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518Y1 -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 Google Patents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518Y1
KR200212518Y1 KR2020000021890U KR20000021890U KR200212518Y1 KR 200212518 Y1 KR200212518 Y1 KR 200212518Y1 KR 2020000021890 U KR2020000021890 U KR 2020000021890U KR 20000021890 U KR20000021890 U KR 20000021890U KR 200212518 Y1 KR200212518 Y1 KR 200212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nitor
detachable
main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대멀티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대멀티캡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대멀티캡
Priority to KR2020000021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니터와 카메라에 착탈구조를 형성하여 모니터와 카메라의 착탈이 용이한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외부 일측에는 카메라(6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컴퓨터 본체(10)와 연결되는 모니터(20), 상기 카메라(60)가 상기 모니터(20)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60)와 상기 모니터(20)의 사이에는 착탈수단으로서, 상기 카메라(60)의 일측으로 돌출된 착탈돌기(64)와 상기 착탈돌기(64)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20)의 일측에 마련된 착탈홈(31)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MONITOR WITH DETACHABLE CAMERA}
본 고안은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없이 모니터와 카메라가 착탈가능한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는 본체에 모니터 및 주변기기를 설치하여 구성되는데, 본체에는 각종 하드웨어가 설치되고, 모니터는 이러한 본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상황이나 본체에서 연산된 결과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한편, 최근의 개인용 컴퓨터에는 사진촬영 및 화상채팅, 화상통화를 위해 카메라가 많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카메라는 보통 모니터의 상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와 카메라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미도시)와 연결되는 모니터(1)는 정면측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2)가 마련되고, 하부측에는 책상 등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한 고정부(3)가 마련된다.
한편, 모니터(1)의 표시부(2) 상측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곳에 컴퓨터용 카메라(4)를 설치하게 된다. 이 카메라(4)는 컴퓨터 입력장치중에 하나로서 사용자의 얼굴 등을 인식하여 이를 컴퓨터 본체로 전송함으로써 사진촬영 및 화상채팅, 화상통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4)의 정면측에는 렌즈(5)가 설치되어있고, 이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8)의 후방측에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케이블(6)이 마련되며, 카메라(4)의 하부측에는 평평한 곳에 세워질 수 있도록 다리(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메라(4)는 평평한 곳에 세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다리(7)를 이용하여 여러곳에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렌즈(5)방향이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하는 모니터(1) 상측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는 모니터 상측에 불안정하게 설치되므로 사용중에 케이블을 당기거나 모니터에 충격이 가해지면 모니터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다리의 하부면에 접착제 내지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를 분리시키기가 어려워지고 일단 카메라를 설치한 후에는 카메라의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의 외측으로 카메라의 케이블이 배치되므로 미관을 해침과 더불어 케이블이 당겨질 때는 카메라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와 카메라에 착탈구조를 형성하여 모니터와 카메라의 착탈이 용이한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모니터와 카메라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와 카메라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와 카메라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컴퓨터 본체 20:모니터
21:표시부 22:고정부
30:설치부 31:착탈홈
32:모니터단자 40:연결단자
50:연결케이블 60:카메라
61:렌즈 62:케이스
63:카메라단자 64:착탈돌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 일측에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모니터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와 상기 모니터의 사이에는 착탈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와 카메라의 분리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0)와 이에 연결된 모니터(20)가 마련되는데, 컴퓨터 본체(10)는 그 내부에 각종 하드웨어가 설치되는 것이고, 여기에 연결된 모니터(20)는 사용자의 입력상황이나 컴퓨터 본체(10)에서 연산된 결과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주변기기인 것이다.
이 모니터(20)는 후방에 마련된 다수개의 단자에 케이블이 설치되어 컴퓨터 본체(10)와 연결되는데, 그 정면측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21)가 마련되고, 하부측에는 책상 등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한 고정부(22)가 마련된다.
한편, 본 고안의 모니터(20)는 컴퓨터의 또 다른 주변기기인 카메라(60)가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카메라(60)와 모니터(20)의 사이에는 착탈수단이 마련되어 카메라(60)가 모니터(20)에 착탈가능하게 된다.
먼저, 카메라(60)는 컴퓨터 입력장치중에 하나로서 사용자의 얼굴 등을 인식하여 이를 컴퓨터 본체(10)로 전송함으로써 사진촬영 및 화상채팅, 화상통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카메라(60)는 정면측에는 렌즈(61)가 설치되어있고, 이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62)의 후방측에는 카메라단자(63,도 3참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케이스(62)의 외부 양측에는 착탈수단의 일부분으로서 착탈돌기(64)가 마련된다.
다음, 이러한 카메라(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모니터(20)의 표시부(21) 상측에는 하향으로 함몰되어 전방측과 상방측이 개구된 설치부(30)가 마련된다. 이 설치부(30)는 카메라(60)의 케이스(62)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설치부(30)의 내부 양측에는 카메라(60)의 착탈돌기(64)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의 다른 일부분인 착탈홈(3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30)의 후방측에는 카메라(60)의 카메라단자(63)와 연결될 수 있도록 모니터단자(32)가 마련되어 설치부(30)의 내부로 카메라(60)가 슬라이딩 삽입될 때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모니터(20)의 측면에는 모니터단자(32)와 연결된 연결단자(40)가 마련된다. 이 연결단자(40)에는 연결케이블(50)이 설치되어 컴퓨터 본체(10)와 모니터(20)를 연결시켜준다. 즉, 카메라(60)에서 보내는 신호가 카메라단자(63)와 모니터단자(32) 그리고 연결단자(40)와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본체(1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단자(40)는 카메라(60)에 형성된 카메라단자(63)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단자(40)에 결합되는 연결케이블(50)은 카메라단자(63)와 직접 연결 가능하도록하여 카메라(60)가 모니터(20)에서 분리되어 설치될 때 연결케이블(50)을 통해 컴퓨터 본체(10)와 카메라(60)가 직접 연결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카메라(60) 부착식 모니터(20)는, 카메라(60)와 모니터(20)의 사이에 마련된 착탈수단인 착탈돌기(64)와 착탈홈(31)을 결합시켜 카메라(60)를 모니터(20)에 부착시킨 후 모니터(20)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단자(40)와 컴퓨터 본체(10)를 연결케이블(50)로 연결함으로써 카메라(60)에서 보내지는 신호가 컴퓨터 본체(1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는, 모니터와 카메라가 착탈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됨과 동시에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와 모니터가 카메라단자와 모니터단자를 통해 연결되므로 그 사이에 별도의 케이블이 설치되지않아 카메라 사용중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외부 일측에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60)가 상기 모니터(20)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60)와 상기 모니터(20)의 사이에는 착탈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카메라(60)의 일측으로 돌출된 착탈돌기(64)와 상기 착탈돌기(64)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20)의 일측에 마련된 착탈홈(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60)의 일측에 형성된 카메라단자(63)와, 상기 카메라단자(63)와 연결되도록 상기 모니터(20)에 마련된 모니터단자(32)와, 상기 모니터(20)의 일측에 상기 컴퓨터 본체(10)와 연결된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60)와 상기 컴퓨터 본체(10)를 연결시키는 연결단자(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KR2020000021890U 2000-08-01 2000-08-01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KR200212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90U KR200212518Y1 (ko) 2000-08-01 2000-08-01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90U KR200212518Y1 (ko) 2000-08-01 2000-08-01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518Y1 true KR200212518Y1 (ko) 2001-02-15

Family

ID=7305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90U KR200212518Y1 (ko) 2000-08-01 2000-08-01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5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56A (ko) * 2000-08-17 2002-02-25 김홍기 모니터의 통신카메라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56A (ko) * 2000-08-17 2002-02-25 김홍기 모니터의 통신카메라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031B2 (en) Integrated desktop videoconferencing system
WO2005013600A3 (en) Virtual conference room
WO1998048548A3 (en) Multi-function telecommunication device
EP1246464A3 (en) Cellular phone with imaging device
KR200212518Y1 (ko) 카메라 부착식 모니터
JP5016448B2 (ja) 通話端末
CN217693460U (zh) 一种翻转摄像头及显示设备
US20090103255A1 (en) Image display module
JP6953338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JP2024077367A (ja) インターホン機器
US20030117495A1 (en) Connecting device for digital camera on television
KR200178841Y1 (ko) 도어폰 장치
JP3031359B2 (ja) 露出取付型のハンズフリーテレビインターホンユニット
JP3041666B2 (ja) 露出取付型のハンズフリーテレビインターホンユニット
KR20050032190A (ko) 분리형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23141147A (ja) インターホン子機
KR200321200Y1 (ko) 시선일치 화상카메라 장치
JP3750424B2 (ja) ハンズフリー型テレビインターホン
KR200316985Y1 (ko) 피씨용 화상 카메라 거치대
JP2001156464A (ja) Haモジュール
JP2023141148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設置構造
JP3271414B2 (ja) 投射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スクリーン取付け装置
JP2605343B2 (ja) Tv電話装置
JP3363294B2 (ja) モニターテレ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92615B1 (ko) 캠코더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