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021Y1 - 살균·탈취 소독기 - Google Patents

살균·탈취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021Y1
KR200213021Y1 KR2019980025379U KR19980025379U KR200213021Y1 KR 200213021 Y1 KR200213021 Y1 KR 200213021Y1 KR 2019980025379 U KR2019980025379 U KR 2019980025379U KR 19980025379 U KR19980025379 U KR 19980025379U KR 200213021 Y1 KR200213021 Y1 KR 200213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ime
unit
time setting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861U (ko
Inventor
장금식
Original Assignee
장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금식 filed Critical 장금식
Priority to KR2019980025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0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021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외선과 오존의 살균력 및 탈취 효과를 이용하여 칫솔 소독기 또는 냉장고나 자동차실내 그리고 가축 우리 등 악취가 심한 장소에 일정시간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류 전원 220V와; 사용자의 칫솔보관함 사용여부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 후 온 상태를 유지하는 제 1시간설정부와; 상기 제 1시간설정부로부터 인가되는 시간동안 온·오프 듀티 시간을 조절하는 제 2시간설정부와; 상기 제 2시간설정부에 의해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어 전원 공급 주기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인가 상태에 따라 점등상태가 가변되는 자외선 및 오존 램프와;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상태에 따라 모터구동 상태가 가변되는 자동 칫솔부와; 상기 자동 칫솔부에 일정량의 전기를 충전하는 자동 칫솔 충전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살균·탈취 소독기
본 고안은 살균·탈취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램프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하여 자동 칫솔 보관함이나 악취가 심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살균·탈취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살균·탈취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및 오존은 살균 기능과 탈취 기능이 있지만 반면에 자외선의 강한 화학작용과 오존 특유의 강한 냄새로 인체에 다량 접촉하면 유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외선과 오존의 발생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최소한의 필요한 양으로 조절해 주므로써 인체와의 접촉 시간을 최소한으로 적게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일상에 도움이 되도록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살균·탈취 장치가 없고 다른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자외선 램프의 관전압이 200V이므로 전원전압이 교류 220V일 경우에는 전류 안정용 저항만으로도 점등이 되지만 교류 110V 전원이나 직류 6∼24V일 경우에는 전압을 승압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살균력과 탈취력이 있는 자외선 및 오존이 발생하는 램프를 이용하여 살균소독 및 탈취 기능이 부가된 살균 기능을 겸한 자동칫솔소독기 또는 전기 살균 및 탈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교류 220V에서의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칫솔 보관함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전원이 교류 110V 일 경우를 변형한 형태의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칫솔 보관함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악취가 심한 특정 장소에서의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전원이 직류 6∼24V 일 경우를 변형한 형태의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제 3실시예에 의한 교류 220V에서의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무선 방전 장치에 관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전원이 직류 6∼24V 일 경우를 변형한 형태의 자외선 및 오존을 발생하는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블록도,
도 7은 도 1의 블록도를 상세하게 나타낸 교류 220V에서의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칫솔 보관함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회로도,
도 8은 도 2의 블록도를 상세하게 나타낸 교류 110V 일 경우를 변형한 형태의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칫솔 보관함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회로도,
도 9는 도 4의 블록도를 상세하게 나타낸 DC 6∼24V 에서의 자외선 및 오존램프를 이용한 살균·탈취 소독기에 대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 1시간설정부 12 : 제 2시간설정부
13 : 출력부 14 : 자외선 및 오존 램프
15 : 자동 칫솔 충전부 16 : 자동 칫솔부
SW11, SW12 : 스위치 G11,G12,G13,G14 : 낸드게이트
Q11 : 트랜지스터 CdS : 광감지센서(황화카드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간제어회로를 구비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자외선 및 오존이 발생하도록 시간을 설정하고, 저전력 장치엔 고전압 승압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관전압 이상으로 만들어주고, 무선방전시 고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전압 배전압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살균 및 탈취 소독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 및 도 7을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원 220V와, 사용자의 칫솔보관함 사용여부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치(SW11)와, 상기 스위치(SW11)의 온·오프(On·Off)상태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 후 온 상태를 유지하는 제 1시간설정부(11)와, 상기 제 1시간설정부(11)로부터 인가되는 시간동안 온·오프 듀티(Duty) 시간을 조절하는 제 2시간설정부(12)와, 상기 제 2시간설정부(12)에 의해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어 전원 공급 주기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13)와, 상기 출력부(1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인가 상태에 따라 점등상태가 가변되는 자외선 및 오존 램프(14)와,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상태에 따라 모터구동 상태가 가변되는 자동 칫솔부(16)와, 상기 자동 칫솔부(16)에 일정량의 전기를 충전하는 자동 칫솔 충전부(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기 위해 칫솔보관함의 뚜껑을 열어 칫솔을 꺼내고자 할 경우, 칫솔보관함의 뚜껑이 열리면서 스위치(SW11)가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되므로 낸드게이트(G11)의 입력은 하이(High)상태가 되고 출력은 로우(Low)상태가 된다.
낸드게이트(G11)의 출력이 로우이므로 낸드게이트(G12)의 입력단자와 낸드게이트(G13)의 입력단자에 로우가 인가되어 출력이 하이가 되고, 따라서 낸드게이트(G14)의 입력은 하이이므로 출력이 로우가 된다.
상기 낸드게이트(G14)의 출력이 로우이므로 출력부(12)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로우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Turn Off) 상태가 되며, 따라서 출력부(12)는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외선 및 오존 램프(13)는 점등되지 않아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후 칫솔 사용이 끝나게 되어 칫솔보관함 뚜껑을 닫으면 스위치(SW11)가 온되어 낸드게이트(G11)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제 1 시간설정부(10)의 동작이 개시되면 설정된 시간 만큼 제 2 시간 설정부에 의해 온·오프를 반복한다. 이때 듀티 주기를 바꾸면 전체적인 평균 출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전원이 교류 110V 일 경우를 고려하여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시간설정부(22)에 의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고주파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23)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23)로부터 인가되는 발진신호에 따라 전압을 일정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24)를 추가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교류 110V에서의 자외선 및 오존 램프(13)를 구동하는 방식은 도 1의 장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도 3을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교류 전원 220V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감지센서(CdS)와, 상기 광감지센서(CdS)가 동작하는 시점부터 일정시간 구동을 지연시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 1시간지연부(31)와, 상기 제 1시간지연부(31)로부터 지연된 시간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 1시간설정부(32)와, 상기 제 1시간설정부(32)로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온·오프 듀티 시간을 조절하는 제 2시간설정부(33)와, 상기 제 2시간설정부(33)에 의해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어 전원 공급 주기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34)와, 상기 출력부(34)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인가상태에 따라 점등상태가 가변되는 자외선 및 오존 램프(35)와,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용 팬(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감지센서(CdS)는 황화카드뮴을 사용하는데, 황화카드뮴이 빛을 받으면 저항값이 작아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일몰시 빛이 사라질 때 저항값이 커지게 되어 본 회로의 동작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일몰후 제 1시간지연부(31)에 설정된 시정수만큼 시간이 지연된 후 제 1 시간설정부(32)에 설정된 시간만큼 제 2 시간설정부(33)의 온·오프 듀티 주기에 따라 전원 인가 상태가 가변되어 사람이 활동하는 낮동안에는 자동으로 오존 발생을 정지하고, 오존 발생이 이루어지는 시간에도 그 발생량을 줄여 인체에 해가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원이 직류 6∼24V 일 경우를 고려하여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시간설정부(43)에 의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고주파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44)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44)로부터 인가되는 발진신호에 따라 전압을 일정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45)를 추가로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도 5를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원 220V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감지센서(CdS)와, 상기 광감지센서(CdS)가 동작하는 시점부터 일정시간 구동을 지연시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 1시간지연부(51)와, 상기 제 1시간지연부(51)로부터 지연된 시간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 1시간설정부(52)와, 상기 제 1시간설정부(52)로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온·오프 듀티 시간을 조절하는 제 2시간설정부(53)와, 상기 제 2시간설정부(53)에 의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고주파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54)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54)로부터 인가되는 발진신호에 따라 전압을 일정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55)와, 상기 고주파 출력부(55)에서 승압된 12,000V∼15,000V를 고전압 무선방전을 위해 또 다시 승압하는 8배 전압 승압부(56)와, 상기 8배 전압 승압부(56)에 의해 승압된 후 오존을 발생시키는 무선 방전부(57)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고전압에 의한 무선방전을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로 고주파 발진부(54)에 의해 발진하고 고주파 출력부(55)에 의해 출력된 12,000V∼15,000V 가량의 전압을 8배 전압 승압부(56)에서 승압하여 고전압의 무선방전을 하므로써 오존을 발생시킨다.무선방전
또한 입력 전원이 직류 6∼24V 일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출력부(65)로부터 출력된 1,500V∼2,000V 가량의 전압을 6배 승압하여 고전압의 무선방전을 수행하기 위해 6배 전압 승압부(66)로 구성하였다.
또한 입력 전원이 직류 6∼24V 일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출력부(65)로부터 출력된 1,500V∼2,000V 가량의 전압을 6배 승압하여 고전압의 무선방전을 수행하기 위해 6배 전압 승압부(66)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설명된 각각의 구조 외에 본 고안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살균·탈취기에 필요한 여러 가지 다른 기능의 수단이 부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부가 변경된 기술수단은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살균·탈취 소독기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외선 및 오존의 살균·탈취력을 이용하여 칫솔 소독기에 적용하므로써 저렴하면서도 간단하게 칫솔을 소독할 수 있고, 악취가 심한 장소내에서도 강한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살균·탈취 제조 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교류 전원 220V와; 사용자의 칫솔보관함 사용여부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치(SW11)와; 상기 스위치(SW11)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 후 온 상태를 유지하는 제 1시간설정부(11)와; 상기 제 1시간설정부(11)로부터 인가되는 시간동안 온·오프 듀티 시간을 조절하는 제 2시간설정부(12)와; 상기 제 2시간설정부(12)에 의해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어 전원 공급 주기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13)와; 상기 출력부(1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인가 상태에 따라 점등상태가 가변되는 자외선 및 오존 램프(14)와;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상태에 따라 모터구동 상태가 가변되는 자동 칫솔부(16)와; 상기 자동 칫솔부(16)에 일정량의 전기를 충전하는 자동 칫솔 충전부(15)로 구성되어 자외선 및 오존 램프 점등시 칫솔보관함을 살균·탈취하도록 구성된 살균·탈취 소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전원이 교류 110V일 경우 제 2 시간설정부(22)에 의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고주파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23)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23)로부터 인가되는 발진신호에 따라 전압을 일정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24)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탈취 소독기.
  3. 교류 전원 220V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감지센서(CdS)와; 상기 광감지센서(CdS)가 동작하는 시점부터 일정시간 구동을 지연시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 1시간지연부(31)와; 상기 제 1시간지연부(31)로부터 지연된 시간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 1시간설정부(32)와; 상기 제 1시간설정부(32)로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온·오프 듀티 시간을 조절하는 제 2시간설정부(33)와; 상기 제 2시간설정부(33)에 의해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어 전원 공급 주기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34)와; 상기 출력부(34)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인가상태에 따라 점등상태가 가변되는 자외선 및 오존 램프(35)와;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용 팬(36)으로 구성되는 살균·탈취 소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입력전원이 직류 6∼24V일 경우 제 2시간설정부(43)에 의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고주파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44)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44)로부터 인가되는 발진신호에 따라 전압을 일정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45)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탈취 소독기.
KR2019980025379U 1998-12-17 1998-12-17 살균·탈취 소독기 KR200213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79U KR200213021Y1 (ko) 1998-12-17 1998-12-17 살균·탈취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79U KR200213021Y1 (ko) 1998-12-17 1998-12-17 살균·탈취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61U KR19990011861U (ko) 1999-03-25
KR200213021Y1 true KR200213021Y1 (ko) 2001-04-02

Family

ID=6950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79U KR200213021Y1 (ko) 1998-12-17 1998-12-17 살균·탈취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0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68A (ko) * 2001-02-15 2002-08-22 주식회사 이림테크 오존 발생장치를 사용한 칫솔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417B1 (ko) * 2000-09-06 2006-07-12 양원동 의료기구 살균세정장치
KR20040017068A (ko) * 2002-08-20 2004-02-26 김정선 전동칫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68A (ko) * 2001-02-15 2002-08-22 주식회사 이림테크 오존 발생장치를 사용한 칫솔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61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13285A (ja) 冷蔵庫用殺菌及び脱臭装置
KR200213021Y1 (ko) 살균·탈취 소독기
KR100822082B1 (ko) 유도기전력 전원 공급 방식의 살균탈취기가 부착된 변기커버
KR20030089523A (ko) 신발 살균 건조장치
KR19990007160U (ko) 변기의 탈취 및 살균장치
JP2007098014A (ja) オゾン消臭殺菌装置
JPH1156980A (ja) コードレス式履物脱臭殺菌装置
JPH0632112Y2 (ja) 脱臭器
KR200233892Y1 (ko)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JP3343655B2 (ja) オゾン脱臭・殺菌装置
KR200169751Y1 (ko) 냉음극 방전관의 점등회로 및 전기식 탈취기
JP7001653B2 (ja) 殺菌脱臭装置およびゴミ箱
KR200429114Y1 (ko) 유도기전력 전원 공급 방식을 이용한 살균탈취기
JP2003038618A (ja) 携帯式履物消臭装置
KR950000523Y1 (ko) 자외선 살균 신발 건조기
JPH07250882A (ja) 携帯用歯ブラシ滅菌装置
JP2009285228A (ja) 殺菌消臭機
JP2024021320A (ja) 照明器具
KR930000708Y1 (ko) 냄새 없는 신발장
KR200293470Y1 (ko) 김치냉장고의 자외선 및 오존을 이용한 탈취 및 살균 장치
KR960005448Y1 (ko) 신발 건조기
CN106310339A (zh) 一种红外感应消毒装置
JPH02121671A (ja) 冷蔵庫の脱臭制御装置
KR20000015576U (ko) 냉장고용 탈취기
JP200353297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