 중앙부분에는 차량의 앞유리 창과 평행한 기울기를 갖도록 솔라셀(40)을 고정 형성하여 내장된 충전지에 구동 전원의 축전을 이루는 태양전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밀러가 내장된 핸드 프리 장치.
KR2020000022667U 2000-08-09 2000-08-09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KR200215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67U KR200215413Y1 (ko) 2000-08-09 2000-08-09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PCT/KR2001/001083 WO2002012024A1 (en) 2000-08-09 2001-06-25 Hand free apparatus having built-in a room mirror
AU2001266390A AU2001266390A1 (en) 2000-08-09 2001-06-25 Hand free apparatus having built-in a room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67U KR200215413Y1 (ko) 2000-08-09 2000-08-09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821A Division KR100374118B1 (ko) 2000-10-20 2000-10-20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413Y1 true KR200215413Y1 (ko) 2001-03-15

Family

ID=1966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67U KR200215413Y1 (ko) 2000-08-09 2000-08-09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15413Y1 (ko)
AU (1) AU2001266390A1 (ko)
WO (1) WO2002012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13765U1 (de) * 2006-09-06 2006-12-28 Venhofen, Edgar Freisprechanlage
FR2963297B1 (fr) * 2010-08-02 2014-03-21 De Villeroche Gerard Jodon Attache universelle a crochets ou machoires pour mobiles et gps
CA2860542C (en) * 2012-01-09 2018-08-14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Personal sound amplif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060A (en) * 1992-12-15 1994-02-08 Donnelly Corporation Display for automatic rearview mirror
US5566224A (en) * 1994-08-29 1996-10-15 Motorola, Inc.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mirrored surface
KR19990046705A (ko) * 1999-04-13 1999-07-05 이은국 핸드폰용핸즈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66390A1 (en) 2002-02-18
WO2002012024A1 (en)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35563A (en) Portable telephone mounted upon a radio, compact disc and cassette deck unit
EP1668874B1 (en) A handsfree car mounting kit
JP2007507135A (ja) 携帯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キット
KR200215413Y1 (ko)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CN201207643Y (zh) 一种调频发射装置
KR100374118B1 (ko)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GB2331428A (en) Vehicle audio system for cellular phone
KR200184588Y1 (ko)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CN201113998Y (zh) 一种设在汽车观后镜上的蓝牙手机通话器
JP3050447U (ja) ハンドフリー機能付きカーオーディオ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JPH07288869A (ja) 車載用電話装置
KR200229311Y1 (ko) 룸미러 내장형 핸드프리장치
JP3133161U (ja) 車両用マルチメディアコードレス伝送受信装置
KR200214828Y1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CN201788681U (zh) 来电/音像转换仪
KR100585743B1 (ko) 착탈식 덮개를 구비한 휴대폰
KR100650572B1 (ko) 휴대폰과 에프엠트랜스미터 어셈블리
KR200166528Y1 (ko) 엘씨디모듈이분리가능한휴대용무선단말기
KR100464595B1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미러
KR200220913Y1 (ko) 자동차용 핸드프리장치
KR19990040500A (ko) 핸드프리 겸용 카오디오
JP3109986U (ja) 音声入出力手段を備えたミラー装置
KR20010001345A (ko) 핸드프리유니트
WO1995020271A1 (en) Mobile telephone extension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10921

Effective date: 200208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179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10921

Effective date: 200208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