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641Y1 - 원터치 고정구 - Google Patents

원터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641Y1
KR200454641Y1 KR2020080016999U KR20080016999U KR200454641Y1 KR 200454641 Y1 KR200454641 Y1 KR 200454641Y1 KR 2020080016999 U KR2020080016999 U KR 2020080016999U KR 20080016999 U KR20080016999 U KR 20080016999U KR 200454641 Y1 KR200454641 Y1 KR 200454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helf
rail
fixtur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691U (ko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2020080016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64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6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선반을 포스트에 고정할 때 선반과 포스트를 체결하는 장치로, 고정구의 몸체에 레일이 형성되어 레일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로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반을 지지하면서 포스트의 외측에 고정되는 일반적인 고정구에 있어서, 포스트의 외주연으로 접하는 반 원통 형상의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포스트에 접하는 몸체지지부의 중앙에 원형의 마찰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는 선반프레임연결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레일에 각각 끼워지도록 레일삽입부가 형성된 반 원통 형상의 삽입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몸체의 전방일측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된 삽입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고정구에 의하면 포스트에 결합할 때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고, 포스트에서 고정구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청소가 간편한 효과가 발생한다.
선반, 마찰부, 욕실, 포스트, 선반프레임, 고정장치.

Description

원터치 고정구{ONE THUCH FASTENER}
본 고안은 원터치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선반을 포스트에 고정할 때 선반과 포스트를 체결하는 장치로, 고정구의 몸체에 레일이 형성되어 레일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로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거치수단의 고정구는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한 예로 드릴을 이용하여 못, 나사 등을 기둥에 고정한 후 각종 거치기구를 장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못, 나사 등으로 인해 흠집이 남게 되어 미관상 좋지않고, 설치도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거치수단은 포스트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에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에 선반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 종래의 거치수단에 사용되는 '고정구'에 대해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698948호, 제406836호, 등록실용신안 제267398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치수단에 사용되는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고정구를 포스트에 설치할 때 나사나 다른 결합장치가 필요하여 설치가 불편하다.
(2) 고정구에 이물질이 끼어도 분리가 어려워 청소가 곤란하다
(3) 무거운 물체를 장시간 선반에 올려놓을 경우 포스트에서 미끄러져 내려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선반을 지지하면서 포스트의 외측에 고정되는 일반적인 고정구에 있어서,
포스트의 외주연으로 접하는 반 원통 형상의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포스트에 접하는 몸체지지부의 중앙에 원형의 마찰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는 선반프레임연결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레일에 각각 끼워지도록 레일삽입부가 형성된 반 원통 형상의 삽입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몸체의 전방일측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된 삽입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고정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고정구를 포스트에 결합하고, 위치를 조절할 때 원터치로 결합 및 이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2) 포스트에서 고정구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청소가 간편하다.
(3) 몸체지지부에 마찰부가 형성되어 고정구가 포스트로부터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다.
본 고안은 선반(20)을 지지하면서 포스트(10)에 고정되는 일반적인 고정구에 있어서,
포스트(10)의 외주연으로 접하는 반 원통 형상의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와 포스트(10)에 접하는 몸체지지부(112)의 중앙에 원형의 마찰부(142)가 삽입되는 관통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 레일(1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하부에는 선반프레임연결구(130)가 형성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레일(120)에 각각 끼워지도록 레일삽입부(220)가 형성된 반 원통 형상의 삽입몸체(2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몸체(210)의 전방일측에는 힌지축(235)에 의해 회전가능한 손잡이(230)가 형성된 삽입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합성수지나 합금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고 도색을 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12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몸체지지부(112)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상기 선반프레임연결구(130)는 포스트(10)와 몸체지지부(112)의 긴밀한 고정을 위해 중앙에 홈(132)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132)은 몸체지지부(112)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었을 때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142)는 실리콘,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마찰계수가 크고, 탄성이 있는 재료들로 형성되어, 포스트(10)의 외주연에 탄성과, 마찰에 의해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00)는 몸체부(10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고, 레일(120)에 레일삽입부(220)를 끼웠을 때 결합된 형상이 외관상 미려하도록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손잡이(230)는 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230)는 힌지축(235)을 기준으로 회전시켰을 때 포스트(10)를 밀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압축부(234)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삽입부(220)는 레일(120)과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원터치고정구의 설치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스트(10)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10)에 원터치고정구를 설치하는데, 먼저, 몸체부(100)의 몸체지지부(112)를 포스트(10)에 외주연에 위치시킨 후 몸체 부(100)의 레일(120)을 따라서 삽입부(200)의 레일삽입부(220)와 결합시킨다.
이후, 원터치고정구를 포스트(1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선반(20)을 선반프레임연결구(130)에 고정시켜서 설치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포스트(10)가 두 개일 경우에는 선반프레임연결구(130)가 각각 대응 되도록 포스트에 고정하고 선반(20)을 설치한다.
상기 원터치고정구를 포스트(10)에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은 손잡이(230)를 돌려서 돌출압축부(234)가 포스트(10)를 강하게 밀어서 마찰부(142)를 압착하여 고정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원터치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원터치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원터치고정구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레일몸체부 110 : 몸체
120 : 레일 122 : 걸림턱
130 : 선반프레임연결구 132 : 홈
140 : 관통홀 200 : 삽입부
210 : 삽입몸체 220 : 레일삽입부
230 : 손잡이 234 : 돌출압축부
235 : 힌지축

Claims (3)

  1. 삭제
  2. 선반(20)을 지지하면서 포스트(10)에 고정되는 일반적인 고정구에 있어서,
    포스트(10)의 외주연으로 접하는 반 원통 형상의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와 포스트(10)에 접하는 몸체지지부(112)의 중앙에 원형의 마찰부(142)가 삽입되는 관통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 레일(1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하부에는 선반프레임연결구(130)가 형성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레일(120)에 각각 끼워지도록 레일삽입부(220)가 형성된 반 원통 형상의 삽입몸체(2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몸체(210)의 전방일측에는 힌지축(235)에 의해 회전가능한 손잡이(230)가 형성된 삽입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12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몸체지지부(112)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걸림턱(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고정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30)에는 돌출된 돌출압축부(2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고정구.
KR2020080016999U 2008-12-22 2008-12-22 원터치 고정구 KR200454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99U KR200454641Y1 (ko) 2008-12-22 2008-12-22 원터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99U KR200454641Y1 (ko) 2008-12-22 2008-12-22 원터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91U KR20100006691U (ko) 2010-07-01
KR200454641Y1 true KR200454641Y1 (ko) 2011-07-19

Family

ID=4445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999U KR200454641Y1 (ko) 2008-12-22 2008-12-22 원터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6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289B1 (ko) * 2017-04-14 2019-01-03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KR200491269Y1 (ko) * 2019-05-09 2020-03-11 경민테크주식회사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꺾임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비누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260Y1 (ko) 2003-05-26 2003-09-02 이종화 보관함 분리형 선반
KR100842217B1 (ko) 2007-12-27 2008-06-30 김국환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KR20090007325U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원구 선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260Y1 (ko) 2003-05-26 2003-09-02 이종화 보관함 분리형 선반
KR100842217B1 (ko) 2007-12-27 2008-06-30 김국환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KR20090007325U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원구 선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91U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15591A (ja) 取り付け装置
WO2007005061A8 (en) Multi-purpose portable lay-down post and fencing system
KR200454641Y1 (ko) 원터치 고정구
KR200382040Y1 (ko) 스피커 고정장치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CN205671973U (zh) 淋浴房推拉门
KR101301592B1 (ko)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
KR20090116028A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고정클립의 고정구
CN209933988U (zh) 一种伸缩型健身杆
KR20110009418A (ko) 유리창의 유리고정프레임
CN204181552U (zh) 坐便盖快速拆装固定装置
CN111683168A (zh) 一种螺杆驱动式手机支架
CN109966715B (zh) 一种伸缩型健身杆
CN109958200B (zh) 一种挡水装置
CN106015107B (zh) 落地式电风扇及其底座结构
KR200438698Y1 (ko) 도어용 경첩
KR200208981Y1 (ko) 등커버 결착구
KR20140093476A (ko) 엘이디 매립등
CN214305609U (zh) 一种使用方便的管道支架
CN201147086Y (zh) 相框及组成该相框的边框
CN215563994U (zh) 一种便拆式不锈钢玻璃夹底座
CN210749070U (zh) 一种簸箕斗
CN216158642U (zh) 一种便携式5g电子信息保护器
CN216754307U (zh) 一种组装便捷的铝合金框架淋浴房
CN2905986Y (zh) 一种淋浴房推拉门的弹性滑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