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97Y1 -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97Y1
KR200209697Y1 KR2020000020738U KR20000020738U KR200209697Y1 KR 200209697 Y1 KR200209697 Y1 KR 200209697Y1 KR 2020000020738 U KR2020000020738 U KR 2020000020738U KR 20000020738 U KR20000020738 U KR 20000020738U KR 200209697 Y1 KR200209697 Y1 KR 200209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fire
seedling
fire hydrant
alar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배
Original Assignee
김옥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배 filed Critical 김옥배
Priority to KR2020000020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97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소화전에 설치되는 소방용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보부재(20)의 하우징(22) 배면에 고정단(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24)에는 경종부재(30)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단(32)이 삽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경보부재(20)의 고정단(24)에 걸림단(32)을 걸어 고정하거나 이탈시키는 것만으로도 경종부재(30)를 설치하거나 탈거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경종부재(30)가 소화전의 전면패널(12)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소화전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ALARM DEVICE FOR FIRE FIGHTING}
본 고안은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화전의 전면패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보부재의 하우징과 경종부재가 서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소화전 내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경종부재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경보장치는 경보부재와 경종부재로 이루어져 소화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소방용 경보장치는 화재 발생시 작동되어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위에 화재사실을 알리는 동시에 방재센터로 신호를 보내 외부에서 화재사실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소방용 경보장치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발신기의 누름버튼을 누르면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발신기와 연결된 경종으로 신호가 전달되어 경종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방용 경보장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1)의 내,외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발신기와 누름버튼(2-1) 및 경고등(2-2)이 설치된 경보부재(2)는 소화전(1)의 전면패널(1-1)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고, 상기 경보부재(2)에 의해 작동되는 경종부재(3)는 상기 경보부재(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화전(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소방용 경보장치는 상기 소화전(1)의 내부에 상기 경종부재(3)를 설치하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b,1c,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종부재(3)가 소화전(1)의 내측패널(1-3)에 설치되거나, 격판패널(1-4) 및 측면패널(1-5) 등에 설치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작업이 곤란하였고, 설치후에 상기 경보부재(2)와 경종부재(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소화전을 개폐하도록 된 전면패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보부재의 하우징에 경종부재를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화전에 설치되는 소방용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전면패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보부재의 하우징 배면에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는 경종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단이 탈,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도 1a,1b,1c,1d는 종래기술에 의한 경보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경보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보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3a는 경종부재와 경보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3b는 경종부재와 경보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전면패널 20 : 경보부재
22 : 하우징 24 : 고정단
30 : 경종부재 32 : 걸림단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경보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보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3a는 경종부재와 경보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3b는 경종부재와 경보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소화전은 벽체에 매설되는 사각함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부에는 소방호스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경보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화전은 도 1a에 도시된 소화전을 참조한다. 이러한 경보장치는 항시표시등과 발신기, 발신기 확인램프, 소화전 기동램프, 커버, 보호캡, 버튼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화전의 전면패널(12)에 설치되는 경보부재(20)와, 상기 경보부재(20)에 의해 작동되는 경종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경보부재(20)는 상기 전면패널(12)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22)이 상기 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하우징(22)의 일부가 상기 소화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보부재(20)는 상기 하우징(22)이 전면패널(12)을 관통한 상태에서 전면패널(12)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경보부재(20)의 하우징(22) 배면(소화전의 내부로 삽입 설치된 부위)에는 도 2 내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2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24)은 상기 하우징(22)의 상부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것으로, 외측으로 약간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경종부재(30)는 상기 경보부재(20)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경종부재(30)의 일면에는 하부가 개구된 형상의 걸림단(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단(32)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고정단(24)에 걸리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이고, 이러한 걸림단(32)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단(32)의 내측면에는 끝단부측으로 경사진 안내면(34)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걸림단(32)이 고정단(24)에 결합될 때,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걸림단(32)이 고정단(24)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단(24)은 경종부재(30)의 일면과 걸림단(32) 사이로 삽입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단(24)이 걸림단(32)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부재(20)의 하우징(22)이 상기 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종부재(30)의 걸림단(32)을 하우징(22)의 고정단(24)에 걸어 결합시킨다.
즉, 상기 경종부재(30)의 걸림단(32)을 상기 하우징(22)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고정단(24)과 일치시킨 후에, 상기 경종부재(3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단(32)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24)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단(24)은 상기 걸림단(32)의 끝단부 내측에 형성된 안내면(34)에 안내되어 상기 걸림단(32)과 경종부재(30)의 일면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걸림단(32)이 상기 고정단(24)에 용이하게 걸겨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경종부재(30)의 걸림단(32)이 경종부재(30)의 고정단(24)에 결합되면, 상기 경종부재(30)의 설치는 완료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경종부재(30)와 경보부재(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경종부재(30)는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경종부재(30)를 탈거하기 위해서 상기 경종부재(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경종부재(30)는 경보부재(2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경종부재(30)가 경보부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종부재(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단(32)이 고정단(24)으로부터 분리됨으로 상기 경종부재(30)의 탈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는 경보부재의 고정단에 걸림단을 걸어 고정하거나 이탈시키는 것만으로도 경종부재를 설치하거나 탈거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경종부재가 소화전의 전면패널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소화전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소화전에 설치되는 소방용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보부재(20)의 하우징(22) 배면에 고정단(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24)에는 경종부재(30)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단(32)이 탈,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32)의 내측면에는 끝단부측으로 경사진 안내면(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KR2020000020738U 2000-07-20 2000-07-20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KR200209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38U KR200209697Y1 (ko) 2000-07-20 2000-07-20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38U KR200209697Y1 (ko) 2000-07-20 2000-07-20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697Y1 true KR200209697Y1 (ko) 2001-01-15

Family

ID=7308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38U KR200209697Y1 (ko) 2000-07-20 2000-07-20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553B1 (ko) 2009-12-16 2011-08-25 김한준 소방용 경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553B1 (ko) 2009-12-16 2011-08-25 김한준 소방용 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336A (en) Alarm indicating dis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JP2018205935A (ja) 発信機及び表示灯付き発信機
CN101128856A (zh) 用于容纳环境空气异常情况传感器模块的齐平安装组件
KR101058553B1 (ko) 소방용 경보장치
JP5089209B2 (ja) 火災警報器
KR200209697Y1 (ko) 소방용 경보장치의 설치구조
KR102371807B1 (ko)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JP5192765B2 (ja) 火災警報器
JP3608041B2 (ja) 火災感知器
KR100673989B1 (ko) 경고기능이 구비된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방범커버
US5325085A (en) Anti-intrusion alarm device for automatic user actuation at an entrance to a structure
US3732843A (en) Intrusion alarm
KR200196272Y1 (ko) 수동식 일회용 경보기
JP3358118B2 (ja) 火災感知器
JP3043978B2 (ja) 防災機器収容箱
KR200155282Y1 (ko) 소방용 경보장치
JP2008004515A (ja) アダプタ−プラグ
CN212896618U (zh) 一种闷盖防盗消防栓
CN211776522U (zh) 智能门系统
KR20190001903U (ko) 결합분리형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200448899Y1 (ko) 화재발신기의 구조
JP2014070417A (ja) 防水性リモコン装置
CN210274123U (zh) 户外路由器防盗装置
JP2018139704A (ja) 通報装置扉
JP5046686B2 (ja) 防犯システム及び防犯受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