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553Y1 - 수로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로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553Y1
KR200212553Y1 KR2020000024489U KR20000024489U KR200212553Y1 KR 200212553 Y1 KR200212553 Y1 KR 200212553Y1 KR 2020000024489 U KR2020000024489 U KR 2020000024489U KR 20000024489 U KR20000024489 U KR 20000024489U KR 200212553 Y1 KR200212553 Y1 KR 200212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hannel
fixed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진
Original Assignee
황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진 filed Critical 황현진
Priority to KR2020000024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553Y1/ko

Links

Landscapes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수로에 논바닥에 고인 물의 수위에 의해 개폐판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폐장치는 논의 입수로에 매설되어 농수로의 물을 논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수로가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로에 설치되어 물의 차단 및 입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축봉에 의해 축설하되, 축봉의 일측에는 작동휠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무게추를 고정한 개폐판과; 논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작동거리를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에 수위량에 따라 작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부가 설치된 부구가이드와; 상기 부구가이드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상, 하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부구와; 개폐판의 일측에 고정된 휠에 와인딩되어 고정되고, 부구의 하측단과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작동휠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가동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이다.

Description

수로개폐장치{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anal}
본 고안은 각 논으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에 설치되어 논의 수위여부에 따라 물을 적당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수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구체적으로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수로에 논바닥에 고인 물의 수위에 의해 개폐판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의 논에는 논에 모를 이앙한 후 적당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입수로를 형성하고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모의 성장에 따라 적당한 수위를 맞추에 말라고사 하거나 침수되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였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논에는 일정크기로 농지 정리된 논의 상부에 논뚝을 관통하는 상태로 수관을 묻어 입수로를 형성시키고 수관의 입구에 비닐 또는 짚등을 뭉친 마개를 막거나 배낸 상태를 반복하면서 물의 유입 및 차단을 하여 논바닥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논의 하부에는 배수로를 형성하되 모의 크기에 따라 배수로에 적당한 두둑을 흙으로 막아 수위를 조절토록 하였는바, 이와 같은 논의 수위조절은 농민이 수시로 논에 나가 논바닥의 수위를 눈대중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입수로의 수관을 막아 놓은 비닐뭉치등을 막았다 뺏다하는 과정을 인위적으로 하여 조절함에 따라 적정한 수위의 조절이 불가능하였을 뿐 아니라 농민이 물고를 뜬상태에서 바빠서 장기간 열어 놓았을 시에는 불필요한 물이 논으로 유입되어 배수로로 계속 흘려버리도록 하였기 때문에 경제적손실은 물론, 논에 투입된 영양분이 배수로를 통하여 그대로 방류되어 소실됨에 따라 어린묘나 성장된 벼에 영양분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풍작을 기대하기가 어려워 벼의 생육상태에 따라 자주 비료등을 시비하여야 하는 번거러움 및 비료비가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상류에서 물 조절없이 계속적으로 유입시켜 방류하게 되면 하류의 논에는 물의 부족으로 물을 대지 못하여 모내기를 제철에 하지 못하게 되어 수확량이 감소하게 됨은 물론 모내기를 마친 어린묘에 물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말라 고사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 결점 및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주된 목적으론 농수로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농지 정리된 각 논의 입수로에 설치하여 논바닥의 수위 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모의 크기와 어느정도 자란 벼가 필요로하는 적정한 논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로로 물을 방류치 못하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론 논바닥의 물을 항상 적정한 수위를 유지함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막아 하류의 논 물대기를 제시기에 수시로 공급하여 수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로를 넘지 않는 상태로 적정하게 보충만 할 수 있도록 하여 논에 뿌려진 영양분의 유실됨을 방지함에 따라 생육의 촉진시켜 수확량을 증진 시킬 수 있도록 한 수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a, 3b, 3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본체 2 : 부구가이드
3 : 개폐판 4 : 수로
5 : 축봉 6 : 작동휠
7 : 무게추 8 : 부구
9 : 고리 10 : 조절부
11 : 장공 12 : 걸림홈
13 : 작동바 14 : 가이드로울러
15 : 가동와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개폐장치는 논의 입수로에 매설되어 농수로의 물을 논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수로가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로에 설치되어 물의 차단 및 입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축봉에 의해 축설하되, 축봉의 일측에는 작동휠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무게추를 고정한 개폐판과; 논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작동거리를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에 수위량에 따라 작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부가 설치된 부구가이드와; 상기 부구가이드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상, 하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부구와; 개폐판의 일측에 고정된 휠에 와인딩되어 고정되고, 부구의 하측단과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작동휠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가동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거,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같이 본 고안의 수로 개폐장치는 논뚝의 입수로에 설치되는 본체(1)와, 논바닥에 매립설치되는 부구가이드(2)로 구성된다.
상기 논뚝의 입수로에 설치되는 본체(1)는 중앙에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 수로(3)를 형성하고, 이 수로(3)의 중앙에는 축봉(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개폐판(4)을 축설하되, 상기 개폐판(4)을 축설하는 축봉(5)의 일측에는 작동휠(6)을 고정설치하고, 축봉(5)의 타측에는 개폐판(4)을 닫을 때 중량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무게추(7)를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논바닥에 매립 설치되는 부구가이드(2)는 원통 또는 다각형으로 되게 형성하되, 부구가이드(2)의 상측은 이송거리를 길게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부구가이드(2)의 내측에는 수위에 의해 상하측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측에 고리(9)가 일체로된 부구(8)를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하며, 상기 부구가이드(2)의 일측에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개폐판(4)의 작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절부(10)를 설치하여 형성한다.
상기 조절부(10)의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11)을 형성하되, 일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걸림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11)에는 가이드로울러(14)가 축설된 작동바(13)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축봉(5) 일측에 고정된 작동휠(6)과 부구가이드(2)의 내부에 삽입된 부구(8) 하부의 고리(9)에는 부구(8)의 상하작동 여부에 따라 개폐판(4)을 회동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가동와이어(15)를 연결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로 개폐장치는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수로(3)의 중앙에 개폐판(4)을 축봉(5)에 의해 축설하되 상기 축봉(5)의 일측에는 작동휠(6)을 고정하고, 타측에는 무게추(7)를 고정한 본체(1)를 논으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로에 매립 설치하고, 내부에 부구(8)가 삽입된 부구가이드(2)는 논바닥의 적당한 위치에 매립되게 설치한 다음 상기 개폐판(4) 일측에 고정된 작동휠(6)과 부구(8)의 하부에 일체로 된 고리(9)를 가동와이어(15)로 연결 설치되, 상기 가동와이어(15)는 논바닥의 수위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절부(10)의 가이드로울러(14)에 가이드 되는 상태로 연결설치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논의 물을 만수위로 유지시킬 때 논의 물이 부족할 시에는 부구(8)가 부구가이드(2)를 따라 내려오면, 부구(8)의 고리(9)에 연결된 가동와이어(15)가 느슨해지면서 도 3a에서와 같이 본체(1) 내부에 축봉(5)에 의해 축설된 개폐판(4)이 축봉(5)의 타측에 고정된 무게추(7)의 중량에 의해 개폐판(4)을 부구(8)가 내려온 많큼 열리게 되어 농수로의 물을 수로(3)를 통하여 입수할 수 있게되는 것이고, 입수되는 물이 논에 차올라 오게 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부구가이드(2)의 내측으로 물이 차올라 부구(8)가 상승하여 가동와이어(15)를 당기게 되므로 작동휠(6)이 회전됨과 동시에 개폐판(4)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로(3)를 부구(8)가 올라간 많큼 서서히 차단하는 것이며, 물의 입수가 만수위일 때에는 도 3c에서와 같이 부구가이드(2)의 내측에서 부구(8)가 상승되면서 가동와이어(15)가 당겨지면서 작동휠(6)을 화살표방향으로 감아 개폐판(4)이 회전되어 수로(3)를 차단하여 물의 공급을 차단하므로 물의 낭비됨을 막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어린모에서 부터 크게자란 벼까지의 물수위가 각각다른 수위를 유지할 시에는 조절부(10)의 작동바(13)를 승,하강시킨 상태에서 작동바(13)를 장공(11)의 일면에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12)에 고정하고 작동바(13)에 축설된 가이드로울러(14)에 가이드된 상태로 가동와이어(15) 가이드되게 하여 수위를 자유롭게 조절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설명한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로 개폐장치는 농수로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농지정리된 각 논의 입수로에 설치하여 논바닥의 수위 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물을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하여 모의 크기와 어느정도 자란 벼가 필요로하는 적정한 논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논바닥의 물을 항상 적정한 수위를 유지함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막아 하류의 논 물대기를 제시기에 수시로 공급하여 수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로를 넘지 않는 상태로 적정하게 보충만 할 수 있도록 하여 논에 뿌려진 영양분의 유실됨을 방지함에 따라 생육의 촉진시켜 수확량을 증진 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특징이다.

Claims (2)

  1. 논의 입수로에 매설되어 농수로의 물을 논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수로(3)가 관통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수로(3)에 설치되어 물의 차단 및 입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축봉(5)에 의해 축설하되, 축봉(5)의 일측에는 작동휠(6)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무게추(7)를 고정한 개폐판(4)과; 논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작동거리를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일측에 수위량에 따라 작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부(10)가 설치된 부구가이드(2)와; 상기 부구가이드(2)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부구(8)와; 개폐판(3)의 일측에 고정된 작동휠(6)에 와인딩되어 고정되고, 부구(8)의 하측단 고리(9)와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작동휠(6)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가동와이어(15)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0)는 물의 수위량을 셋팅할 수 있도록 전방에 장공(11)을 형성하되, 일면에 걸림홈(12)을 천공하고, 이 장공(11)에 가이드로울러(14)가 축설된 작동바(13)를 설치하여 구성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개폐장치.
KR2020000024489U 2000-08-29 2000-08-29 수로개폐장치 KR200212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89U KR200212553Y1 (ko) 2000-08-29 2000-08-29 수로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89U KR200212553Y1 (ko) 2000-08-29 2000-08-29 수로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193A Division KR100386456B1 (ko) 2000-08-28 2000-08-28 수로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553Y1 true KR200212553Y1 (ko) 2001-02-15

Family

ID=7305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489U KR200212553Y1 (ko) 2000-08-29 2000-08-29 수로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5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3237A (en) Irrigation and drainage apparatus
US10039242B1 (en) Automated irrigation gate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water in an irrigation channel and conserving water in an agricultural region
CN110476669B (zh) 滴灌管及温室大棚
KR20090129127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212553Y1 (ko) 수로개폐장치
KR100386456B1 (ko) 수로개폐장치
KR20110002487U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JP2006304738A (ja) 地下水位調整器
JP2004065038A (ja) 水位調節装置
KR20170002655U (ko) 물꼬
CN210137686U (zh) 坡地节水灌溉系统
KR100256845B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200465670Y1 (ko) 논 수위계측 및 토사 유출 저감용 논물꼬
CN208815720U (zh) 一种建筑绿化隔墙
KR100450908B1 (ko) 관수로용 자동 급수장치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JP5725419B2 (ja) 水田取水堰
KR101781941B1 (ko) 배수조절장치
CN102155008B (zh) 暗管控制排水装置
JP3089402U (ja) 地下灌水調節閘
CN206658740U (zh) 虹吸式自灌溉植物墙插接模块
CN215648834U (zh) 一种基于鱼菜共生系统的草莓种植系统
KR20050006781A (ko) 농수 조절용 수문
JP4090674B2 (ja) 給水装置
JP3670426B2 (ja) 灌漑用水の水位調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