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892Y1 -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892Y1
KR200233892Y1 KR2020000034175U KR20000034175U KR200233892Y1 KR 200233892 Y1 KR200233892 Y1 KR 200233892Y1 KR 2020000034175 U KR2020000034175 U KR 2020000034175U KR 20000034175 U KR20000034175 U KR 20000034175U KR 200233892 Y1 KR200233892 Y1 KR 200233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ransistor
drying
sterilizer
ultraviol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무
Original Assignee
윤한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한무 filed Critical 윤한무
Priority to KR2020000034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892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칫솔을 살균, 건조, 소독하는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적은 소비전력으로 소음이 전혀없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채용하여 칫솔을 원활히 건조시키기 위한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칫솔 살균기에 건조장치가 구비되어 있었으나 모터-팬 방식을 적용하거나 별도의 히터장치를 채용한 것이어서 소음이 심하고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여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칫솔 살균기의 자외선 램프, 음이온 발생기를 구동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단에 두개의 다이오드를 접속하고, 다이오드의 애노드단에 발열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연결하되, 발열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에 저항을 연결하며, 발열용 트랜지스터를 반사판의 후위에 연결하여 자외선 램프 또는 음이온 발생기의 구동시 자연스럽게 트랜지스터로부터 열이 발생되게 하고, 그 열이 반사판으로 전도되게 하여 칫솔을 건조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이와 같이 하면 부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하고,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기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of toothbrush disinfector}
본 고안은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을 다수개 거치시켜 살균함은 물론 건조, 소독하는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적은 소비전력으로 소음이 전혀없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발열장치를 채용하여 칫솔을 원활히 건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칫솔 살균기는 사용한 칫솔에 잔존하고 있는 세균을 살균 및 소독처리함으로써 칫솔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살균을 위해 자외선 램프를 채용하여 이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을 수행하거나, 음이온 발생장치를 채용하여 살균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칫솔 살균기는 칫솔에 남아 있는 물기에 잔존한 세균을 살균시키고 칫솔을 소독처리하는 데는 매우 유용하나, 칫솔을 건조시키는 구성이 없어 칫솔사용 시 잔존한 물기에 의해 사용자가 매우 큰 불쾌감을 느끼고 있는 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살균기 케이스내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팬을 구비하여 공기를 칫솔 살균기 내부로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건조를 수행하거나, 별도의 히터장치를 내장하여 칫솔을 건조시키는 장치들이 수종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칫솔 건조를 위해 모터-팬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증가되고, 모터 및 팬을 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였음은 물론 사용시 모터 및 팬의 회전에 따른 진동으로 인하여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히터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히터 설치를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여 기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히터 발열을 위한 전력소모가 지대함은 물론 히터 설치공정이 추가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히터 망손 시 교체에 드는 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외선을 발생시켜 칫솔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와, 고압 방전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칫솔을 소독함과 동시에 공기를 정화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동시에 구비하되 자외선 램프 점등 및 음이온 고압 발생을 위한 구동장치에 발열 트랜지스터를 연결하고 이로부터 발생된 열을 반사판에 전도하여 케이스 내부의 칫솔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 하나로 칫솔을 일괄적으로 살균, 소독, 건조할 수 있게 하면서 발열에 필요한 소비전력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도어 3 : 자외선 램프
4 : 반사판 5 : 칫솔 현가대 6 : 음이온 발생기
7 : 발열용 트랜지스터 8 : 발열필름 9a,9b : 전극
11 : 도어 스위치 12 : 기준신호 발생기 13 : 마이크로 프로세서
14 : 램프점등회로 18 : 저항 19,20 : 다이오드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배면도로서, 칫솔 살균기 케이스(1)의 전면에 유설되어 개폐되는 도어(2)와, 케이스(1)내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3)와, 자외선 램프(3)의 후면에 설치되어 자외선 램프(3)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전면방향으로 반사해주는 반사판(4)과, 자외선 램프(3)의 외주에 칫솔(TB)을 걸 수 있게 설치되는 칫솔 현가대(5)와, 케이스(1) 상방에 설치되어 고압 방전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6)와, 반사판(4)의 후위에 스크류로 연결되고 자외선 램프(3) 및 음이온 발생기(6)를 구동하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발열하는 발열용 트랜지스터(7)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칫솔 살균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스위치(11)와 기준신호 발생기(12)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13)가 연결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출력단에는 램프점등회로(14) 및 음이온 발생기(6)가 접속되며, 램프점등회로(14)에는 자외선 램프(3)가 연결된다. 또한, 발열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출력단에 두 개의 다이오드(19)(20)가 접속되고, 다이오드(19)의 애노드단에는 발열 트랜지스터(7)의 베이스가 연결되며, 발열용 트랜지스터(7)의 에미터측에는 저항(18)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발광다이오드(LED1)(LED2)는 전원 및 음이온 작동 표시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칫솔 살균기는 도어(2)를 닫은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외선 램프(3) 및 음이온 발생기(6)가 순차 작동되어 케이스(1) 내부 현가대(5)에 현가되어 있는 칫솔(TB)을 살균 및 소독 처리하게 되며, 칫솔(TB)을 사용하거나 사용 후 케이스(1)내부에 넣기 위해 도어(2)를 열게되면 모든 동작이 중지되고 전기적으로는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프로그램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은 자외선을 발생시켜 살균하고, 이후 음이온을 발생시켜 일정시간 소독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음이온 발생기(6)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고, 세라믹 방전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칫솔(TB)의 살균 및 소독과 함께 칫솔(TB)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하게 되며, 이는 발열용 트랜지스터(7)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제어신호가 일정전압(예 :12V) 일 때 발열용 트랜지스터(7)가 동작되어 발열되게 하며(트랜지스터의 동작 시 발광 다이오드(LED3)가 점등), 트랜지스터(7)의 에미터 측 저항(18)을 2.2㏀으로 할 때 다이오드(19)(20)에 일정전압(예 : 0.7X2 = 1.4V)이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1,4V는 트랜지스터(7)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예: 0.7V)을 뺀 0.7V가 저항(18)에 걸리게 되고, 옴의 법칙(I=V/R)에서 저항(18)에 흐르는 전류는 0.32A가 되며, 이는 트랜지스터(7)의 전류와 같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7)에는 일정전압(예 : 12V - 0.7V = 11.3V)과 일정전류(0.32A)가 흘러 이들에 의한 열(예 : 11.3V X 0.32V : 3.6W)이 발생하게 되며, 이 열이 그와 연결되어 있는 반사판(4)에 전도되어 현가대(5)에 걸린 칫솔(TB)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저항(18)의 크기를 변경하면 발열용 트랜지스터(7)의 콜렉터 전류가 변경되므로 트랜지스터(7)의 발열량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사판(4)의 온도 역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를 구동할 때 트랜지스터로부터 열이 발생되는 원리와 동일한 것으로,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에서는 트랜지스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히트싱크 등의 방열장치를 통해 방열시키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폐열을 이용하여 발열장치로 활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외선 램프(3) 및 음이온 발생기(6)를 통한 살균 및 소독(정화)기능과 함께 발열용 트랜지스터(7)를 통한 건조기능을 마이크로 프로세스(13)의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 반복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어 안전하고,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며, 발열장치의 부피가 거의 없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최초 10분간 살균, 10분 후 1시간 건조, 1시간 건조 후 20분간 소독을 반복 수행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칫솔(TB)의 살균 및 건조를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발열용 트랜지스터(7) 대신 전기 전도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발열필름(8)을 반사판(4)의 후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피복하고, 발열필름(8)의 각 단부에는 (+)(-)의 단자전극(9a)(9b)을 각각 연결하여 각 전극(9a)(9b)에 전원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필름(8)이 저항체 역할을 하여 발열되고, 이러한 열이 반사판(4)으로 전도되어 칫솔(TB)을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본 고안의 트랜지스터(7)에 의한 발열장치와 동등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으면서도 그 부피가 거의 없는 발열 트랜지스터 또는 발열필름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을 통해 현가대에 걸린 칫솔을 건조시키게 하는 것이므로 부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살균기의 생산성을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하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기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1)내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3), 상기 자외선 램프(3)의 후면에 설치되어 빛을 전면방향으로 반사해주는 반사판(4), 상기 자외선 램프(3)의 외주에 칫솔(TB)을 걸 수 있게 설치되는 칫솔 현가대(5), 상기 케이스(1) 상방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6)를 포함하여서 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스(1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자외선 램프(3)와 상기 음이온 발생기(6)를 구동하는 칫솔의 살균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출력단에 두 개의 다이오드(19)(20)를 접속하고, 상기 다이오드(19)의 애노드단에 발열용 트랜지스터(7)의 베이스를 연결하되, 상기 발열용 트랜지스터(7)의 에미터측에 저항(18)을 연결하며, 상기 발열용 트랜지스터(7)를 상기 반사판(4)의 후면 상부에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4)의 후면에 전기 전도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발열필름(8)을 지그재그형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게 피복하고, 상기 발열필름(8)의 각 단부에는 (+)(-)의 단자전극(9a)(9b)을 각각 형성하여 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KR2020000034175U 2000-12-06 2000-12-06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KR200233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75U KR200233892Y1 (ko) 2000-12-06 2000-12-06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75U KR200233892Y1 (ko) 2000-12-06 2000-12-06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892Y1 true KR200233892Y1 (ko) 2001-09-25

Family

ID=7309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175U KR200233892Y1 (ko) 2000-12-06 2000-12-06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8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641B1 (ko) * 2001-12-14 2004-11-10 이승우 사우나 장치의 적외선 발생유닛
KR101553349B1 (ko) 2014-03-31 2015-09-15 정우석 여성용 성 보조기구 살균 및 건조 장치
KR20190004037A (ko) * 2017-07-03 2019-01-11 김영선 무드등을 겸한 빗 살균 소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641B1 (ko) * 2001-12-14 2004-11-10 이승우 사우나 장치의 적외선 발생유닛
KR101553349B1 (ko) 2014-03-31 2015-09-15 정우석 여성용 성 보조기구 살균 및 건조 장치
KR20190004037A (ko) * 2017-07-03 2019-01-11 김영선 무드등을 겸한 빗 살균 소독기
KR101944184B1 (ko) * 2017-07-03 2019-01-30 김영선 무드등을 겸한 빗 살균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4104B1 (en) LED lighting device for sterilizing surface or space
US20080060829A1 (en) Toothbrush sanitization system
KR200233892Y1 (ko) 칫솔 살균기의 건조장치
KR100524655B1 (ko) 자외선 발생 모듈을 이용한 칫솔 살균 장치 및 방법
KR20090075363A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갖는 면도기거치대
JP2004159723A (ja) 靴殺菌脱臭具
KR19990030943U (ko) 가습기의 살균장치
AU2018325298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N213429407U (zh) 一种带有杀菌功能的浴室镜
CN212769963U (zh) 利用水龙头开关水流发电紫外线led对出水杀菌消毒器
KR20180035019A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칫솔걸이
KR100611934B1 (ko) U형 냉음극형 자외선램프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살균장치
CN218280150U (zh) 一种用于消毒柜的消毒装置及消毒柜
KR20070064875A (ko) 휴대용 칫솔 케이스 및 그 성형을 위한 금형
KR200301397Y1 (ko) 전동칫솔 충전기 겸용 칫솔 살균장치
KR20140112163A (ko) 짧은 시간에 여러 병원성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led 살균 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166394Y1 (ko) 오존 살균등
CN212752677U (zh) 用于杀菌装置的控制电路
CN216522222U (zh) 一种空调消毒杀菌装置
KR200371154Y1 (ko) 휴대폰 살균기 겸용 칫솔 살균장치
KR940003528A (ko) 자외선 발생 장치를 가진 식기세척기
KR200328418Y1 (ko) 마이크 살균소독기
CN217391206U (zh) 一种固定波长led紫外线灭菌杀毒装置
RU212357U1 (ru) Облучатель-рециркулятор воздуха бактерицидный
CN212466673U (zh) 一种智能紫外线杀菌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