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642Y1 -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642Y1
KR200211642Y1 KR2020000021322U KR20000021322U KR200211642Y1 KR 200211642 Y1 KR200211642 Y1 KR 200211642Y1 KR 2020000021322 U KR2020000021322 U KR 2020000021322U KR 20000021322 U KR20000021322 U KR 20000021322U KR 200211642 Y1 KR200211642 Y1 KR 200211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nding
hose
rolle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범
Original Assignee
심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1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642Y1/ko

Link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선봉과 지지봉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구의 하단에 가이드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대 결합부에 형성된 내삽공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토록 결합되어지는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의 선단부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전방 가이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방 가이드부가 후방 가이드부에 고정된 상태이고 전방 가이드부가 후방 가이드부와 동시에 항상 같은 위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호스가 꺾이지 않게 되고, 전방 가이드부의 유동이 없어 호스의 매끄러운 안내가 가능하므로 호스끼리 간섭받지 않는 상태로 정확하게 감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이드대가 후방 가이드부의 가이드대 결합부에 관통된 상태로 내삽되고, 후방 가이드부에 가이드대 고정수단을 형성하므로써 전방 가이드부를 후방 가이드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A guide equipment for oil hose winch}
본 고안은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조차에서 사용되는 기름호스를 강제로 안내하므로써 감김롤러에 가지런히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름호스 감김장치는 주유소 등에서 직접 주유를 할 수 없는 곳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해 유조차 등에 탑재되는 장치로,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곳에도 기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당한 길이를 갖는 기름호스를 감김롤러에 감아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기름호스 감김장치는 기름호스를 감김롤러에 감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종래의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출원 제20-1999-0005442호와 같은 구성의 고안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 고안의 구성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핸들(handle)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는 감김롤러(20)와 동시에 회전하는 나선봉(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는 후방 가이드부(54)와, 상기 후방 가이드부(54)의 전방에 설치되어지되 기대(10)의 중간에 고정된 힌지부(110)에 좌우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가이드대(120)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가이드장치(100)의 전방 가이드부(57)가 회동이 가능한 가이드대(1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진 구조이므로 감김롤러(20)가 회전하면서 호스(30)을 감음에 있어 전방 가이드부(57)가 바닥에 풀려 있는 상태의 호스(30)을 후방 가이드부(54)에 안내해 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호스(30)가 꺽여있는방향으로 가이드대(120)도 꺽여있게되므로 호스(30)의 감김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심지어는 전방 가이드부(57)가 심하게 좌우로 유동하게 되므로써 호스의 엉킴을 유발하거나, 가이드대(120)의 꺾임이 심한 경우에는 호스의 감김가 용이하지 못해 모터와 감김롤러에 순간적인 과부하가 걸려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 가이드장치(100)의 가이드대(120)는 호스 감김장치(1)의 기대(10) 하단 힌지부(110)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가이드대(120)을 고정시킬 수단이 형성되어 있질 못하므로 호스 및 호스의 끝단에 형성된 주유건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폐단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종래의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나선봉과 지지봉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구의 하단에 가이드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대 결합부에 형성된 내삽공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토록 결합되어지는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의 선단부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전방 가이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대의 상단에 요홈을 형성하고, 후방 가이드부의 가이드롤러 하단에는 고정구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에 의해 가이드대가 이동구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5 - 종래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름호스 감김장치
10: 기대(機臺) 20: 감김롤러
30: 기름호스 40: 주유건
50: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이하 가이드장치라 한다)
51: 나선봉 52: 지지봉
53: 이동구(移動具) 53a: 가이드대 결합부
53b: 내삽공 54: 후방 가이드부
54a: 가이드롤러 55: 가이드대
55a: 요홈 56: 고정구
56a: 스프링 56b: 돌기
57: 전방 가이드부 57a: 가이드롤러
57b: 회전축
100: 종래의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110: 힌지부 120: 가이드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본 고안은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기름호스(30)를 감기 위한 기대(10)에 결합된 감김롤러(20)와 상기 감김롤러(20)와 동시에 회전하는 나선봉(51)에 좌우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구(53)와 가이드롤러(54a)로 구성되는 후방 가이드부(54)와, 상기 후방 가이드부(54)의 전방에 설치되어지고 역시 가이드롤러(57a)를 구비하는 전방 가이드부(57)로 구성되는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53)의 하단에 형성한 내삽공(53b)을 구비하는 가이드대 결합부(53a)와, 상기 가이드대 결합부(53a)에 내삽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지는 가이드대(55)와, 상기 가이드대의 선단부에 공지의 가이드롤러(57a)와 회전축(57b)을 구비하는 전방 가이드부(57)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회전축(57b)은 전방 가이드롤러(57a)가 가이드대(55)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대(55)의 상단에 요홈(55a)을 형성하고, 후방 가이드부(54)의 가이드롤러(54a) 하단에는 스프링(56a)과 상기 스프링(56a)에 의해 탄발력이 작용하는 돌기(56b)로 구성되는 고정구(56)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가이드(55)가 이동구(53)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가이드장치(50)는 전방 가이드부(57)를 가이드대(55) 선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대(55)는 감김롤러(20)와 동시에 회전하는 나선봉(51)에 결합된 후방 가이드부(54), 즉 이동구(53)의 가이드대 결합부(53a)에 고정되므로 전방 가이드부(57)와 후방 가이드부(54)가 항상 같은 위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호스(30)를 감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호스끼리 간섭받지 않는 정확한 감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전방 가이드부가 후방 가이드부에 고정된 상태이고 전방 가이드부가 후방 가이드부와 동시에 항상 같은 위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호스가 꺾이지 않게 되고, 전방 가이드부의 유동이 없어 호스의 매끄러운 안내가 가능하므로 호스끼리 간섭받지 않는 상태로 정확한 감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이드대가 후방 가이드부의 가이드대 결합부에 관통된 상태로 내삽되고, 후방 가이드부에 가이드대 고정수단을 형성하므로써 전방 가이드부를 후방 가이드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모터 또는 핸들에 의해 기름호스(30)를 감기 위한 기대(10)에 결합된 감김롤러(20)와 상기 감김롤러(20)와 동시에 회전하는 나선봉(51)에 좌우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구(53)와 가이드롤러(54a)로 구성되는 후방 가이드부(54)와, 상기 후방 가이드부(54)의 전방에 설치되어지고 역시 가이드롤러(57a)를 구비하는 전방 가이드부(57)로 구성되는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53)의 하단에 형성한 내삽공(53b)을 구비하는 가이드대 결합부(53a)와, 상기 가이드대 결합부(53a)에 내삽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지는 가이드대(55)와, 상기 가이드대의 선단부에 전방 가이드롤러(57a)가 회전축(57b)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대(55)의 상단에 요홈(55a)을 형성하고, 후방 가이드부(54)의 가이드롤러(54a) 하단에는 스프링(56a)과 상기 스프링(56a)에 의해 탄발력이 작용하는 돌기(56b)로 구성되는 고정구(56)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가이드(55)가 이동구(53)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KR2020000021322U 2000-07-26 2000-07-26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KR200211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22U KR200211642Y1 (ko) 2000-07-26 2000-07-26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22U KR200211642Y1 (ko) 2000-07-26 2000-07-26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642Y1 true KR200211642Y1 (ko) 2001-01-15

Family

ID=7305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22U KR200211642Y1 (ko) 2000-07-26 2000-07-26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6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069A (ko) * 2021-06-25 2023-01-04 주식회사 릴텍산업 착탈식 가이드 롤을 구비한 케이블 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069A (ko) * 2021-06-25 2023-01-04 주식회사 릴텍산업 착탈식 가이드 롤을 구비한 케이블 릴
KR102608767B1 (ko) * 2021-06-25 2023-12-04 주식회사 릴텍산업 착탈식 가이드 롤을 구비한 케이블 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123B2 (en) Rewind mechanism
JP5248917B2 (ja) 扉体閉止装置
JP4175825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H0671956U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チェック機構
JP7135814B2 (ja) ローラユニット
KR960008298Y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제어징치
JP2000328817A (ja) 折畳式ハンドル
US6554344B2 (en) Fuel filler door catch for vehicles
KR200211642Y1 (ko) 기름호스 감기용 가이드장치
JP3726960B2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US20100101046A1 (en) Pivoting control device for pivoting body
US8468619B2 (en) Open/close device of a washing tank drain system
JP2002029304A (ja) 車両用物品保持装置
US8505606B2 (en) Rotatable knob controlled adhesive tape dispenser
JP2008029367A (ja) 格納式フック装置
EP3575104A1 (en) Correction tape capable of self-locking after pushing out guide
US20030019991A1 (en) Cup holder arrangement
JPS608691Y2 (ja) 釣用リ−ルのハンドル
JPH0111423Y2 (ko)
JP4663744B2 (ja) 窓枠取付形物干し装置
JPH0370Y2 (ko)
JP2005306134A (ja)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CN110683428B (zh) 便携式多用途水管车
CN212488722U (zh) 摩托车头盔镜片调整机构
CN110668268B (zh) 拉杆箱式省力可调节水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