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697Y1 -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 Google Patents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697Y1
KR200214697Y1 KR2020000024712U KR20000024712U KR200214697Y1 KR 200214697 Y1 KR200214697 Y1 KR 200214697Y1 KR 2020000024712 U KR2020000024712 U KR 2020000024712U KR 20000024712 U KR20000024712 U KR 20000024712U KR 200214697 Y1 KR200214697 Y1 KR 200214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ibration
absorbing
tripo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성
Original Assignee
김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성 filed Critical 김회성
Priority to KR2020000024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의 상하진동 및 좌우진동을 최소화하여 카메라 촬영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카메라용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위치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진동을 흡수하면서 위상차를 가지지 않는 쇽업소버와 손떨림정도의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는 폴리우레탄 그리고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는 실리콘 및 스틸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camera tripod for absorbing vibration}
본 고안은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상하진동 및 좌우진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 촬영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카메라용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는 경우에, 촬영 순간에 사용자에 의해서 카메라가 떨리게 되므로써 피사체에 대한 영상의 초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카메라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뒤에 쵤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삼각대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카메라가 떨리지 않도록 하는 고정기능 이외에도, 사용자가 피사체의 일부가 되어 리모콘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항상 고정된 지면이나 기타 고정물에 지지되어야만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촬영자가 움직이면서 하는 촬영이나 고정되지 않는 흔들리는 장소에서의 촬영은 카메라용 삼각대를 사용하여도 저속 촬영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셔터 스피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흔들리는 장소에서의 촬영을 가능케하는 카메라용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삼각대의 전체 개략 정면도,
도 2는 카메라 받침대 상하이동장치에 대한 상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에서 취한 스틸볼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상하이동장치에 충격이 적용될 때의 B 부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1의 카메라 받침대의 C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카메라 받침대의 카메라 고정용 나사 부근의 평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용 삼각대는, 카메라의 상하진동 및 좌우진동을 최소화하여 카메라 촬영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카메라용 삼각대로서, 카메라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카메라 받침대, 상기 카메라 받침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 상기 상하이동장치를 수납하는 수납부 그리고 고정용 지지대를 가지고 있는 카메라용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받침대는 나사에 의해 상기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는 부위에서 내주면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부, 상기 관통구멍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미세진동흡수재 및 상기 미세진동흡수재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방진고무를 포함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부와 맞추어진 중앙 구멍부가 있는 상하 고정용 지지대를 윗면과 밑면에 고정하여 가지고 있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 그 하부 내에 제1 방진고무 및 미세 진동 흡수재를 삽입 고정하고 있고, 상기 미세 진동 흡수재 밑에 상기 상하 이동 장치의 외경 보다 큰 제2 방진고무를 삽입 고정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된 진동 흡수 장치는 상기 제2 방진고무의 직경과 같은 크기로 되어 상기 제2 방지고무와 면접촉되는 강판을 내부에 가지고 있고, 상기 강판 밑에 배치된 쇽업소버 및 상기 쇽업소버 밑에 배치된 실리콘과 스틸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용 삼각대의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삼각대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카메라 받침대 상하이동장치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에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하이동장치에 충격이 적용될 때의 B 부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1의 C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카메라 받침대의 카메라 고정용 나사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용 삼각대(10)가 카메라(11)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삼각대(10)는 진동흡수용 카메라 받침대(12), 상기 카메라 받침대(12)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13), 상기 상하이동장치(13)를 수납하는 수납부(14), 상기 상하이동장치(13)와 상기 수납부(14) 사이를 연결하는 진동흡수장치(15) 및 고정용 지지대(16)로 대략 구비되어 있다.
도 5에는 진동흡수용 카메라 받침대(1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받침대(12)는 카메라 고정용 나사(41)에 의해 카메라(11)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받침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장치(13)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장치(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받침대(12)는 상기 나사(41)에 의한 상기 카메라(11)와의 결합부분에서 중공부이고 외면이 강판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받침대(12)는 내주면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부(42)를 가지고 있고, 상기 관통구멍부(4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폴리우레탄(43)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43)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방진고무(45)를 가지고 있어서, 카메라의 좌우진동을 흡수한다.
또한, 중앙이 관통된 구멍을 가지고 있는 상하 고정용 지지대(46)는 상기 중앙 관통구멍이 상기 관통구멍부(42)과 맞추어져서 상기 카메라 받침대(12)의 윗면과 밑면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구멍부(42)가 진동흡수용 카메라 받침대(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구멍부(42)와 상하고정용 지지대(46) 사이에는 윤활면이 만들어져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부(42)와 폴리우레탄(43)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좌우진동이 발생하였을 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2에는 상기 상하이동장치(13)에 외접되어 연결된 진동흡수장치(15)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장치(13)의 외경은 상기 진동흡수장치(15)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 상기 상하이동장치(13)가 상기 진동흡수장치(15)내에서 상하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장치(13)내의 하부의 상단에는 제1 방진고무(17)가 삽입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방진고무(17) 밑에는 미세진동 흡수재인 폴리우레탄(18)이 상기 제1 방진고무(17)에서 상기 상하이동장치(13)의 하단끝부 까지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상기 상하이동장치(13)내에 삽입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장치(13)의 하단끝부에는 상기 상하이동장치(13)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진동흡수장치(15)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제2 방진고무(19)가 부착되어 있고, 제2 방지고무(19) 밑에는 상기 제2 방진고무와 같은 직경을 가진 강판(2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강판(20) 밑면에는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킨 후 전환된 열에너지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는 쇽업소버(21)가 장착되어 있어 강한 충격이 흡수된다. 상기 쇽업소버(21)는 외부 실린더(22-1), 내부 실린더(22-2), 리턴 스프링(23), 복수의 오리피스(24), 피스톤 로드(25), 오일(26), 체크 밸브(27), 시일(28) 및 어큐무레이터(2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쇽업소버의 구성과 작용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쇽업소버(21)의 피스톤 로드(25)의 밑면에는 상기 쇽업소버(21)가 순간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점성이 좋은 실리콘(30)이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실리콘(30) 밑에는 복수의 둥근 스틸볼(31)이 상기 진동흡수장치(15)내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두꺼운 강판(33)에 의해 지지되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이에 의해 갑작스러운 충격이 발생시 상기 스틸볼(31)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30)을 파고 들어가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진동흡수장치(15)의 원통형부가 2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고, 체결부재(도시안됨)에 의해 결합해제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고정용 지지대(16)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여, 상하이동장치(13)를 잡고 걸어다니면서 카메라 촬영을 해도 진동을 흡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부가 2개로 분리되는 부분은 필수적으로 상기 두꺼운 강판(33) 아래쪽에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 삼각대를 구성하면, 촬영자가 움직이면서 촬영하거나 고정되지 않는 흔들리는 장소에서 촬영할 경우에, 고정용 지지대(16)를 통한 진동이 상기 진동흡수장치(15)에 전달되지만, 상기 진동흡수장치(15)에 의해 상기 진동중 상하 진동이 흡수되고, 상기 카메라 받침대(12)의 카메라 고정용 나사(41) 부위의 진동흡수 구조에 의해 상기 진동중 좌우진동이 흡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흡수형 카메라 삼각대는 진동흡수장치인 쇽업소버, 미세진동을 흡수하는 폴리우레탄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실리콘과 스틸볼을 조합하여 카메라 삼각대의 가메라 받침 상하이동장치 아래에 설치함으로써 상하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폴리우레탄과 방진공무로 구성된 카메라 받침대를 사용하여 좌우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흔들림이 없은 사진 및 영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카메라의 상하진동 및 좌우진동을 최소화하여 카메라 촬영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카메라용 삼각대로서, 카메라(11)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카메라 받침대(12), 상기 카메라 받침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13), 상기 상하이동장치(13)를 수납하는 수납부(14) 그리고 고정용 지지대(16)를 가지고 있는 카메라용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받침대(12)는 나사(41)에 의해 상기 카메라(11)를 장착하고 있는 부위에서 내주면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부(42), 상기 관통구멍부(4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미세진동흡수재(43) 및 상기 미세진동흡수재(43)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방진고무(45)를 포함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부(42)와 맞추어진 중앙 구멍부가 있는 상하 고정용 지지대(46)를 윗면과 밑면에 고정하여 가지고 있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13)는 그 하부 내에 제1 방진고무(14) 및 미세 진동 흡수재(18)를 삽입 고정하고 있고, 상기 미세 진동 흡수재(18) 밑에 상기 상하 이동 장치(13)의 외경 보다 큰 제2 방진고무(19)를 삽입 고정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13)와 상기 수납부(14) 사이에 배치된 진동 흡수 장치(15)는 상기 제2 방진고무(19)의 직경과 같은 크기로 되어 상기 제2 방지고무(19)와 면접촉되는 강판(20)을 내부에 가지고 있고, 상기 강판(20) 밑에 배치된 쇽업소버(21) 및 상기 쇽업소버(21) 밑에 배치된 실리콘(30)과 스틸볼(3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21)는 외부 실린더(22-1), 내부 실린더(22-2), 리턴 스프링(23), 복수의 오리피스(24), 피스톤 로드(25), 오일(26), 체크 밸브(27), 시일(28) 및 어큐무레이터(29)를 포함하고 있는 멀티 타입 오리피스 쇽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진동흡수재(43, 18)들은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부(42)와 상하고정용 지지대(46) 사이에는 윤활면이 만들어져 있고, 상기 관통구멍부(42)와 미세진동흡수재(43)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볼(31)은 상기 실리콘(30) 밑에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장치(15)의 원통형부가 2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고, 체결부재에 의해 이 2개의 부분이 결합해제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KR2020000024712U 2000-08-31 2000-08-31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KR200214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12U KR200214697Y1 (ko) 2000-08-31 2000-08-31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12U KR200214697Y1 (ko) 2000-08-31 2000-08-31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697Y1 true KR200214697Y1 (ko) 2001-02-15

Family

ID=7305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712U KR200214697Y1 (ko) 2000-08-31 2000-08-31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69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52B1 (ko) 2011-04-18 2012-09-11 마정민 진동 방지용 퀵 클램프 장치
KR200484419Y1 (ko) 2016-03-04 2017-09-05 김윤기 방진 구조를 갖는 카메라
KR101805837B1 (ko) * 2016-03-03 2017-12-07 삼부기술 주식회사 유인항공사진 촬영용 카메라의 초점위치 안정화 지지대
KR101838544B1 (ko) * 2017-10-11 2018-03-14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및 lcd 제조설비의 배기덕트용 응집물 제거장치
KR20220076099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메라용 진동 저감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촬영시의 상하방향 진동 저감 방법
KR102428480B1 (ko) 2022-01-24 2022-08-02 박찬희 카메라 요동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52B1 (ko) 2011-04-18 2012-09-11 마정민 진동 방지용 퀵 클램프 장치
KR101805837B1 (ko) * 2016-03-03 2017-12-07 삼부기술 주식회사 유인항공사진 촬영용 카메라의 초점위치 안정화 지지대
KR200484419Y1 (ko) 2016-03-04 2017-09-05 김윤기 방진 구조를 갖는 카메라
KR101838544B1 (ko) * 2017-10-11 2018-03-14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및 lcd 제조설비의 배기덕트용 응집물 제거장치
KR20220076099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메라용 진동 저감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촬영시의 상하방향 진동 저감 방법
KR102481435B1 (ko) * 2020-11-30 2022-12-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메라용 진동 저감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촬영시의 상하방향 진동 저감 방법
KR102428480B1 (ko) 2022-01-24 2022-08-02 박찬희 카메라 요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0740B (zh) 一种云台相机和无人机
US6663298B2 (en) Hand held counter balance and shock absorber camera mount
KR200214697Y1 (ko) 진동흡수가 가능한 카메라 삼각대
US20040074720A1 (en) Motion stabilized mounts
US10564527B2 (en) Device and system for maintaining a level horizon of a supported camera
JP4571891B2 (ja) 防振装置
JP5706738B2 (ja) カメラユニット用揺れ防止機構
CN107707803B (zh) 拍摄组件及具有此拍摄组件的无人飞行器
JP2006020261A (ja) 撮影機器減揺装置
KR20160037389A (ko) 지진계와 서스펜션 원리를 이용한 액션 카메라 진동감쇠 마운트
KR20010104148A (ko)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US8568042B1 (en) Camera support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102480511B1 (ko) 카메라 모듈
CN211875020U (zh) 主动式竖向定位设备及具有其的稳定器
CN113504814A (zh) 一种工控机的防震外壳装置及使用方法
CN215622418U (zh) 一种摩托车手机缓冲支架
CN113323988B (zh) 主动式竖向定位设备及具有其的稳定器
CN220067570U (zh) 一种摄像设备
KR200340979Y1 (ko) 무선 영상 촬영장치의 방진구조
KR20190128836A (ko) 전방위 촬영용 액션 캠 및 캠 거치구조
CN216086802U (zh) 一种防震式摄像头安装装置
CN211086881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相机结构
CN104696422B (zh) 一种缓冲型减振器
CN212156553U (zh) 一种摄影摄像用防抖动设备
CN108683834A (zh) 一种球形摄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