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365Y1 -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 Google Patents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365Y1
KR200209365Y1 KR2020000021829U KR20000021829U KR200209365Y1 KR 200209365 Y1 KR200209365 Y1 KR 200209365Y1 KR 2020000021829 U KR2020000021829 U KR 2020000021829U KR 20000021829 U KR20000021829 U KR 20000021829U KR 200209365 Y1 KR200209365 Y1 KR 200209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dit card
writing means
card
wri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선구
Original Assignee
여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선구 filed Critical 여선구
Priority to KR2020000021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365Y1/ko

Links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필기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결재가 가능한 신용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쓸 수 있는 필기수단을 신용카드의 본체의 모서리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별도의 필기구가 없어도 카드결재를 할 수 있게 되어 카드결재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Credit card having write means}
본 고안은 신용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카드의 모서리에 필기수단을 부착하여 신용카드의 결재시 신용카드를 필기구로도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는 현금대신 결재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용카드는 금융권에서 사용하고 있는 은행계 신용카드(BC, VISA,국민, LG, 삼성 등)와 백화점 신용카드 등이 있으며, 소비자들은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대금 결재하는 경향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99년 12월말 현재 카드 발급수 3,900만장, 카드사 가맹점 120만 업체가 있으며 정부의 신용카드 사용권장정책과 더불어 그 수는 크게 증가할 추세이다.
이처럼 근래에 와서 신용카드는 결재수단으로서 사용빈도가 부쩍 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종래의 신용카드로 카드결재를 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를 카드결재기에 긋고 카드영수증을 출력하여 별도의 필기구로써 카드영수증에 사인을 함으로써 카드결재를 수행하였다.
도 1은 종래 신용카드의 표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신용카드의 이면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신용카드의 본체이고, 2는 상기 본체(1)의 전에 카드번호, 인적사항 및 유효기간 등을 사용시 압인할 수 있도록 프레싱에 의하여 형성된 각인돌출부이며, 3은 상기 본체(1)의 전면의 일정 공간에 위치하여 각 매장의 종사자가 육안에 의하여 소유자와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도록 홀로그래피 그림이나 소유자의 사진을 수록할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래피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는 상기 본체(1)의 이면에 위치하여 신용카드의 신용상태 및 사용여부를 인식하여 사용승인을 얻을 수 있도록 자기띠로 이루어진 기록부이며, 5는 사용자의 서명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서명부이다.
이러한 종래의 신용카드의 사용에 있어서는 카드결재를 위해서는 별도의 필기구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주유소에서 주유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재하고자 할 때, 신용카드 사용자는 주유소 직원으로부터 신용카드와 카드영수증과 필기구를 동시에 받아야 하고 필기구로 카드영수증에 사인을 하고 카드영수증과 필기구를 함께 주유소 직원에서 돌려주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주유소의 경우와 같이, 신용카드 사용자와 주유소 직원은 양자 모두 별도의 필기구를 전달하고, 전달된 필기구에 의해 카드영수증에 서명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신용카드는 사용시 별도의 필기도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필기구에 의해 서명하는 것을 대체할 수단을 마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신용카드 이외에 별도의 필기구가 있어야만 신용구매를 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필기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결재할 수 있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신용카드의 표면도.
도 2는 종래 신용카드의 이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용카드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필기가 가능한 캡을 갖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캡이 끼워진 상태의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볼펜촉이 모서리에서 돌출되도록 부착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각인돌출부
3 : 홀로그래피부 4 : 기록부
5 : 서명부 11 : 라이트 플라스틱
21 : 모서리 22 : 캡
23 : 홈 31 : 펜촉
32 : 잉크통 33 : 펜고정부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쓸 수 있는 필기수단을 신용카드의 본체(1)의 모서리에 장착한다.
상기에서 필기수단은, 필기가 가능한 라이트 플라스틱(Write Plastic)(11)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필기수단은, 상기 본체(1)의 모서리(21)에 끼워지도록 홈(23)을 갖으며 필기가 가능한 캡(22)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필기수단은, 상기 본체(1)의 모서리(21)에 위치하여 필기하도록 하는 펜촉(31)과; 상기 펜촉(31)과 연결되어 상기 펜촉(31)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통(32)과; 상기 펜촉(31)과 상기 잉크통(32)이 상기 본체(1)에 결합되도록 접착시키는 펜고정부(33)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이다.
통상적으로 신용카드는 본체(1)와 본체(1)의 일측 표면에 마그네틱인 자기띠로 구성된 기록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면에 본 고안의 신용카드는 통상적인 신용카드의 구성에 필기수단을 모서리에 장착한다.
도 1에 의하면, 필기수단은 필기가 가능한 라이트 플라스틱(11)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라이트 플라스틱은 칼라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칼라 플라스틱은 재질이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지만, 이를 가지고 종이 위에 글을 쓰면 글이 적혀지는 플라스틱으로써 각종 칼라를 낼 수 있도록 제조된 것이다.
자기띠로 구성된 기록부(4)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라이트 플라스틱은 신용카드의 기록부(4)와 떨어져 있는 모서리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작은 신용카드의 모서리의 일부를 잘라내고 여기에 라이트 플라스틱인 칼라 플라스틱(11)을 부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또한 신용카드의 본체(1)와 일체화된 모서리 부분이 칼라 플라스틱(11)으로 구성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칼라플라스틱(11)이 부착된 모서리는 신용카드의 다른 모서리와 같이 라운드를 줄 수도 있고, 신용카드의 다른 모서리와는 달리 끝단부를 직각 또는 뾰쪽하게 하여 다른 모서리와 구별이 될 뿐만 아니라 가는 글씨체로 필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용카드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필기가 가능한 캡을 갖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캡이 끼워진 상태의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이다.
그래서 캡(22)은 신용카드의 모서리에 끼울 수 있도록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22)의 끝단부는 필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라이트 플라스틱(11)인 칼라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성한다.
일반적인 신용카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22)의 홈(23)에 신용카드의 모서리를 끼우면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카드영수증에 결재할 때 신용카드에 끼워진 캡을 가지고 서명하면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볼펜촉이 모서리에서 돌출되도록 부착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에 의하면, 펜촉(31)이 모서리에서 돌출되도록 부착된다. 여기서 펜촉(31)과 결합되고 볼펜잉크가 들어 있는 잉크통(32)은 납작한 형상으로서 구성하며, 신용카드의 본체(1)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끼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펜고정부(33)에 의해 펜촉(31)과 잉크통(32)은 신용카드에 접착된다. 이때 두께는 신용카드의 두께와 유사하게 만든다.
또한 잉크통(32)은 자기띠로 구성된 기록부(4)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록부(4)에 닿지 않게 설치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즉, 본 고안은 별도의 필기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 가능한 신용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신용카드 자체에 필기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신용카드로 카드결재는 신용카드를 카드결재기에 긋고 카드영수증을 출력하여 신용카드의 모서리에 장착된 필기수단으로써 카드영수증에 사인을 함으로써 별도의 필기구가 없이 카드결재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신용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는 종래의 신용카드 사용의 경우 카드결재를 위해 별도의 필기구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결점을 보완한 것으로써, 이에 의해 별도의 필기구가 없어도 카드결재를 할 수 있게 되어 카드결재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용카드를 결재용으로 쓸 수 있도록 하고, 응급사고 때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필기를 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더불어 본 고안은 판촉용 카드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책갈피로 사용시 책에 필기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도 있다.

Claims (4)

  1. 쓸 수 있는 필기수단을 신용카드의 본체의 모서리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수단은,
    필기가 가능한 라이트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수단은,
    상기 본체의 모서리에 끼워지도록 홈을 갖으며 필기가 가능한 캡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수단은,
    상기 본체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필기하도록 하는 펜촉과;
    상기 펜촉과 연결되어 상기 펜촉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통과;
    상기 펜촉과 상기 잉크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접착시키는 펜고정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KR2020000021829U 2000-07-31 2000-07-31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KR200209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29U KR200209365Y1 (ko) 2000-07-31 2000-07-31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29U KR200209365Y1 (ko) 2000-07-31 2000-07-31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365Y1 true KR200209365Y1 (ko) 2001-01-15

Family

ID=7308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29U KR200209365Y1 (ko) 2000-07-31 2000-07-31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3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612B1 (ko) 확대렌즈가있는개인용크레디트카드
US7374095B2 (en) Transaction card and envelope assembly
US4443027A (en) Multiple company credit card system
US7161747B2 (en) One piece clear plastic cardholder, cardholder shaped fresnel magnifying le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209365Y1 (ko) 필기수단을 구비한 신용카드
US20080000985A1 (en) Financial transaction card with mirror-like reflective surface
KR20070067050A (ko) 속지 교환식 은행통장
CA2162893C (en) Credit card with magnifying lens
KR102427940B1 (ko) 착탈식 여권 끼움부재
BG4510U1 (bg) Банкова карта
KR200265284Y1 (ko) 비접촉식 무선인식 칩을 내장한 핀카드
CA2303827A1 (en) Dual function transaction card
KR200281001Y1 (ko) 광고란이 있는 은행통장
JPH103263A (ja) カードに貼付するための、顧客コード番号を記載したシール、及びこのシールを貼付するためのシート
KR200183155Y1 (ko) 개인 종합카드
KR200301165Y1 (ko) 명함 겸용 복사지
JP3050518U (ja) カード構造
JP2014221519A (ja) カード
JP2014121832A (ja) カード
KR200348840Y1 (ko) 야광/형광 카드
JP3040540U (ja) 印鑑付きカード及びカード状印鑑
JPH09315048A (ja) 筆記具付き名刺ホルダー
KR200214654Y1 (ko) 개인 휴대 카드 부착용 스티커 카드
JP3050971U (ja) 名刺サイズ型カード
CN2382073Y (zh) 具有信息显示屏的智能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