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049Y1 -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049Y1
KR200215049Y1 KR2020000026901U KR20000026901U KR200215049Y1 KR 200215049 Y1 KR200215049 Y1 KR 200215049Y1 KR 2020000026901 U KR2020000026901 U KR 2020000026901U KR 20000026901 U KR20000026901 U KR 20000026901U KR 200215049 Y1 KR200215049 Y1 KR 200215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hin film
tube
conducto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백희
Original Assignee
원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백희 filed Critical 원백희
Priority to KR2020000026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049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연관의 내부와 외부에 도체를 두고 코일에 직류 전원 펄스를 인가하여 충방전시키므로써 이온을 발생시키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관 외부의 도체를 박막으로 형성한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발생된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람이 일단부로 흡입되고 타단부로 배출되는 절연관(120); 상기 절연관(12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직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코일(130); 상기 코일(130)에 인가되는 직류 펄스 전압에의해 충방전되어 상기 절연관(120)의 내부에 이온이 발생되도록 음극 기능을 하기위해 상기 절연관(120)의 외주면에 상기 코일(13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도체 박막(11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박막의 도체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방열기가 필요없어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가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ION GENERATION DEVICE USED DIRTY WATER OR AIR CLEANING}
본 고안은 절연관의 내부와 외부에 도체를 두고 코일에 직류 전원 펄스를 인가하여 충방전시키므로써 이온을 발생시키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관 외부의 도체를 박막으로 형성한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온 발생 장치(특허출원제98-18979호)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직류 전원 펄스가 인가되는 코일(30)을 절연관(20)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코일(30)과 대전되고 방열 기능을 하는 방열 도체(10)를 상기 절연관(20)의 외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관(20)은 절연체이고 코일(20)과 방열 도체(10)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직류 전원 펄스가 코일로 인가되면 코일(20)과 방열 도체(10) 사이에 충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온이 발생하게 되면 불꽃이 발생되어 절연관(20)은 매우 뜨겁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열은 빠르게 방열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방열 도체(1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에 방사선 모양의 방열 날개(11)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열 날개(11)가 형성된 방열 도체(10)는 외부로 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열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관(20)의 외주면에 설치하기 위해서 두개로 나누어 조립해야 하는데 조립시 일일이 고정 피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시간이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체 박막을 사용하여 방열 및 제조가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오수 및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이온 발생 장치의 구조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이온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보호 튜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열 도체 11 : 방열 날개
20, 120 : 절연관 30, 130 : 코일
100 : 보호 튜브 110 : 도체 박막
140 : 보호관 200 : 직류 펄스 공급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발생된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람이 일단부로 흡입되고 타단부로 배출되는 절연관; 상기 절연관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직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직류 펄스 전압에 의해 충방전되어 상기 절연관의 내부에 이온이 발생되도록 음극 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에 상기 코일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도체 박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이온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보호 튜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된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람이 일단부로 흡입되고 타단부로 배출되는 절연관(120), 상기 절연관(12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직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코일(130), 상기 코일(130)에 인가되는 직류 펄스 전압에 의해 충방전되어 상기 절연관(120)의 내부에 이온이 발생되도록 접지 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절연관(120)의 외주면에 상기 코일(13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도체 박막(1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직류 펄스 전압은 15,000V 이상의 직류 전압으로 500Hz 이상의주파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체 박막(110)은 박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수의 박막을 겹으로쌓아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체 박막(110)은 도체인 모든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막, 구리 박막, 금 박막, 또는 은 박막을 하나 또는 다수 겹으로 쌓아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체 박막(11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도체 박막(110)의 외주면에 보호 튜브(100)를 설치한다. 즉, 상기 도체 박막(110)은 얇은 막으로 이루어지므로 쉽게 벗겨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도체 박막(110)의 외주면을 보호 튜브(100)로 감싼다.
또한, 상기 절연관(120)의 양단부 외주면에 보호관(140)을 삽입한다.
즉, 상기 보호관(140)을 도체로 형성하고 코일(140)의 일단부에 연접시켜 직류 펄스 공급부(200)와 보호관(140)을 접속시키므로써 직류 펄스 전압이 코일(130)에 보다 원활히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호관(140)이 상기 도체 박막(110)과 전도되어 원활한 충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보호관(140)은상기 도체 박막(110)와 일정한 거리(d) 이상 떨어져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관(140)을 송풍기와 이온이 필요한 곳에 각각 연결하여 절연관(120)내에 발생된 이온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보다 많은 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절연관(120)을 다단으로설치하고 절연관(120)의 내부로 유입된 대기중의 수분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수직으로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직류 펄스 공급부(200)에서는 500Hz 이상의 주파수로 15,000V이상의 직류 펄스를 코일(13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코일(130)은 도체 박막(110)과 절연관(120)을 사이에 두고 대전되어 있으므로 상기 직류 펄스에 의해 코일(130)과 도체 박막(110) 사이에는 충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코일(130)과 도체 박막(110) 사이의 충방전으로 불꽃이 발생하면서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불꽃으로 인해 절연관(120)은 매우 뜨거워지게 되는데, 도체 박막(110)이 이 열을 빠르게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즉, 도체 박막(110)은 얇은 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절연관(120)으로 부터전달된 열을 쉽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방열핀이나 방열체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가 간단해진다.
이와 같이 절연관(120)의 내부에 발생된 이온은 절연관(12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접된 보호관(140)으로 유입 및 유출되는 바람에 의해 필요한 곳으로 배출된다.
이때 다수의 절연관(120)을 다단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람이 배출되는 보호관(140), 즉 절연관(120)의 다단부에 연접된 보호관(140)을 서로 연결하고 하나의 관을 통해 취합된 이온이 원하는 곳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는 도체 박막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방열기가 필요없어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가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발생된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람이 일단부로 흡입되고 타단부로 배출되는 절연관(120);
    상기 절연관(12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직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코일(130);
    상기 코일(130)에 인가되는 직류 펄스 전압에 의해 충방전되어 상기 절연관(120)의 내부에 이온이 발생되도록 음극 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절연관(120)의 외주면에 상기 코일(13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도체 박막(11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펄스 전압은 15,000V 이상의 직류 전압으로 500Hz 이상의 주파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박막(110)은
    다수의 박막을 겹으로 쌓아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박막(11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도체 박막(110)의 외주면에 보호 튜브(1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관(120)의 양단부 외주면에 보호관(140)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KR2020000026901U 2000-09-25 2000-09-25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KR200215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01U KR200215049Y1 (ko) 2000-09-25 2000-09-25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01U KR200215049Y1 (ko) 2000-09-25 2000-09-25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049Y1 true KR200215049Y1 (ko) 2001-02-15

Family

ID=7308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901U KR200215049Y1 (ko) 2000-09-25 2000-09-25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0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0073B2 (ja) 電気的な機械、有利には整流器−構成ユニットを備えた三相交流発電機
US20160028284A1 (en) Electric machine
JP4121431B2 (ja) アーク放電保護装置
EP3091642B1 (en) End winding support and heat sink for liquid-cooled generator
WO2015050956A1 (en) Electric machine with in slot cooling system
ES2878028T3 (es) Unidad y sistema generadores de ozono
JP2002008738A (ja) 電源ユニット又はバッテリー充電装置
US2022015315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and heat pipe
KR200215049Y1 (ko) 오수 또는 공기 정화용 이온 발생 장치
JP4617913B2 (ja) 電子機器
CN114465445B (zh) 功率模块与功率变换装置
JPH08275355A (ja) バスダクト
JP2006352946A (ja) 車両用回転電機
KR101611571B1 (ko) 모터의 방열구조
RU2202848C2 (ru) Концевая плита
JP2005094999A (ja) 冷却手段を備えた高圧設備の区間
CN109450007B (zh) 一种高效散热的电动车充电器
JPH0822371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219535814U (zh) 一种高压电机组排潮装置
JP2724086B2 (ja) ガス絶縁ブッシング
JP2008278653A (ja) ステータ
JP3333382B2 (ja) アース回路および負イオン発生装置
CN112994316A (zh) 一种双层散热防水电机罩壳
CN116599297A (zh) 定子组件、电机和车辆
JP2010110103A (ja) 防水型サージ抑制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