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899Y1 - 화재발신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화재발신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899Y1
KR200448899Y1 KR2020080007548U KR20080007548U KR200448899Y1 KR 200448899 Y1 KR200448899 Y1 KR 200448899Y1 KR 2020080007548 U KR2020080007548 U KR 2020080007548U KR 20080007548 U KR20080007548 U KR 20080007548U KR 200448899 Y1 KR200448899 Y1 KR 200448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middle plate
cover
fir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19U (ko
Inventor
유덕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Priority to KR2020080007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99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커버를 열었을 때 전면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스위치가 ON 작동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위급 상황에서 스위치를 누르지 않아 화재경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발신기의 구조는, 중판의 일측으로 기판 보호를 위한 보호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에 전화잭과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중판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가 중판에 힌지 결합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누르면 OFF되고 누르지 않으면 ON되는 누름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에는 전면커버의 닫히고 열림에 따라 누름스위치를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하는 작동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발신기, 중판커버, 전화잭 커버, 누름스위치.

Description

화재발신기의 구조 {Structure of Transmitter for Fire Alarm }
본 고안은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커버를 열었을 때 전면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스위치가 ON 작동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위급 상황에서 스위치를 누르지 않아 화재경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이를 경보하기 위한 화재경보기가 장착되어 있고, 사람들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화재발신기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화재발신기는 보호유리 안쪽에 설치된 스위치를 사용자가 눌러줌에 따라 화재 발생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건물 벽면에 설치된 화재발신기를 본 어린이나 행인이 호기심을 느껴 스위치를 눌러보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화재경보기 관리자가 화재발신기의 전원을 아예 차단하는 일이 발생하여 실제 화재발생시 큰 사고로 확산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 화재발신기의 잦은 동작으로 인해 실제 화재발신기의 동작에 대한 신뢰도가 현저히 하락하여 화재가 발생시 화재경보기가 작동하여도 건물내 사람들이 대피 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재발신기의 구조가 공고번호 20-02159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화재발신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잭과 램프가 형성된 중판의 일측으로 기판 보호를 위한 보호커버가 형성된다.
이 중판의 일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전면커버의 내측으로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의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전면커버를 여닫는 것에 의해 중판이 개폐된다.
상기 중판의 중앙에 결합부가 요입 형성되고, 이 결합부에 놉부의 하측으로 돌설된 보스가 삽입되어 보스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보스의 하단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기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스위치의 끝부분의 끝부분이 걸림홈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보스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된다.
상기 결합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그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외주면상에는 걸림봉이 형성되어 걸림봉에 걸림턱에 걸렸다가 외력에 의해 걸림턱을 통과한다.
또한, 상기 보스의 외주면상에는 보스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일측에 외부장치와의 결선을 위한 결선단자가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의하면, 스위치 즉, 놉부가 전면커버에 의 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어린이나 행인이 장난삼아 놉부를 눌러보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또 전면커버를 열었을 때 보호커버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선단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한 위급한 상황에서는 전면커버를 열고 스위치를 누를 정신이 없어 다급한 나머지 전면커버만 열고 스위치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그냥 대피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면커버를 열었을 경우에 중판에 형성된 요철이나 중판에 장착된 여러 부품이 그대로 노출되어 화재발신기를 동작시키는 사용자가 다칠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면커버를 열었을 때 전면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스위치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위급 상황에서 스위치를 누르지 않아 화재경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중판과 전면커버 사이에 중판커버를 설치하여 전면커버를 열어 화재발신기를 동작시킬 때 발생하는 다칠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발신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중판커버에 누름판을 형성하여 전면커버를 여는 경우에 누름판을 눌러 열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전면커버를 열 수 있고, 전면커버의 내측에 힌지잭 커버를 힌지 결합하여 외부에서 힌지잭 커버를 열어 플러그를 전화잭에 삽입할 수 있는 화재발신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발신기의 구조는, 중판의 일측으로 기판 보호를 위한 보호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에 전화잭과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중판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가 중판에 힌지 결합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누르면 OFF되고 누르지 않으면 ON되는 누름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에는 전면커버의 닫히고 열림에 따라 누름스위치를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하는 작동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한 위급 상황에서 전면커버를 열기만 해도 화재경보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전면커버를 열고 화재발신기를 동작하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 외부에서 전화잭에 플러그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발신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도 1에 나타낸 중판, 중판커버 및 전면커버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100은 다수의 구성물이 실장되기 위한 중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중판의 일측으로는 벽면에 매립되고 그 안쪽으로 기판(122)이 장착되기 위한 보호커버(124)가 형성되며, 상기 중판(100)에는 전화라인과 접속되기 위한 전화잭(102)과 화재발신기의 작동을 ON/OFF하는 누름스위치(104)가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중판(100)에는 중판(100)에 실장되는 구성물을 보호하면서 구성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전면커버(200)가 결합되는데, 이 전면커버(200)는 중판(100)의 하측 또는 일측면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202)로서 결합된다.
상기 전면커버(200)의 내측으로는 양측에 고정돌기(204)가, 그 하부의 중앙에 상기 누름스위치(104)를 누르는 작동구(20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판(100)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04)가 걸리기 위한 걸림부(106)가 형성되어 전면커버(200)를 닫았을 때 고정돌기(204)가 걸림부(106)에 딸각하면서 걸림으로써 전면커버(200)가 중판(100)으로부터 열리지 않게 된다.
상기 전면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작동구(206)가 누름스위치(104)를 눌러 화재발신기의 작동을 OFF하고, 전면커버(200)가 열려 상기 작동구(206)가 누름스위치(104)를 누르지 않으면 화재발신기의 작동이 ON되어 화재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위급상황에서 전면커버(200)를 열기만 하면 화재발신기에서 화재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전화잭(102)이 위치된 부위의 전면커버(200)에는 전화잭홀(208)이 형성되고, 상기 전화잭홀(208)이 형성된 전면커버(200)의 내측 상부에는 전화잭 커버(210)가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212)로서 결합된다.
외부(화재수신기)와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화재발신기의 전화잭(102)에 플러그를 삽입하여야 하는 바, 상기 전화잭 커버(210)를 외부에서 밀면 전화잭 커버(210)가 전면커버(200)의 내측 상부로 회동되면서 전화잭홀(208)이 열려 외부에서 전화잭홀(208)을 통해 플러그를 전화잭(102)에 삽입할 수 있어, 전면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전화잭(102)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20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전면커버(200)를 손으로 열기 위한 손잡이(214)가 형성된다.
한편, 중판(100)에는 요철이나 여러 부품이 장착되어 있어 전면커버(200)를 열은 상태에서 화재발신기를 작동시키는 사람이 쉽게 다칠 위험이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전면커버(200)와 중판(100) 사이에 중판커버(300)가 구비된다.
상기 중판커버(300)에는 중판(100)의 전화잭(102), 누름스위치(104) 등이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302)이 형성되어, 전면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작동구(206)는 관통홀(302)을 통해 누름스위치(104)를 가압하게 되고, 전화잭홀(208)과 관통홀(302)을 통해 외부에서 플러그를 전화잭(102)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커버(200)의 고정돌기(204)가 중판(100)의 걸림구(106)에 걸리도록 하기 위해 중판커버(300)에는 고정돌기(20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홀(30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02) 양측의 중판커버(300)에는 체결돌기(306)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100)에는 체결홀(108)이 형성되어 체결돌기(306)가 체결홀(108)에 끼워져 중판커버(300)가 중판(100)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돌기(306)의 끝단부는 탄력을 갖도록 절곡되어 체결돌기(306)가 체결홀(108)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중판커버(300)의 상부는 전면커버(200) 측으로 절곡되어 누름판(308)을 형성하되, 상기 전면커버(200)에는 누름판(308)이 위치할 수 있도록 누름홀(216)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홀(216)에 위치되는 누름판(208)에 의해 전면커버(200)를 열기 위해 손잡이(214)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중판커버(300)의 누름판(308) 을 엄지로 밀면서 잡아당기기 때문에 쉽게 전면커버(200)를 열 수가 있다.
그리고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결선단자(126)가 보호커버(124)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전면커버(200)와 중판커버(300)를 열었을 때 상기 결선단자(126)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2a는 전화잭 관통홀, 104a는 누름스위치 관통홀, 126a는 결선단자 장착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전면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전면커버(200)의 고정돌기(204)가 중판커버(300)의 고정홀(304)을 통해 중판(100)의 걸림부(106)에 걸려 전면커버(200)는 열리지 않게 된다.
이때 작동구(206)는 관통홀(302)을 통해 누름스위치(104)를 눌러 화재발신기의 작동이 OFF되어 화재경보를 발생하지 않게 되고, 전화잭 커버(21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되어 전화잭홀(208)을 막게 된다.
상기 전화잭 커버(210)를 외부에서 밀면 전화잭 커버(210)가 내측 상부로 회동되면서 전화잭홀(208)과 관통홀(302)을 통해 플러그를 전화잭(102)에 삽입하여 화재수신기와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판커버(300)의 체결돌기(306)가 중판(100)의 체결홀(108)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체결돌기(300)가 중판(100)에 체결된다.
다음 화재 발생시 사용자는 전면커버(200)에 형성된 손잡이(214)를 손으로 잡고 중판커버(300)의 누름판(308))을 밀면서 잡아당기면, 걸림부(106)에 걸려 있던 고정돌기(204)가 걸림부(106)로부터 이탈되면서 전면커버(200)가 젖혀지게 되어 중판커버(300)와 중판(100)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전면커버(200)가 열리면서 누름스위치(104)를 누르고 있던 작동구(206)도 같이 젖혀지게 되어 누름스위치(104)의 누름이 해제되면서, 화재발신기의 작동이 ON되어 화재경보를 발생하며, 화재발생신호가 결선단자(126)를 통해 외부장치(화재수신기)로 출력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발신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도 1에 나타낸 중판, 중판커버 및 전면커버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 화재발신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중판 102: 전화잭
104: 누름스위치 106: 걸림부
200: 전면커버 204: 고정돌기
204: 작동구 210: 전화잭 커버
300: 중판커버 302: 관통홀
306: 체결돌기 308: 누름판

Claims (5)

  1. 중판의 일측으로 기판 보호를 위한 보호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에 전화잭과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중판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커버가 중판에 힌지 결합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누르면 OFF되고 누르지 않으면 ON되는 누름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에는 전면커버의 닫히고 열림에 따라 누름스위치를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하는 작동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잭이 위치된 부위의 전면커버에 전화잭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화잭홀이 형성된 전면커버의 내측에 전화잭 커버가 힌지 결합하여 외부에서 누르는 경우에 전화잭 커버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과 전면커버 사이에 중판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전화잭과 누름스위치가 위치된 부위의 중판커버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양측의 중판커버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중판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체결돌기가 체결홀에 끼워져 중판에 중판커버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커버의 상부는 전면커버 측으로 절곡되어 누름판이 되고, 상기 전면커버에는 누름판이 위치할 수 있도록 누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신기의 구조.
KR2020080007548U 2008-06-05 2008-06-05 화재발신기의 구조 KR200448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48U KR200448899Y1 (ko) 2008-06-05 2008-06-05 화재발신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48U KR200448899Y1 (ko) 2008-06-05 2008-06-05 화재발신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19U KR20090012619U (ko) 2009-12-09
KR200448899Y1 true KR200448899Y1 (ko) 2010-06-07

Family

ID=4423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548U KR200448899Y1 (ko) 2008-06-05 2008-06-05 화재발신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80B1 (ko) 2019-08-01 2020-02-11 이성민 화재 방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798Y1 (ko) 2000-09-28 2001-03-15 주식회사씨엔 이지에스 화재발신기 구조
KR200341240Y1 (ko) 2003-11-26 2004-02-11 김용암 화재발신기용 비상스위치의 누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798Y1 (ko) 2000-09-28 2001-03-15 주식회사씨엔 이지에스 화재발신기 구조
KR200341240Y1 (ko) 2003-11-26 2004-02-11 김용암 화재발신기용 비상스위치의 누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19U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583B1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US8162105B1 (en) Fire escape device
KR200448899Y1 (ko) 화재발신기의 구조
CA1147828A (en) Pull station protector
WO2002070847A3 (en) Door coupler and locking device
US2830143A (en) Alarm station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KR101615326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1950117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구 개폐 시스템
KR100749912B1 (ko) 열림방지형 건축용 방범창
KR200215798Y1 (ko) 화재발신기 구조
SK3882001A3 (en) Door terminal comprising a cover for the emergency button
JP5536400B2 (ja) 発信機の操作構造
US20030066128A1 (en) Faucet handle safety device
CN204469067U (zh) 一种带有镶嵌式把手的灭火器
ATE431465T1 (de) Verbesserte sicherheitsverschlussvorrichtung
JP6781060B2 (ja) 発信機
KR200410037Y1 (ko) 소화설비의 기동장치
KR101024221B1 (ko)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JP4873266B2 (ja) アルミサッシの上板の装着に適するストッパー
KR200396880Y1 (ko) 비상탈출 방범창
CN216751949U (zh) 一种消防监控对讲装置
KR20150009151A (ko) 방화형 도어 스토퍼
KR102087774B1 (ko) 세대단자함용 커버 잠금장치
KR20120093660A (ko) 센서 출입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