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192Y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192Y1
KR200209192Y1 KR2020000022082U KR20000022082U KR200209192Y1 KR 200209192 Y1 KR200209192 Y1 KR 200209192Y1 KR 2020000022082 U KR2020000022082 U KR 2020000022082U KR 20000022082 U KR20000022082 U KR 20000022082U KR 200209192 Y1 KR200209192 Y1 KR 200209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ring
pipe
seal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세레아멘두니미첼
Original Assignee
아씨아이리에 발브루나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씨아이리에 발브루나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아씨아이리에 발브루나 에스.피.에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Image-Pickup Tubes, Image-Amplification Tubes, And Storage Tub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Paper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순하고, 실용적이며 사용범위가 넓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 연결구는 해당 관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공(3a)(3b)과, 가역 밀봉수단(5)(6)(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당해 중공몸체(2a)(2b)를 밀봉결합시키는 단부(4a)(4b)를 가진 2개의 중공몸체(2a)(2b)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에서, 단부는 상기 통공의 축(X-X)에 대해 그 수선(Y-Y)이 경사진 평면상에 놓이고, 단부중 하나에 대한 다른 하나의 수선(Y-Y)을 중심으로 한 각위치는 상기 통공사이의 각도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다.

Description

관 연결구{TUBE CONNECTOR}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 및/또는 광섬유가 내재된 관에 대하여 조절각을 형성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전선 및/또는 광섬유를 내장하기 위한 관에 사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자유롭게 응용할 수 있는 연결구가 필요하다. 특히, 여러 방향으로 뻣은 관들 사이에 연결구 또는 접속구를 만들기 위하여, 서로 다른 다수개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도록 제한된 수량의 표준부품으로 이를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관 연결에 따른 문제점은 전선 및/또는 광섬유가 내재된 관의 배설 경로를 따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슬리브, 밴드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여러 연결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해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관은 당해 경로에 의해 지정된 곡률로 곧게 제조되거나 휘어진다.
전술한 해결책은 다소 불만족스러운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먼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관 연결구를 만들기 위해 여러 부품을 조립하는 것이 불편하다. 또한, 반듯이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연결구의 여러 부품을 분해 및 조립하는 것은 복잡하며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반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휘어진 관을 사용하는 경우, 관을 성형하고 휘는 작업은 숙련된 기술자 뿐만 아니라 특수한 설비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종래의 관 연결구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적 및 기능적 특징을 가진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관 연결구에 의해 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으로 하기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관 연결구의 측면도로서, 2가지 사용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관 연결구의 2가지 중공몸체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조부호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구(1)는 2개의 분할된 중공몸체(2a)(2b)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3a)(3b)로 표시된 통공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몸체(2a)(2b)의 통공(3a)(3b)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며 본질적으로 공지의 형태인 각자의 관에 연결되도록 소정 축(X-X)을 중심으로 한 2개의 플랜지형 슬리브 형태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몸체(2a)(2b)는 2개의 경상(鏡像) 동체(shells) 형태이며, 단일의 구형 중공몸체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의 일부 또는 반구 형태이다.
상기 중공몸체(2a)(2b)는 개별 단부(4a)(4b)를 가지며, 이 단부들은 당해 중공몸체(2a)(2b)를 밀봉결합시키는 밀봉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가역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부(4a)(4b)는 경사면에 위치되며, 그 수선(Y-Y)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3a)(3b)의 축(X-X)에 대해 소정 각도(α)로 경사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α)는 45°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4a)(4b)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은 신속 해제 커플링(quick-release coupling)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수단은 중공몸체(2a)의 단부(4a)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된 나사링(5) 형태이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6)를 갖는다. 상기 암나사부(6)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4b)에 형성된 해당 나사부(7)와 결합됨으로써, 나사 결합을 이루게 된다.
반면, 상기 신속 해제 밀봉수단은 베이어닛 형식(bayonet type: 삽입형)일 수 있다.
상기 중공몸체(2a)의 단부(4a)에는 상기 회전링(5)이 접촉할 수 있는 스톱 플랜지(9)가 구비된다. 각각의 단부(4a)(4b)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2개의 구형부분(2a)(2b)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단부상(4a)의 회전링(5)을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나사부(6)와 단부(4b)상의 해당 나사부(7)가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2b) 단부(4b)의 전면에는 밀봉체(seal)(10)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 홈이 외주연에 형성된다. 상기 밀봉체(10)가 환형 밀봉홈에 수납되는 경우, 밀봉체(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몸체(2b)의 단부(4b)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상기 밀봉체(10)는 밀봉수단에 의해 2개의 구형 부분(2a)(2b)이 상호체결되었을 때 누설되는 부분이 없이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가 액체나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밀봉체(10)가 존재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는 액체 또는 유체를 압력으로 반송하도록 설계된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는 단면 개방(section break) 기능을 실행하여 국소압력 상승현상으로 인한 수격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유리하게도, 상기 구형부분(2a)의 단부(4a)는 링(5)이 중공몸체(2a)의 단부(4a)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정수단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정수단은 단부(4a)로부터 소정 거리상에 중공몸체(2a)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에 삽입된 탄성테(12) 형태이다. 상기 탄성테(12)는 링(5)을 위한 스톱을 형성하도록 환형 홈으로부터 돌출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링(5)은 단부(4a)상의 플랜지(9)와 탄성테(12)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인다. 상기 탄성테에서 환형 홈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링(5)이 플랜지(9)쪽으로나 단부(3a)쪽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제한함으로써, 링(5)이 당해 부분을 넘어 적소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테(12)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안내로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링(5)이 적소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링이 중공몸체(2a)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의 변형으로서, 상기 탄성테(12)는 중공몸체(2a)의 외표면에 형성된 해당 홈으로부터 돌출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치형부(teeth)로 대체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는 직렬 관 뿐만 아니라 방향이 서로 다른 관들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2가지의 상이한 사용형태를 도시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통공(3a)(3b)은 서로에 대해 수직 또는 직렬로 배치된다.
도 2a에서, 상기 2개의 경상 구형부분(2a)(2b)은 각 단부(3a)(3b)의 축(X-X)이 서로 직렬이 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구형부분(2a)(2b)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각 단부(3a)(3b)를 통과하는 축이 직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공이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것의 중간 위치에 놓이도록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비트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는 2개의 직렬관 또는 그 축들이 수렴하는 관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수선(Y-Y)이 통공(3a)(3b)의 축(X-X)에 대해 경사진 단부(4a)(4b)가 적도면에 놓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통공(3a)(3b)의 축(X-X)이 원하는 각도가 될 때까지 중공몸체는 축(Y-Y)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축(X-X)에 대한 단부(4a)(4b)의 상대 회전은 밀봉수단이 서로 체결된 후에 이루어져야 함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크기 및/또는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몸체(2a)(2b)의 반경은 크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링(5)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2개의 중공몸체(2a)(2b)의 개구부의 외형에 맞도록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5)은 용이하게 조이고 풀수 있도록 도 1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grips) 또는 릴리프(reliefs)(13)일 수 있다.
특수한 사용조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 금속 물질, 세라믹 물질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는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 언급한 조건을 만족시킴과 아울러, 종래의 관 연결구가 가진 단점을 극복하였으며, 매우 단순하고, 실용적이며, 사용범위가 넓다.
당업자는 하기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특수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술한 관 연결구의 실시예를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해당 관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공(3a)(3b)과, 가역 밀봉수단(5)(6)(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당해 중공몸체(2a)(2b)를 밀봉결합시키는 단부(4a)(4b)를 가진 2개의 중공몸체(2a)(2b)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4a)(4b)는 상기 통공의 축(X-X)에 대해 그 수선(Y-Y)이 경사진 평면상에 놓이고, 단부중 하나(4b)에 대한 다른 하나(4a)의 수선(Y-Y)을 중심으로 한 각위치는 상기 통공사이의 각도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신속 해제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제 1 중공몸체(2a)의 단부(4a)상에 장착된 나사링(5)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링은 다른 중공몸체(2b)의 단부(4b)상의 해당 나사부(7)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암나사부(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몸체(2a)의 단부(4a)는 회전링(5)이 접촉할 수 있는 스톱 플랜지(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몸체(2a)의 단부(4a)는, 링(5)이 다른 중공몸체(2b) 단부의 나사부(7)와 결합되지 않았을 때, 링(5)이 제 1 중공몸체(2a)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정수단(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단부(4a)로부터 소정 거리상에 제 1 중공몸체(2a)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에 삽입된 탄성테(12)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테(12)는 링(5)을 위한 스톱을 형성하도록 상기 환형 홈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5)은 용이하게 조이고 풀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립 또는 릴리프(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몸체(2a)(2b)의 단부(4a)(4b) 사이에는 밀봉체(10)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는 상기 단부중 하나에 형성된 밀봉 홈에 수0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선(Y-Y)은 통공(3a)(3b)의 축(X-X)에 대해 45°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2020000022082U 1999-08-03 2000-08-02 관 연결구 KR2002091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999MI000495U IT246889Y1 (it) 1999-08-03 1999-08-03 Raccordo per tubi
IT495 1999-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192Y1 true KR200209192Y1 (ko) 2001-01-15

Family

ID=1138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082U KR200209192Y1 (ko) 1999-08-03 2000-08-02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75067B1 (ko)
KR (1) KR200209192Y1 (ko)
AT (1) ATE311682T1 (ko)
DE (1) DE69928657T2 (ko)
ES (1) ES2255222T3 (ko)
IT (1) IT246889Y1 (ko)
TW (1) TW5155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550A (ko) * 2000-10-18 2002-04-25 김춘일 호스연결용 각도 가변 엘보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5365A1 (en) * 2012-08-08 2014-02-13 Power In Operation, LLC Adjustable backshell for wiring harness
DE102013003306B4 (de) * 2013-02-28 2019-04-1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CN112539902A (zh) * 2020-11-30 2021-03-23 苏州苏试广博环境可靠性实验室有限公司 一种振动台及其用自调节集风结构
CN115013613B (zh) * 2022-05-16 2023-08-18 芯三代半导体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管路连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9100A (en) * 1946-11-14 1949-11-22 Marco John Detachable and adjustable pipe coupling
FR1088497A (fr) * 1952-12-11 1955-03-08 S A T A M Sa Appareillages Mec Dispositif de jonction à rotule pour tuyaux ou conduites
US3761115A (en) * 1971-07-28 1973-09-25 T Papasian Swive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550A (ko) * 2000-10-18 2002-04-25 김춘일 호스연결용 각도 가변 엘보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246889Y1 (it) 2002-04-10
EP1075067B1 (en) 2005-11-30
TW515501U (en) 2002-12-21
ATE311682T1 (de) 2005-12-15
EP1075067A1 (en) 2001-02-07
DE69928657D1 (de) 2006-01-05
ITMI990495V0 (it) 1999-08-03
ITMI990495U1 (it) 2001-02-03
ES2255222T3 (es) 2006-06-16
DE69928657T2 (de)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57966A (en) Pipe coupling
US5149146A (en) Double knuckle joint for a wide range orientation of a liquid distributor with respect to a feeder pipe
ITTO960309A1 (it) Morsetto ad occhiello non soggetto a corrosione per ugelli spruzzatori
ITTO20000031A1 (it) Anello di ritenzione per la giunzione in modo amovibile di due elementi.
US20110140410A1 (en) Water distribution fitting and distribution system
KR200209192Y1 (ko) 관 연결구
JPH0561B2 (ko)
JP3546448B2 (ja) 自在継手の構造
GB1591530A (en) Universal pipe joint
GB2202026A (en) Tubular conduit
GB2109507A (en) A tap
US5542714A (en) Adapter for coupling a pair of pipe elements
CN215763882U (zh) 带有松紧装置的可调向直角接头
JPH0341191Y2 (ko)
JP2004084740A (ja) 分岐管継手
JP3025738U (ja) ポリエチレン管継手
GB2358228B (en) Improvements to pipe joints
JP6990575B2 (ja) 継手
CN209839394U (zh) 金属管道连接组件
RU2056573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RU98119354A (ru) Трубное уплотняющееся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395256Y1 (ko) 굴절형 관이음
SU1391256A1 (ru)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гибкого рукава
CA2357558A1 (en) Fluid line connecting system
KR200420410Y1 (ko) 호스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