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923Y1 - 캐비넷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캐비넷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923Y1
KR200211923Y1 KR2020000020938U KR20000020938U KR200211923Y1 KR 200211923 Y1 KR200211923 Y1 KR 200211923Y1 KR 2020000020938 U KR2020000020938 U KR 2020000020938U KR 20000020938 U KR20000020938 U KR 20000020938U KR 200211923 Y1 KR200211923 Y1 KR 200211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andle
door
cabine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윤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규중 filed Critical 윤규중
Priority to KR2020000020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923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비넷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되지 않게 손잡이를 손잡이 커버의 수용실에 삽입하여 도어에 고정하고 캐비넷 도어의 내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걸림바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의 유동에 의하여 상,하 걸림바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손잡이가 손잡이 커버의 수용실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도어에 설치되므로 손잡이가 도어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되지 않아 캐비넷 손잡이에 팔이나 옷 등이 걸려 넘어지거나 다치지 않고, 제1아암과 제2아암이 핀축 결합되어 손잡이 커버에 고정돌기와 아암걸림판 사이에서 유동되므로 걸림바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록킹과 해정을 이루게 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걸림바가 제대로 작동을 할 수 없을때에도 걸림바의 고정 위치를 제2아암의 유동간격 내에서 걸림바의 고정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캐비넷용 손잡이{Knob of Cabinet}
본 고안은 캐비넷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내측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손잡이 커버 배면에 설치된 아암의 이동 위치에 따라 캐비넷 내측에 설치되는 걸림바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캐비넷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넷이나 대형 사물함 등에 사용되는 손잡이는 캐비넷 도어의 소정 위치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원통체를 고정하고 상기 원통체의 중앙에 도어 외측으로 손잡이를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기 타측 도어에는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도어의 홈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록킹과 해제를 이루고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캐비넷의 상,하단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걸림바가 도어의 지지돌기와 함께 록킹과 해제를 이루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캐비넷에 설치된 손잡이는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행시 팔이나 옷이 걸려 통행에 불편이 있으며, 특히 손잡이에 팔 등을 다치게 하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고, 또한 캐비넷의 장기간 사용으로 도어 내측에 설치된 걸림바가 휘어지거나 비틀어져 걸림바의 록킹과 해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도어를 열고 닫는 데 사용상의 불편한 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어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되지 않게 손잡이를 손잡이 커버의 수용실에 삽입하여 도어에 고정하고 캐비넷 도어의 내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걸림바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의 유동에 의하여 상,하 걸림바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보행에 불편을 주지 않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시공이 간편하며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는 캐비넷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캐비넷용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아암 이동간격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캐비넷용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손잡이 커버 11: 손잡이
12: 수용실 13: 힌지축
14: 힌지공 15a,15b,15c,15d: 고정돌기
16a,16b: 걸림판 고정돌기 17: 유동암
30: 플레이트 40: 아암 걸림판
50: 지지돌기 51: 가이드
52: 스프링 53: 스프링 지지턱
54: 유동공 55: 힌지축
56: 힌지공 60a,60b: 제1아암
61a,61b: 제2아암 62a,62b: 아암 고정축
63a,63b: 아암 고정공 64a,64b: 핀결합공
70: 걸림쇠 71: 걸림쇠 삽입공
74: 걸림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할 수 있는 정도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캐비넷용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아암 이동간격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캐비넷용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절곡된 수용실(12)내부에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손잡이(11)가 유동 가능하게 고정된 손잡이 커버(10)와, 상기 손잡이 커버(10)의 배면에 설치되어 손잡이(11)의 유동에 의하여 타측 도어에 설치된 수용실부에 삽입되는 지지돌기(50)와, 상기 손잡이 커버(10) 배면에 설치된 지지돌기(50)와 스프링(52)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돌기(15a,15b,15c,15d)에 체결되는 플레이트(30)와, 손잡이(11)의 유동으로 움직이는 제2아암(61a,61b)의 유동간격을 제한하는 아암걸림판(40)과, 상기 걸림바(74)를 록킹, 해제하는 1조의 아암(60a,60b,61a,61b)이 구비된다.
손잡이 커버(10)는 정면에 손잡이(11)를 삽입하는 수용실(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실(12)의 일측 상,하에 힌지축(13)을 고정하는 힌지공(14)이 형성된다.
손잡이 커버(10)의 배면에는 지지돌기(50)와 제1아암(60a,60b)과 제2아암(61a,61b) 및 스프링(52)을 커버하는 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5a,15b,15c,15d)가 형성되고, 제2아암의 유동을 제한하는 아암걸림판(40)을 고정하는 걸림판고정돌기(16a,16b)를 형성하고, 지지돌기(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54)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51)의 우측에 제1아암(60a,60b)의 아암고정공(63)이 고정되는 아암고정축(62a,6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50)의 일측에 스프링(52)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지지턱(53)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턱(53)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스프링(52)이 이탈되거나 튕겨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플레이트(30)는 손잡이 커버(10)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5a,15b,15c,15d)에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아암고정축(63)에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일측은 절곡하여 중앙부에 지지돌기(50)가 삽입되는 돌기공(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된다.
아암걸림판(40)은 손잡이 커버(10)의 배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판고정돌기(16a,16b)에 고정되도록 두 개의 걸림판고정공이 형성되며, 도4에서와 같이 양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절곡하고 제2아암(61a,61b)의 걸림쇠삽입공(71) 부위가 걸림판(40)의 측면에 닿으면서 제2아암(61)의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지지돌기(50)는 중앙에 손잡이(11)의 유동암(17)이 삽입되는 유동공(54)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2아암(61a,61b)이 핀축결합된 제1아암(60a,60b)의 힌지축(55)과 결속되는 힌지공(56)이 형성된다.
제1아암(60a,60b)은 손잡이 커버(10)의 배면에 형성된 아암고정축(62a,62b)에 끼워지고 상기 아암고정공(63a,63b)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일측에는 지지돌기(50)의 힌지축(55)에 결합되는 유동공(54)이 형성되며, 타측은 제2아암(61a,61b)과 결속되는 핀결합공(64a,64b)이 형성된다.
또한, 제2아암(61a,61b)은 일측에 제1아암(60a,60b)에 형성된 핀결합공(64a,64b)과 결속되는 핀결합공(65a,65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바(74)가 결속되는 걸림쇠(7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공(71a,71b)이 형성되며, 상기 핀결합공(65a,65b)의 일측은 도2에서와 같이 소정 길이만큼 폭을 좁게 형성하여 제2아암(61a,61b)이 손잡이 커버(10) 배면의 고정돌기(15a,15b)에 걸리도록 한다.
걸림쇠(70)는 일측방에 제2아암(61a,61b)의 걸림쇠삽입공(71a,71b)에 삽입되는 걸림돌기(7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걸림바(74)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는 일정 두께의 직선으로 형성되고 원주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호로 형성하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하여 걸림바(74)의 고정시 걸림바(74)가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손잡이 커버(1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실(12)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1)의 힌지공(13)과 지지돌기(50)에 형성된 힌지공(56)을 힌지축(13)으로 결합하여 손잡이(11)가 손잡이 커버(11)의 수용실 내측에서 유동되게 결합시킨다.
제1아암(60a,60b)의 핀축결합공(64a,64b)과 제2아암(61a,61b)의 핀축결합공(65a,65b)을 핀축(66)으로 결합하여 제1아암(60a,60b)과 제2아암(61a,61b)이 서로 유동되게 한다.
지지돌기(5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공(56)과 상기 제2아암(61a,61b)이 핀축(66) 결합된 제1아암(60a,60b)의 힌지공(67a,67b)을 힌지축(55)으로 결합시켜 손잡이(11)의 유동에 따라 지지돌기(50)는 가이드(51)를 따라 수평운동을 하게 된다.
제1아암(60a,60b)이 결합된 지지돌기(50)를 가이드(52) 내측에 끼우고 상기 지지돌기(50)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동공(54)에 손잡이(11)의 유동암(17)을 삽입하여 제1아암(60a,60b)의 아암고정공(63)을 아암고정축(62a,62b)에 고정시켜 아암고정축(62a,62b)을 중심으로 제1아암(60a,60b)이 유동되게 한다.
지지돌기(50)와 제1아암(60a,60b)의 아암고정공(63)이 안착되면 스프링지지턱(53)과 지지돌기(50) 사이에 스프링(52)을 삽입하여 스프링력에 의하여 지지돌기(5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돌기(50)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 플레이트(30)의 돌기공을 지지돌기(50)에 삽입하고 플레이트(30)에 아암고정축(62a,62b)의 돌기에 맞추고 고정돌기(15a,15b,15c,15d)에 플레이트(30)를 볼트로 결합한다.
아암걸림판(40)은 손잡이 커버(10)의 배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판고정돌기(16a,16b)에 볼트로 결합한다.
제2아암(61a,61b)의 걸림쇠 삽입공(71)에 걸림쇠(70)를 삽입하여 걸림바(74)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아암과 제2아암은 일체로 2절 운동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조립이 완성된 손잡이(11)를 도어의 표면으로 부터 손잡이 커버(10)가 돌출되지 않게 설치하고, 손잡이(11)가 설치된 도어와 대응하는 타측 도어에는 지지돌기(50)가 록킹과 해정을 이루도록 홈부를 형성한다.
걸림쇠(70)에 걸림바(74)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바(74)가 록킹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캐비넷의 도어 내측의 상단과 하단에 걸림바(74)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할 때 상기 제2아암(61a,61b)의 유동구간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사용 도중에 걸림바(74)의 록킹과 해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걸림바(74)의 위치를 바꾸기 위하여 캐비넷 도어 내측의 상,하단에 구멍을 새로이 형성시켜 걸림바(74)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손잡이가 손잡이 커버의 수용실 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도어에 설치되므로 손잡이가 도어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되지 않아 캐비넷 손잡이에 팔이나 옷 등이 걸려 넘어지거나 다치지 않고, 제1아암과 제2아암이 핀축 결합되어 손잡이 커버에 고정돌기와 아암걸림판 사이에서 유동되므로 걸림바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록킹과 해정을 이루게 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걸림바가 제대로 작동을 할 수 없을때에도 걸림바의 고정 위치를 제2아암의 유동간격 내에서 걸림바의 고정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관을 형성하며 소정의 깊이와 넓이를 가지는 수용실에 손잡이가 결합된 손잡이 커버와, 상기 손잡이 커버의 배면에서 가이드를 따라 수평 운동하고 스프링으로 복귀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와 회동이 자유롭게 아암고정축에 결합되는 제1아암과 핀축결합되어 2절 운동을 이루는 제2아암에 연결되어 소정각도로 선회하는 걸림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아암과 핀축 결합되어 고정돌기와 아암걸림판 사이에서 제2아암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손잡이.
KR2020000020938U 2000-07-22 2000-07-22 캐비넷용 손잡이 KR200211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938U KR200211923Y1 (ko) 2000-07-22 2000-07-22 캐비넷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938U KR200211923Y1 (ko) 2000-07-22 2000-07-22 캐비넷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923Y1 true KR200211923Y1 (ko) 2001-02-01

Family

ID=7308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938U KR200211923Y1 (ko) 2000-07-22 2000-07-22 캐비넷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9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067A (zh) * 2018-12-27 2019-03-12 浙江聚盛电气有限公司 开关柜的门锁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067A (zh) * 2018-12-27 2019-03-12 浙江聚盛电气有限公司 开关柜的门锁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961B2 (en) Exit device
KR100249364B1 (ko) 냉장고의 힌지 구조
JP2010174622A (ja) ロック
JP4777136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200211923Y1 (ko) 캐비넷용 손잡이
JP4555110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2006334063A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US7416230B2 (en) Safety lock for lever-type door handles
KR100533742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JP3976553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2003310831A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100648574B1 (ko) 2중 물림 빗장
JP2003251041A (ja) 遊技機における前面枠のヒンジ構造
KR0122544Y1 (ko)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19990038232U (ko) 레버형 도어록
KR200142757Y1 (ko)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
KR910006242Y1 (ko) 손잡이 겸용 자물쇠 뭉치
JP4187564B2 (ja) 遊技機用施錠装置
CA2286487C (en) Casket lock
KR20080107626A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함체 도어핸들용 핸들
US6527306B1 (en) Closing assembly for suitcases, bags and similar
JP4242747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4777128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100286928B1 (ko)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