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588Y1 -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 Google Patents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588Y1
KR200184588Y1 KR2019990030724U KR19990030724U KR200184588Y1 KR 200184588 Y1 KR200184588 Y1 KR 200184588Y1 KR 2019990030724 U KR2019990030724 U KR 2019990030724U KR 19990030724 U KR19990030724 U KR 19990030724U KR 200184588 Y1 KR200184588 Y1 KR 200184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audio
terminal
hous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화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성전자
Priority to KR2019990030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이스 레코더 장착홈을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고,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과 연결되는 제 1 오디오 잭과, 보이스 레코더의 라인 잭과 연결되는 제 2 오디오 잭과, 하우징에 설치된 마이크와, 하우징에 설치된 스피커와, 통화키 및 녹음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이어폰 잭의 제 1 단자에 상기 마이크로부터 픽업된 음성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부와, 이어폰 잭의 제 2 단자에 휴대폰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스피커에 제공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제 1 오디오 잭의 각 단자들과 제 2 오디오 잭의 각 단자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수단과,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오디오 잭의 제 1 단자에 통화제어신호를 공급하고, 녹음모드에서는 스위칭수단을 턴온시켜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에 상기 제 1 오디오 잭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인가되는 음성신호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폰 통화시 통화내용을 간단하게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VOICE RECORDABLE HANDS FREE APPARATUS FOR VEHICLE}
본 고안은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거치된 휴대폰과 휴대폰 이어폰 잭을 통하여 연결되고 휴대폰 핸즈프리 통화시 통화내용을 보이스 레코더에 녹음할 수 있는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 보편화되면서, 운전 중에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즉, 운전 중에 휴대폰의 호출음이 울리면 휴대폰을 받기 위하여 휴대폰을 꺼내거나 집어들기 위한 동작과 생각으로 운전자의 시선이 흐트려지게 된다. 또한, 휴대폰은 휴대하기 쉽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관계로 키패드가 매우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조작을 위해 키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통화시에는 한손으로 운전을 하고 통화에 신경을 쓰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가 고정되거나 좁아지게 되므로 교통사고의 위험이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운전 중에 휴대폰 사용을 법규로 제한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핸즈프리장치들은 이어 마이크를 이용한 간단한 것으로부터 충전장치와 결합된 것,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과 결합된 것 등이 있다.
이어 마이크 방식은 휴대폰을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이어폰 잭에 이어 마이크를 결합하여 운전자가 이어 마이크를 귀에 꽂고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구성이 간단하여 값이 저렴한 이점은 있으나 이어 마이크 코드가 이어폰과 휴대폰 사이에 늘어져 있게 되므로 거추장스럽고 사용상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과 연결한 방식은 차량의 오디오를 통하여 음성을 들을 수 있으나 차량의 오디오회로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방식이 복잡하여 설치상 문제가 있고 값이 비싼 문제가 있다.
또한, 충전기와 겸용방식은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캡코드를 통하여 핸즈프리장치와 연결되므로 핸즈프리장치의 내부회로구성이 복잡하여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이어폰 잭을 통하여 연결되고 보이스 레코더를 이용하여 통화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차량용 녹음겸용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스트루먼트 패널 200 : 휴대폰 거치대
300 : 휴대폰 400 : 핸즈프리장치
402 : 하우징 404 : 장착홈
410 : 마이크 412 : 오디오 입력부
414 : 스피커 416 : 오디오 출력부
418 : 제 1 오디오 잭 419 : 제 2 오디오 잭
420 : 제어회로 421 : 스위칭수단
422 : 통화스위치 424 : 녹음스위치
426 : 전원부 428 : 전원 잭
440 : 제 1 오디오 연결코드 442 : 제 2 오디오 연결코드
450 : 보이스 레코더 500 : 시가 잭 연결코드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보이스 레코더 장착홈을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고,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과 연결되는 제 1 오디오 잭과, 보이스 레코더의 라인 잭과 연결되는 제 2 오디오 잭과, 하우징에 설치된 마이크와, 하우징에 설치된 스피커와, 통화키 및 녹음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이어폰 잭의 제 1 단자에 상기 마이크로부터 픽업된 음성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부와, 이어폰 잭의 제 2 단자에 휴대폰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스피커에 제공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제 1 오디오 잭의 각 단자들과 제 2 오디오 잭의 각 단자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수단과, 키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오디오 잭의 제 1 단자에 통화제어신호를 공급하고, 녹음모드에서는 스위칭수단을 턴온시켜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에 상기 제 1 오디오 잭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인가되는 음성신호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40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에 설치된다. 휴대폰(300)은 거치대(200)에 거치된다. 핸즈프리장치(400)는 휴대폰(300)의 이어폰 잭에 제 1 오디오 연결코드(44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핸즈프리장치(400)는 보이스 레코더(450)의 라인 잭에 제 2 오디오 연결코드(44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핸즈프리장치(400)의 하우징(402)에는 보이스 레코더(450)의 장착홈(404)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오디오 연결코드(440, 442))의 양단에는 통상의 오디오 플러그가 각각 연결된다. 오디오 플러그는 팁단자, 링단자, 슬리브 단자의 3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이스 레코더(450)는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여 보이스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장치로 라인 잭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도 녹음이 가능하다.
핸즈프리장치(400)의 하우징 전면에는 마이크(410), 스피커(414) 및 통화키(422), 녹음키(424), 선택키(425) 등이 설치된다. 핸즈프리장치(400)는 전원 잭(428)을 포함하고 전원 잭(428)은 시가 잭 연결코드(500)를 통하여 차량의 시가 잭에 연결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핸즈프리장치(400)는 이어마이크 잭(434)을 통하여 이어마이크(480)와 연결된다.
하우징 내부에는 각 동작회로들이 구성된다. 마이크(410)는 오디오 입력부(412) 및 스위칭수단(436)을 통하여 제 1 오디오 잭(418)의 링단자(R)에 연결된다. 오디오 입력부(412)는 사람의 음성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회로와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한다.
스피커(414)는 오디오 출력부(416) 및 스위칭수단(436)을 통하여 오디오 잭(418)의 팁단자(T)와 연결된다. 오디오 출력부(416)는 휴대폰으로부터 제공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414)를 구동한다.
제 1 오디오 잭(418)의 각 단자들(R, T, S)은 스위칭수단(421)을 통하여 제 2 오디오 잭(419)의 각 단자들(R, T, S)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부(426)는 전원 잭(428)을 통하여 차량 배터리의 12V를 입력하여 5V의 동작전압(VCC)을 발생한다. 전원부(426)는 제어부(420)에 의해 제어되어 인에이블되어 동작전압을 출력한다.
스위칭수단(436)은 선택키(425)의 키입력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어부(42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이어 마이크 잭(434)과 오디오 입출력부(412, 414)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즉, 이어 마이크 선택시에는 이어 마이크 잭(434)이 오디오 잭(418)과 연결되도록 하여 이어 마이크(480)를 통하여 기밀스럽게 통화할 수 이도록 한다. 스피커 선택시에는 오디오 입출력부(412, 414)를 선택하여 오디오 잭(418)과 연결되도록 하여 스피커(410) 및 마이크(414)를 통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스위칭수단(436)은 오프모드에서 오디오 입출력부를 선택하고 온모드에서 이어 마이크 잭을 선택한다.
제어회로(420)는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통화스위치(422), 녹음 스위치(424)와 연결된다. 제어회로(420)는 키입력에 응답하여 통화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스위칭수단(421, 436)을 온/오프제어하고, 전원부(426)의 전압출력을 제어한다. 오디오 입력부(412) 및 오디오 출력부(416)은 전원부(426)의 출력전압에 의해 동작되므로 제어부의 인에이블상태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므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즈프리세트(400)의 제 1 오디오 잭(418)에 제 1 오디오 연결코드(440)를 통하여 휴대폰(300)을 연결하고, 제 2 오디오 잭(419)에 제 2 오디오 연결코드(442)를 통하여 보이스 레코더(450)를 연결한다. 핸즈프리세트(400)의 전원 잭(428)에 시가 잭 연결코드(500)를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12V의 전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보이스 레코더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회로(420)에서는 전원 온상태를 체크한다(600). 전원 온상태이면, 통화키 입력을 체크하고(602) 아니면 녹음키 입력을 체크한다(616).
602단계에서 통화키 입력이 있으면 제 1 플래그(F1)를 체크하고(604) 플래그값이 0이면, 플래그값을 1로 하고(606) 통화제어신호를 발생하여(608) 링단자(R)에 제공한다. 링단자(R)에 제공된 통화제어신호는 휴대폰에 전달되고 이에 휴대폰은 통화상태로 모드전환된다. 즉, 사용자는 휴대폰의 착신벨소리가 울리면, 통화키를 눌러서 통화상태로 모드를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회로(420)는 전원부(426)를 인에이블시켜서 오디오 입력부(412) 및 오디오 출력부(416)에 전원을 공급하여 음성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604단계에서 플래그값이 0이 아니면 이전 모드가 통화모드이므로 플래그값을 0으로 하고(612) 오디오 입력부(412) 및 오디오 출력부(416)에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서 디스에이블시키고(614) 통화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
통화모드에서, 616단계에서 녹음키 입력이 있으면 제 2 플래그(F2)를 체크하고(618) 플래그값이 0이면, 플래그값을 1로 하고(620) 스위칭수단(421)을 턴온시켜서 녹음을 시작한다(622). 즉, 통화내용을 보이스 레코더(428)에 녹음하게 된다(622). 618단계에서 플래그값이 0이 아니면 이전 모드가 녹음모드이므로 플래그값을 0으로 하고(624) 스위칭수단(421)을 오프시켜서 녹음동작을 종료한다(626).
616단계에서 녹음키 입력이 없으면 선택키 입력을 체크한다(630). 선택키 입력이 있으면, 플래그값 F4가 0인지를 체크한다(632). 플래그값이 0이면 플래그값을 1로 하고(634) 스위칭수단(436)을 절환하여 이어 마이크 잭(434)을 선택한다(636).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 마이크 잭(434)에 연결된 이어 마이크(480)를 통하여 기밀이 요하는 통화를 할 수 있다. 632단계에서 플래그값이 1이면 플래그값을 0으로 하고(638) 스위칭수단(436)을 절환하여 오디오 입출력부(412, 416)를 선택하여 마이크(410), 스피커(414)를 통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64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휴대폰의 이어폰 잭과 연결되어 통화시 통화내용을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출력하고 이들 통화내용을 보이스 레코더를 통하여 녹음할 수 있으므로, 핸즈프리상태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통화내용은 간단하게 녹음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를 이용함으로써 핸즈프리장치를 저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보이스 레코더 장착홈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과 연결되는 제 1 오디오 잭;
    상기 보이스 레코더의 라인 잭과 연결되는 제 2 오디오 잭;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마이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스피커;
    통화키 및 녹음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상기 이어폰 잭의 제 1 단자에 상기 마이크로부터 픽업된 음성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부;
    상기 이어폰 잭의 제 2 단자에 휴대폰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스피커에 제공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제 1 오디오잭의 각 단자들과 제 2 오디오잭의 각 단자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수단; 및
    상기 키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오디오 잭의 제 1 단자에 통화제어신호를 공급하고, 녹음모드에서는 스위칭수단을 턴온시켜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에 상기 제 1 오디오 잭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인가되는 음성신호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차량 시가 잭에 연결되는 전원 잭과 전원 잭에 연결되어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KR2019990030724U 1999-12-31 1999-12-31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KR200184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724U KR200184588Y1 (ko) 1999-12-31 1999-12-31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724U KR200184588Y1 (ko) 1999-12-31 1999-12-31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588Y1 true KR200184588Y1 (ko) 2000-06-01

Family

ID=1960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724U KR200184588Y1 (ko) 1999-12-31 1999-12-31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5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549B1 (ko) * 2001-04-12 2004-01-14 김종부 저장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외부 통화장치
KR100420862B1 (ko) * 2001-12-10 2004-03-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거치대 교체가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549B1 (ko) * 2001-04-12 2004-01-14 김종부 저장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외부 통화장치
KR100420862B1 (ko) * 2001-12-10 2004-03-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거치대 교체가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167A (en) Hands-free device for use with a cellular telephone in a car to permit hands-free operation of the cellular telephone
JP2007507135A (ja) 携帯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キット
KR200184588Y1 (ko)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JP3492541B2 (ja) 無線通信機
KR200186674Y1 (ko) 녹음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JPH10136063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CN112995852A (zh) 车载无线耳机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519165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249979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휴대폰 경보장치
KR200215413Y1 (ko) 룸 밀러 내장형 핸드 프리 장치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CN214381358U (zh) 车载无线耳机系统
JPH0823366A (ja) 携帯電話機用音響信号制御装置
KR200261257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176394Y1 (ko) 차량장착 휴대폰용 무선 핸드프리킷
KR20000018088U (ko) 적외선을 사용한 핸드프리장치
KR200253130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19990085349A (ko) 카 오디오 핸드프리 녹음장치
KR2001010497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 오디오의 제어방법 및제어장치
KR100212310B1 (ko) 휴대전화 출력제어 방법
KR970055882A (ko) 휴대폰용 핸드프리키트
KR200186229Y1 (ko) 자동 전환 특징을 구비한 이동 전화용 핸즈 프리 장치
KR20010001345A (ko) 핸드프리유니트
KR2003003036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100371575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녹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