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981Y1 - 등커버 결착구 - Google Patents

등커버 결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981Y1
KR200208981Y1 KR2020000022599U KR20000022599U KR200208981Y1 KR 200208981 Y1 KR200208981 Y1 KR 200208981Y1 KR 2020000022599 U KR2020000022599 U KR 2020000022599U KR 20000022599 U KR20000022599 U KR 20000022599U KR 200208981 Y1 KR200208981 Y1 KR 200208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quare insertion
back cover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진
Original Assignee
박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진 filed Critical 박승진
Priority to KR2020000022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981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커버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각형삽지축과 각형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각형삽지축의 하단에 탄동돌기를 구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결합상태가 견고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등커버 결착구{Light cover settlement device}
본 고안은 등커버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결합상태가 견고한 결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천정에 고정되는 등의 몸체에는 몸체 내부에 먼지 또는 해충 등과 같은 이물질과 해충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커버를 결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등커버를 등몸체에 결착하기 위하여 보통 등커버의 테두리에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를 등몸체에 형성하여 결착하거나, 또는 등커버에 통공을 형성하고 나사못을 이용하여 등몸체에 결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등커버를 사람이 파지하고 돌리거나, 나사못을 위로 향하여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1)가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회동구(100)의 하부에 구비된 삽입축(102)을 받침구(200)의 삽입구(201)에 삽입하고 받칩구의 하부에서 나사못(300)으로 고정하여 손잡이(101)를 회전시키면 회삽입축(102)의 걸림홈(103)에 결합된 걸림돌기(202)에 의해 회전되는 받침구(200)로 구성된 결착구를 이용하여 등커버(400)를 등몸체(300)에 결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착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에 있어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시 등몸체에 장착후 나사못을 상부를 향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결착구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등커버를 이탈시킨 후 일일이 나사못을 푼후 이탈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형삽지축과 각형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각형삽지축의 하단에 탄동돌기를 구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결합상태가 견고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착구의 일부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결착구의 회동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와 회동돌기의 각도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회동구 11 : 손잡이 12 : 각형삽지축
13 : 탄동홈 14 : 탄동돌기
20 : 받침구 21 : 받침부 22 : 삽입부
23 : 각형삽입공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착구의 일부측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일측에 손잡이(11)가 돌출되게 형성된 회동구(10)와, 일측에 받침부를 돌출되게 형성한 받침구(20)를 결합하여 되는 등커버 결착구에 있어서,
하단 양측으로 탄동돌기(14)를 형성하고, 중앙에 탄동홈(13)을 형성한 각형삽지축(12)을 상기 회동구(10)의 하부에 구비한다.
그리고, 중앙에 상기 각형삽지축(12)이 결합되는 각형삽입공(23)을 통공되게 형성한 삽입부(22)를 상기 받침구(20)의 상부에 구비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0 은 등몸체, 401은 통공, 500 은 등커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회동구(10)와 받침구(20)로 구비된 본 고안은 천정 등에 고정된 등몸체(300)에 통공(301)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01)에 받침구(2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한 삽입부(22)를 등몸체(300)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통공(301)에 삽입된 받침구(20)의 삽입부(22)에 형성된 각형삽입공(23)에 회동구(1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각형삽지축(12)을 등몸체(300)의 상부에서 삽입한다.
이때, 삽입되는 각형삽지축(12)의 하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탄동돌기(14)는 중앙에 형성된 탄동홈(13)에 의해 각형삽입공(23)의 측면에 슬라이딩되며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형삽지축(12)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탄동홈(13)으로 밀리며 각형삽입공(24)의 측면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탄동돌기(14)는 각형삽입공(23)에 완전히 삽입하게 되면 각형삽입공(23)을 통과하여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며 받침구(20)의 각형삽입공(23) 하단에 걸리게 되므로 받침구(20)가 회동구(10)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결합되는 결착구를 등몸체(300)에 적당한 수량만큼 설치한후 등커버(400)를 등몸체(300)에 밀착시킨후 등몸체(300)의 상부로 돌출된 회동구(10)의 손잡이(11)를 손으로 파지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회동구(10)의 각형삽지축(12)과 결합된 삽입부(22)의 회동에 따라 받침구(20)의 받침부(21)도 회동구(10)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회동되는 받침부(21)의 일측에 형성된 받침부(21)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커버(400)의 내측면을 받치며 등커버(400)를 등몸체(300)에 결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회동되는 회동구(10)는 손잡이(11)가 등몸체(300)에 밀착되며 더이상회동되지 않으므로 일정 각도만큼만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 또는 등 교환시 등커버(400)를 떼어내야 될 경우에는 상기 회동구(10)의 손잡이(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등커버(400)의 내측면을 받치고 있던 받침부(21)도 회동되며 손쉽게 등커버(400)를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등커버(400)를 등몸체(300)에 결착시키는 결착구를 등몸체(300)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구(10)의 손잡이(11)를 회동시켜 등커버(400)를 떼어낸 후 받침구(20)의 하단에 걸려있는 탄동돌기(14)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각형삽지축(12)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탄동홈(13)으로 오무려 각형삽입공(23)으로 밀어 올린다.
상기와 같이 각형삽지축(12)의 탄동돌기(14)가 각형삽입공(23)으로 삽입되면 받침구(20)를 손으로 파지하여 밑으로 잡아 당기면 쉽게 받침구(20)와 회동구(10)가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구(10)의 손잡이(11)와 각형삽지축(12)의 탄동돌기(12)가 이루는 각도(A)는 약 40°~ 50 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각형삽지축의 하단에 형성된 탄동돌기가 받침구의 각형삽입공에 삽입되어 탄동돌기가 받침구의 각형삽입공 하단에 걸려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누구나 짧은 시간에 설치 및 해제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작단가가 낮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손잡이(11)가 구비된 회동구(10)와, 일측에 받침부(21)를 구비한 받침구(20)를 결합하여 되는 등커버 결착구에 있어서,
    하단 양측으로 탄동돌기(14)를 형성하고, 중앙에 탄동홈(13)을 형성한 각형삽지축(12)을 상기 회동구(10)의 하부에 구비하고,
    중앙에 상기 각형삽지축(12)이 결합되는 각형삽입공(23)을 통공되게 형성한 삽입부(22)를 상기 받침구(20)의 상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커버 결착구.
KR2020000022599U 2000-08-08 2000-08-08 등커버 결착구 KR200208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9U KR200208981Y1 (ko) 2000-08-08 2000-08-08 등커버 결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9U KR200208981Y1 (ko) 2000-08-08 2000-08-08 등커버 결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981Y1 true KR200208981Y1 (ko) 2001-01-15

Family

ID=7308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99U KR200208981Y1 (ko) 2000-08-08 2000-08-08 등커버 결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9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15B1 (ko) 2010-05-06 2011-08-25 김현중 조명등 커버용 탈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KR200490556Y1 (ko) * 2018-12-08 2019-11-28 최규섭 등기구 커버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15B1 (ko) 2010-05-06 2011-08-25 김현중 조명등 커버용 탈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KR200490556Y1 (ko) * 2018-12-08 2019-11-28 최규섭 등기구 커버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68917A (en) A device for holding a screw bolt nail or the like
US4941228A (en) Fastening mechanism for squeegee holder
EP0278081B1 (en) A holder for one or more sheets of paper
KR200208981Y1 (ko) 등커버 결착구
US20090206613A1 (en) Latch module
US20090123222A1 (en) Detachable connector assembly
KR200454641Y1 (ko) 원터치 고정구
JPS6339981Y2 (ko)
JP3100707U (ja) 配線用プルボックスの蓋部材とその蓋部材を用いた配線用プルボックス
JP3176040B2 (ja) ピアノハンドルスイッチ装置
JP7422720B2 (ja) ソケット固定台
KR200155471Y1 (ko) 컴퓨터의 덮개 조립장치
CN212314320U (zh) 一种实木家具固定装置
KR890003151Y1 (ko) 안테나 단자의 접속장치
KR100776652B1 (ko)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KR200206986Y1 (ko) 기타의 피크 고정구조
JPH0319528Y2 (ko)
KR200200532Y1 (ko) 컴퓨터 커버의 개폐장치
JP3995893B2 (ja) 外部附属品付回路遮断器
KR200213070Y1 (ko) 청소걸레 고정구
KR200400862Y1 (ko) 가습기의 물탱크 고정장치
KR200271342Y1 (ko) 화스너
JPH0745782Y2 (ja) 情報処理装置
JP3037120U (ja) 座金ストッカー
KR200240890Y1 (ko) 상다리 고정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