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487Y1 -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 Google Patents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487Y1
KR200212487Y1 KR2019980012130U KR19980012130U KR200212487Y1 KR 200212487 Y1 KR200212487 Y1 KR 200212487Y1 KR 2019980012130 U KR2019980012130 U KR 2019980012130U KR 19980012130 U KR19980012130 U KR 19980012130U KR 200212487 Y1 KR200212487 Y1 KR 200212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ing
heating tube
water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40U (ko
Inventor
홍행일
Original Assignee
홍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행일 filed Critical 홍행일
Priority to KR2019980012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48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487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대량의 밥을 고속으로 취사할 수 있는 집단 취사용 증기 취반장치에 관한 것임. 취반장치는 취반용기들이 삽입되는 금속제 상자형 본체로 된 취반기의 하방에 설치된 증기 발생실내에 물속에 잠기도록 설치된 증기 순환관과 물위에 노출되어 건열로 취반기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관을 갖고 있음. 본 고안에 의하면 물위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가열관에 의하여 취반기 내부가 미리 가열되고 수증기도 재가열되므로 취반속도가 빠르고 쌀이 어느 정도 익은 후에는 증기발생을 중단시키고 가열관을 이용하여 건열로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상층부에 진밥이 형성되지 아니함.

Description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본 고안은 수 십명 내지 수 백명이 먹을수 있는 대량의 밥을 취사할 수 있는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취반용기가 삽입되는 밀봉용기의 하방에 증기발생실이 형성되어 증기발생실에서 발생되는 증기로 밥을 익히도록 된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 군대 또는 대형공장 등에서 단체급식을 하기 위하여는 수 십명 내지 수백명의 인원이 먹을 수 있는 밥을 할 수 있는 대용량의 집단 취반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취반장치는 20-30명 정도의 인원이 먹을 수 있는 밥을 할 수 있는 취반용기를 상자형 금속제 밀봉 취반기 내에 다층으로 적층시키고 증기로 취반기 내부를 가열하여 증기열로 밥을 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한 집단 취반장치를 10 여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바, 이 경우 각개 취반장치에 버어너와 같은 별도의 가열기를 설치하면 취반장치의 수에 따라 여러 개의 가열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가열기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취반기 하방에 취반기 내부와 연결된 증기 발생실을 형성하여 증기 발생실내에 물속에 잠기는 증기 가열관을 설치하고 대형 보일러에서 증기 가열관으로 수증기를 공급하여 증기 가열관에서 나오는 열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가 취반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수증기의 열로 취사하도록 된 취반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취반장치는 하나의 대형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수증기의 열로 다수의 취반장치에서 취사에 필요한 수증기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취반장치를 가열하는 열원을 관리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증기 취반장치는 취반장치내에 수용되는 취반용기 내에 적량의 쌀과 물을 붓고 수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열로 가열하는 습열 방식이므로 취반기 내부의 온도를 쌀이 익을 정도로 올리는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그 사이 쌀이 풀어지고 상부에 물이 없을 정도로 밥물이 쌀에 스며든 후에도 수증기가 밥위로 계속하여 공급되므로 상층부에는 진밥이 형성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56-82910호에는 취반 용기가 수용되는 증자실의 저면에 다공판을 설치하고 다공판의 하방에 물탱크를 설치하며 다공판의 중앙부에 개구부를 설치하여 물탱크 상방에 설치된 증기 배출용 안내관에 연통되도록 하여서 된 증자장치가 공개되었다. 이 증자장치는 증자실내로 유입되는 증기가 증자실 중앙에 놓인 취반기 주위로부터 유입되어 취반기 내부로 들어와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증기의 이동통로가 취반기가 놓인 부분을 통과하도록 하여 증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증자실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폐열을 이용하도로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증자장치는 증자실내로 유입되는 증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데는 유리한 점이 있으나, 취반을 신속하게 하거나 진밥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쌀이 어느정도 익은 후에 건열로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증기취사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밥이 신속하게 됨과 동시에 진밥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집단취사용 증기취반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신속하게 취사되면서도 상층부에 진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는 내부 양 측벽에 다수의 취반용기가 지지되는 레일이 다층으로 부착되어 취반용기를 다층으로 적층되게 삽입할수 있도록 되었고 개폐문을 밀봉하게된 취반기와 전술한 취반기의 저면에 밀봉되게 설치되고 수증기 발생용 증기 가열관이 물속에 잠기도록 저면에 설치된 증기발생실로 구성된 집단취사장치에 있어서, 증기발생실의 상방에 물속에 잠기지 않도록 건열 발생용 가열관을 설치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전술한 가열관은 증기 발생용 증기 가열관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고 동일한 고압 보일러에 연결된 증기 가열관일수도 있고, 전열선이 내부에 설치된 전열로 가열되는 가열관일수도 있다. 전술한 가열기가 전열로 가열되는 가열관인 경우에는 내부의 전열 코일이 수증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되어야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반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취반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취반장치의 증기 순환관 배열상태를 보인 증기 발생부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집단취사용 취반장치는 취반용기(6)가 삽입되는 취반기(2)와 취반기내로 공급되는 수증기를 발생하는 증기 발생실(4)로 구성되었다. 취반기(2)는 상자형태로된 본체(11), 밀봉용 밀폐문(12) 및 양 측벽에 대향되게 수평으로 부착된 취반용기(6)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13), (13')로 구성되었으며, 저면(14)에는 취반기(2)의 내부와 증기 발생실(4)을 연결하는 통기공(15)이 형성되었다, 지지 레일(13), (13')은 3개의 취반용기(6)가 수평으로 삽입되어 지지될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었으며, 상하로 6개의 취반용기(6)를 적층시킬수 있도록 다층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부에 위치하는 취반용기(6)는 갈구리가 달린 막대로 슬라이딩되게 밀어 넣거나 끌어내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취반기(2)는 이미 알려져 있으며, 본체(11)를 구성하는 벽체와 밀폐문(12)도 이미 알려져 있으며 도면에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취반기(2)의 저면 하방에 부착된 증기 발생실(4)은 수조(16)와 수조내의 물(17)속에 잠기도록 수조의 저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증기 가열관(19)으로 구성되며, 증기 발생실(4)의 상방에는 증기 가열관으로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가열관(18)이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취사용기의 저면(14)에 근접되게 설치되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술한 가열관(19)이 증기 가열관으로 구성되었다.
취사할 때는 취반용기(6)에 20-25명 분의 밥을 할수 있는 량의 쌀과 적량의물을 넣고 각층에 3개씩 18개의 취반용기(6)를 취반기(2)내에 삽입하여 취반기의 밀폐문(12)을 닫아서 밀봉시킨 다음, 보일러로부터 증기발생실(4)내의 증기가열관(19), (18)으로 수증기를 공급하여 취사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시되지 아니한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가 증기 가열관(19), (18)으로 공급되면 수중에 잠긴 증기 가열관(19)이 물(17)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기는 동안 물위에 설치된 증기 가열관(18)이 취반기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게되므로 수증기가 발생하기 전부터 가열관(18)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통기공(15)을 통하여 대류되면서 취반기 내부의 취반용기와 취반용기 내의 물과 쌀을 미리 가열하게 되므로 조리시간이 단축되게 되고, 이어서 증기 발생실(4)에서 발생되어 취반기 내부로 유입되는 수증기는 미리 가열된 공기의 열에 의하여 냉각되거나 응축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며, 증기 발생실(4)내에서 발생하여 상승하는 증기도 상부의 증기 가열관(18)을 통과할 때 증기가열관(18)의 열에 의하여 재가열 되므로 고온의 과열증기가 취반기내로 유입되게 되어 조리시간이 한층 단축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어느 정도 쌀이 증숙되어 취반용기 내의 쌀위에 밥물이 없어질 때 증기 가열관(19)의 증기 유입을 차단하여 수증기가 발생하지 않도록하고 증기 가열관(18)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만이 취반기 내부로 대류되도록 하면 취반용기 내의 밥 표면에 수증기가 작용하여 상층부의 밥을 진밥으로 만드는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증기 가열관(19)이 증기가 발생하도록 물을 가열하는 동안 증기 가열관(18)에 의하여 취반기 내부의 공기가 미리 가열되고 또한 증기 가열관(19)에 의하여 가열된 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도 증기 가열관(18)에 의하여 재가열되면서 취반기 내부로 유입되어 밥을 짖는데 필요한 열을 공급하게 되므로 취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쌀이 어느 정도 익은 후에는 증기 가열관(19)을 차단하고 증기 가열관(18)에서 발생하는 건열로만 가열할수 있으므로 상층부에 진밥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 양 측벽에 다수의 취반용기(6)가 지지되는 레일(13), (13')이 다층으로 부착되고 저면에 수증기 통기공( )이 형성되었으며 개폐문(12)으로 밀봉하게된 취반기(2)와 전술한 취반기의 저면에 밀봉되게 설치되고 보일러에 연결된 수증기 발생용 증기 가열관(19)이 물속에 잠기도록 저면에 설치된 수조(16)로 구성된 증기발생실(4)을 포함하는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에 있어서, 증기발생실(4) 내의 수조(16) 상방에 물속에 잠기지 않도록 설치된 건열 발생용 가열관(18)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취사장치.
  2. 제1항에서, 건열 발생용 가열관(18)이 보일러에 직접 연결되어 보일러로부터 증기를 공급받는 증기 가열관과 전열선이 삽입된 전기 가열관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장치.
KR2019980012130U 1998-07-03 1998-07-03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KR200212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30U KR200212487Y1 (ko) 1998-07-03 1998-07-03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30U KR200212487Y1 (ko) 1998-07-03 1998-07-03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40U KR20000002340U (ko) 2000-02-07
KR200212487Y1 true KR200212487Y1 (ko) 2001-02-15

Family

ID=6951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30U KR200212487Y1 (ko) 1998-07-03 1998-07-03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125A (ko) 2015-01-30 2016-08-09 이진성 선반형 인덕션 대용량 조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98Y1 (ko) * 2009-10-30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200450499Y1 (ko) * 2009-11-13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125A (ko) 2015-01-30 2016-08-09 이진성 선반형 인덕션 대용량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40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590B2 (ja) 過熱蒸気調理装置
CN101153705A (zh) 蒸汽发生器和具有该蒸汽发生器的加热烹饪设备
JP2005083735A (ja) 過熱蒸気調理装置
KR101083993B1 (ko) 전열 증기 취사기
CN1315390C (zh) 过热蒸汽炉
EP1538396B1 (en) Heating cooker
EP1515093A2 (en) Overheated steam oven
KR20050052083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624080B1 (ko) 가열조리장치
KR200212487Y1 (ko) 집단취사용 증기 취반장치
US5103076A (en) Structure of double steam oven
CN109939248A (zh) 一种高温蒸汽消毒柜
KR100628682B1 (ko) 건식 습식 겸용 사우나 방열장치
KR20060129118A (ko) 가열조리장치
JP7324521B2 (ja) 食品加温装置
ATE182445T1 (de) Dampfkochgerät
CN107003004A (zh) 加热烹调器
US2151108A (en) Water heating apparatus
KR200467947Y1 (ko) 증기 취사기
KR100988312B1 (ko) 촉매탈취기능의 음식조리기
US3720189A (en) Heater and hot water boiler
KR200309752Y1 (ko) 간이 증기조리기
JP7411973B2 (ja) 食品加熱装置
KR840001344Y1 (ko) 취 반 관
JPS5935235Y2 (ja) タオル蒸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