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217B1 -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 Google Patents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217B1
KR100842217B1 KR1020070138797A KR20070138797A KR100842217B1 KR 100842217 B1 KR100842217 B1 KR 100842217B1 KR 1020070138797 A KR1020070138797 A KR 1020070138797A KR 20070138797 A KR20070138797 A KR 20070138797A KR 100842217 B1 KR100842217 B1 KR 10084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storage shelf
pos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환
Original Assignee
김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환 filed Critical 김국환
Priority to KR102007013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 A47B55/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made of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3/00Bottle cupboards; Bottle racks
    • A47B73/002Racks made of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선반을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지지봉에 대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된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고정체의 일측에는 수납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는 포스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된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수납선반의 와이어가 수직으로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안착 후 안착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커버; 및 상기 안착판의 전면에 돌출된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서 제1축부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서 제2축부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를 가압하는 압착 돌기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선반, 와이어, 안착판, 고정커버, 고정클램프

Description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Bar and Shelf 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납선반을 고정하는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 선반을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포스트에 대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된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수납선반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이용해 망체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수납선반은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어 식기를 수납하는데 사용되거나 욕실에 설치되어 욕실용품을 수납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며, 의류판매장이나 가정에서 의류를 수납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수납선반은 바닥면과 천정 사이에 가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에 결속되는 고정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고정 클램프에는 포스트가 관통되는 포스트 관통홀이 형성되며, 고정클램프를 포스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등이 구비된다.
각종 수납선반을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는 특허출원 제10-2005-0121601호나 특허출원 제10-2007-0063588호와 같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출원되 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명들은 수납선반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캡 형상의 고정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수납선반을 끼우거나 분리하는 경우 수납 선반의 복잡한 와이어 사이에서 나사형의 캡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는, 포스트(2)의 외측에 고정되어 수납선반(3)을 지지하는 고정체(10), 고정체(10) 상에 설치되어 행주걸이(4) 등을 지지하는 지지체(20) 및 고정체(1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체(10)를 포스트(2)에 고정해줌과 동시에 지지체(20)를 고정체(10)에 고정해주는 조임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고정체(10)는 포스트(2)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수납선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 평평한 면(14)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 평평한 면(14)의 상,하부에 수납선반의 와이어가 탈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돌기(15)(16)가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상부측 끼움돌기(15)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고, 하부측 끼움돌기(16)는 상방으로 개방된다. 이처럼 각 끼움돌기(15)(16)가 서로 직교되게 개방됨으로써, 수납선반의 와이어가 끼움돌기(15)(16)들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는, 고정체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가 서로 직교되게 개방됨으로써 수납선반 의 와이어가 견고히 고정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수납선반을 끼우거나 분리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았다.
즉, 상방으로 개방된 하부측 끼움돌기의 경우에는 끼움과 분리작업이 용이한 반면, 측방향으로 개방된 상부측 끼움돌기에 와이어를 끼우기 위해서는 끼움돌기를 강제로 벌리고 와이어를 끼우거나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수납선반은 설치시 그 고정위치가 뒷부분에 치우치므로 수납선반에 그릇 등을 올려놓을 때 수납선반의 앞쪽에 많은 하중이 가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서와 같이 한 쌍의 끼움돌기에 수납선반을 끼워 고정하는 구조에서는 끼움돌기에 의해서만 수납선반의 하중이 지지되므로 그 지지력이 약하여 뒤틀림이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고정클램프는 수납선반이 끼워지는 경우 그 하중이 포스트에 전달되므로, 고정클램프를 포스트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분리결합이 용이하면서도 하중을 고려하여 견고히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치들은 후크를 이용한 단일의 결합구로 구성되거나 조임식 나사로 구성되어 포스트와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분리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납선반을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포스트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납 선반용 고정클램프는 포스트의 외측에 고정되어 수납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체의 일측에는 수납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는 포스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된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수납선반의 와이어가 수직으로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안착 후 안착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커버; 및 상기 안착판의 전면에 돌출된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서 제1축부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서 제2축부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를 가압하는 압착 돌기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제2축부 단부 외측에는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록킹돌기를 록킹시키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포스트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록킹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를 가압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포스트를 밀착 가압하기 위한 고무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면의 접촉면에는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는 수직 방향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따르면, 포스트의 설치상태를 해제하지 않고서도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포스트에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수납선반을 설치하고자 할 때 고정커버를 수직으로 세우고 수납선반의 양쪽에 위치된 와이어를 수직으로 내려 안착판에 안착시킨 후 고정커버로 안착판의 전면을 커버링하여 수납선반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수납선반을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포스트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이중으로 된 고정부재에 의해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의해 수납선반과 행주걸이가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의 안착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의 고정부재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는 포스트(2)의 외측에 고정되어 수납선반(3)을 지지하는 고정 체(100)와, 고정체(100)의 일측에서 수납선반(3)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재(200), 고정체(100)의 타측에서 고정클램프를 포스트(2)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는(1) 바닥면과 천정면 사이를 가압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포스트(2)에 고정부재(300)에 의해 결합되고, 한 쌍의 고정클램프(1) 사이에서 안착부재(200)에 의해 수납선반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외측에는 행주나 수세미 등의 간단한 세제 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행주걸이(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고정체(100)는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포스트(2)의 외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수납선반(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납선반(3)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200)와 포스트(2)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재(300)가 고정체(100)의 양측에서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안착부재(200)는 수납선반(3)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수납선반(3)은 와이어가 메쉬 형태로 얽혀 구성되며, 안착부재(200)는 수납선반(3)의 가장자리 와이어(3a)를 지지하여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안착부재(200)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체(100)의 일측에 수납선반(3)의 와이어(3a)가 안착되는 안착판(210)이 형성되며, 안착판(210)의 상부에는 안착판(210)의 전면을 커버링하여 안착판(210)와 더불어 와이어(3a)를 고정시키는 고정커버(220)가 힌지 결합된다.
안착판(210)의 하단부에는 수납선반(3)의 측부에 형성된 두 와이어(3a)중 하 측에 위치된 와이어(3a)가 안착되는 안착돌부(21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안착돌부(211)는 그 상부에 안착되는 와이어(3a)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와이어(3a)를 감싸는 형태로 라운딩된다.
안착판(210)의 전면에는 안착판(210)와 고정커버(220)가 서로 맞대어 결합될 때 후술할 고정커버(220)의 뒤틀림 방지홈(220c)에 삽입되되 그 양측단이 뒤틀림 방지홈(220c)의 내부 양측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뒤틀림 방지돌부(212)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 쌍의 뒤틀림 방지돌부(212) 사이에는 안착판(210)과 고정커버(2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213)가 돌출 형성되며, 이 결합돌기(213)는 후술할 고정커버(220)의 결합부(22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한편, 안착돌부(211)의 저면에는 후술할 고정커버(220)의 록킹홀(220a)에 삽입되어 안착판(210)과 고정커버(220)의 결합시 고정커버(220)를 록킹시키는 록킹돌기(214)가 돌출된다.
고정커버(220)의 상단부에는 안착판(210)의 안착돌부(211)를 감싸 고정되는 고정부(221)가 형성되며, 고정부(221)에는 안착판(210)의 록킹돌기(도9의 214)가 삽입되는 록킹홀(220a)이 형성된다.
이 때, 록킹돌기(214)는 록킹홀(220a)의 일측벽에 걸림으로써, 안착돌부(211)에 고정부(221)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221)에 힘을 가하여 록킹상태를 해제시키지 않는 한 고정부(221)는 안착돌부(211)로부터 고정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고정커버(220)의 전면 하측에는 수납선반(3)의 측부에 형성된 두 와이어(3a)중 상측에 위치된 와이어(3a)가 수평 상태로 삽입 지지되는 와이어 삽입홈(220b)이 전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 때, 상측에 위치된 와이어(3a)는 수평으로 밀어 와이어 삽입홈(220b)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커버(220)가 회동하여 안착판(210)에 결합됨에 의해 상대적으로 와이어 삽입홈(220b)에 삽입된다.
고정커버(220)의 전면에는 안착판(210)의 두 뒤틀림 방지돌부(212)가 삽입되는 사각의 뒤틀림 방지홈(220c)이 형성된다. 이 때, 두 뒤틀림 방지돌부(212)의 양측단은 뒤틀림 방지홈(220c)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수납선반(3)에 불균형한 하중이 작용할 경우, 즉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하중이 치우져 작용하는 경우라도 고정커버(220)의 뒤틀림이 방지되므로 수납선반(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커버(220)의 배면에는 고정커버(220)를 수직으로 세울 때 포스트(2)가 삽입되는 포스트 삽입홈(220d)이 형성된다. 즉, 수납선반(3)을 설치하거나 분해하기 위해 고정커버(220)를 안착판(210)으로부터 분리하여 수직으로 세울 때 포스트(2)가 포스트 삽입홈(220d)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커버(220)에 수납선반(3)의 와이어(3a)가 걸릴 염려가 없다.
한편, 고정커버(220)의 뒤틀림 방지홈(220c)의 내측에는 안착판(210)의 결합돌기(213)가 탈거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222)가 돌출 형성된다.
이 때 결합부(222)의 내측에는 결합돌기(213)가 삽입되는 결합홀(222a)이 형 성되며, 이 결합홀(222a)의 입구측은 결합돌기(213)의 선단보다 단면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결합돌기(213)가 결합홀(222a) 내에 견고히 삽입 결합된다.
전술한 고정부재(300)는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를 포스트(2)에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중 구조의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300)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축부(110a)에서 내측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310)와 고정체(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축부(110b)에서 내측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00)는 제1고정부재(310)에 의해 포스트(2)에 1차 가압되고, 제2고정부재(320)에 의해 2차 가압되도록 이중 구조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고정체(100)의 양측에는 각 고정부재(310,320)가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축부(110a,110b)가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310)는 호 형상으로 일단이 고정체(100)에 형성된 제1축부(110a)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311)가 형성된다. 고정체(100)와의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후크(311)가 제2고정부재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포스트(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20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홈(312)이 형성되는데, 타단에서부터 소정의 길이 만큼 형성되며, 제2고정부재(320)의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부재(320)는 내경의 크기가 상술한 제1고정부재(310)에 형성된 홈(312)의 외경에 일치하는 호 형상으로 일단이 고정체(100)에 형성된 제2축부(110b)에 힌지 결합되며, 제1고정부재(310)에 형성되된 홈의 길이 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의 여유 공간에 의해 제2고정부재의 체결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제2고정부재(320)의 내측 단부에는 제1고정부재(310)의 후크를 가압하기 위한 압착돌기(321)가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320) 체결시 제1고정부재(310)를 가압하여 포스트(2)에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고정부재(320)의 외측 단부에는 체결시 제2고정부재가 록킹되기 위한 록킹돌기(322)가 형성되며, 이와 함께 고정체에는 록킹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22)가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320)는 호 형상으로 탄성에 의해 제1고정부재(310)를 가압하면서 용이하게 체결이 되지만, 록킹돌기(322)와 걸림돌기(122)에 의해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체(100)와 제1고정부재(310)의 내측면에는 고정부재(300)가 포스트를 가압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패킹(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패킹(130)은 고정체(100)와 제1고정부재(310)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구비되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패킹(130)에 의해 고정부재(300) 체결시 포스트(2)를 가압하게 되어 수납선반 고정클램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포스트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별도로 행주걸이 등이 설치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제1고정부재(310)의 외 측면과 제2고정부재(320)의 내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체결되는 경우 각 홈이 일치되어 원형의 홈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의 설치 및 해체 과정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포스트 결합 후 고정부재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포스트 결합 후 고정부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수납선반 안착 후 고정커버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수납선반 안착 후 고정커버를 안착판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가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체(100)와 고정부재(300) 사이에 포스트(2)를 삽입시킨 후, 제1고정부재(310)를 내측으로 회동시켜 포스트(2)를 가압한다(①). 다시, 제2고정부재(320)를 내측으로 회동시켜 제1고정부재(310)를 가압하여 체결한다(②). 이 때, 제2고정부재(320)의 압착돌기(321)가 제1고정부재(310)의 후크를 가압하게 되므로, 포스트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가압되어 수납선반 고정 클램프가 포스트에 더욱 견고히 결합된다. 또한, 제2고정부재의 록킹돌기(322)는 고정체의 걸림돌기(122)에 의해 고정되어 제2고정부재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고정부재(310) 체결 후 제2고정부재(320) 체결 전에 행주걸이(4)를 와이어 홈(340a)에 삽입한 후 제2고정부재(320)를 체결하여, 행주걸이(4)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행주걸이(4)는 전술한 바와 같 이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의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함께 설치 및 해체할 수도 있지만, 이미 설치된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에 설치 및 해체할 수도 있다. 즉, 이미 설치된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2고정부재(320)를 해체하여 와이어 삽입 홈(340a)에 삽입한 후 다시 제2고정부재(320)를 체결하여 행주걸이(4)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후 제2고정부재(320)를 해체하여 행주걸이(4)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커버(220)를 회전시켜 안착판(210)의 전면에 결합시킴으로써, 수납선반의 두 와이어(3a)중 상측에 위치된 와이어가 고정커버(220)의 와이어 삽입홈(220b)에 삽입된다.
이 때, 안착판(210)의 결합돌기(213)는 고정커버(220)의 결합부(222)에 결합되며, 안착판(210)의 고정부(221)는 고정커버(220)의 안착돌부(211)를 감싸면서 록킹된다. 즉, 고정부(221)로 안착돌부(211)를 감싸게 되면 안착돌부(211)의 저면에 돌출된 록킹돌기(214)가 고정부(221)에 형성된 록킹홀(220a)에 삽입됨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커버(220)가 안착판(2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안착판(210)의 뒤틀림 방지돌부(212)는 고정커버(220)의 뒤틀림 방지홈(220c)에 삽입됨으로써, 수납선반(3)의 앞쪽 또는 뒤쪽에 하중이 치우쳐 작용하더라도 고정커버(220)가 뒤틀리지 않기 때문에 수납선반(3)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수납선반(3)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커버(220)의 고정부(221) 에 힘을 가해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고정커버(220)를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결합돌기(213)와 결합부(222)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고정커버(220)의 배면이 포스트(2)에 닿을 때까지 수직으로 들어올린 후 수납선반(3)을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수납선반(3)이 분리된다. 이 때, 수납선반(3)의 와이어(3a)는 안착판(210) 또는 고정커버(220)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1)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시와는 반대로 포스트(2)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320) 및 제1고정부재(310)를 순서대로 외측으로 수평 회동시켜서 포스트(2)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의해 수납선반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의해 수납선반과 행주걸이가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의 안착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부분 절개된 분리사시도,
도 7은 포스트 결합 후 고정부재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평면도,
도 8은 포스트 결합 후 고정부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평면도,
도 9는 수납선반 안착 후 고정커버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수납선반 안착 후 고정커버를 안착판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체 110a,b : 축부
130 : 고무패킹
200 : 안착부재 210 : 안착판
220 : 고정커버
300 : 고정부재 310 : 제1고정부재
320 : 제2고정부재

Claims (5)

  1. 포스트의 외측에 고정되어 수납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체(100)의 일측에는 수납선반(3)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재(20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00)의 타측에는 포스트(2)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0)가 형성된 수납선반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200)는,
    상기 고정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수납선반(3)의 와이어(3a)가 안착되는 안착돌부(21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판(21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3a) 안착 후 안착판(2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돌부(211)를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고정부(221)가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a)를 고정시키는 고정커버(220); 및
    상기 안착판(210)의 전면에 돌출된 결합돌기(213)와 상기 고정커버(220)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13)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222)로 구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고정체(100)의 일측에서 제1축부(110a)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1고정부재(310); 와
    상기 고정체(100)의 타측에서 제2축부(110b)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2고정부재(320); 및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311)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311)를 가압하는 압착 돌기(321)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제2축부 단부 외측에는 록킹돌기(3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00)에는 상기 록킹돌기(322)를 록킹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320)가 상기 제1고정부재(310)를 덮으면서 상기 포스트(2)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록킹돌기(322)가 상기 걸림돌기(122)에 의해 록킹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외측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320)가 삽입되기 위한 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320)는 상기 홈(3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310)를 가압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체(100)의 내측면과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포스트(2)를 밀착 가압하기 위한 고무패킹(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외측면과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내측면의 접촉면에는 와이어(4a)가 끼워질 수 있는 수직 방향의 홈(340a,34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KR1020070138797A 2007-12-27 2007-12-27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KR10084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97A KR100842217B1 (ko) 2007-12-27 2007-12-27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97A KR100842217B1 (ko) 2007-12-27 2007-12-27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217B1 true KR100842217B1 (ko) 2008-06-30

Family

ID=3977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797A KR100842217B1 (ko) 2007-12-27 2007-12-27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2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982Y1 (ko) 2009-10-14 2010-03-08 미광기업 주식회사 수납 선반용 클램프
KR200454641Y1 (ko) 2008-12-22 2011-07-19 이재현 원터치 고정구
WO2013141514A1 (ko) * 2012-03-22 2013-09-26 (주)굿센스 파이프용 클램프
KR200473913Y1 (ko) 2012-03-22 2014-08-12 (주)굿센스 파이프용 클램프
CN108488159A (zh) * 2017-04-14 2018-09-04 Ms因泰克有限公司 开闭式架子固定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381A (ja) * 1998-04-20 1999-11-02 Richell Corp 金網用の連結具
KR20050122191A (ko) * 2005-12-12 2005-12-28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381A (ja) * 1998-04-20 1999-11-02 Richell Corp 金網用の連結具
KR20050122191A (ko) * 2005-12-12 2005-12-28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41Y1 (ko) 2008-12-22 2011-07-19 이재현 원터치 고정구
KR200447982Y1 (ko) 2009-10-14 2010-03-08 미광기업 주식회사 수납 선반용 클램프
WO2013141514A1 (ko) * 2012-03-22 2013-09-26 (주)굿센스 파이프용 클램프
KR200473913Y1 (ko) 2012-03-22 2014-08-12 (주)굿센스 파이프용 클램프
KR101934289B1 (ko) 2017-04-14 2019-01-03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WO2018190514A1 (ko) * 2017-04-14 2018-10-18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CN108488159A (zh) * 2017-04-14 2018-09-04 Ms因泰克有限公司 开闭式架子固定夹
JP2020519814A (ja) * 2017-04-14 2020-07-02 エムエスイ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Msintech Co., Ltd. 開閉式棚固定クランプ
EP3593674A4 (en) * 2017-04-14 2020-08-05 Msintech Co., Ltd. OPEN AND CLOSE SHELF FIXING CLAMP
RU2735264C1 (ru) * 2017-04-14 2020-10-29 Мсинтех Ко., Лтд. Фиксирующий зажим для полки,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ткрывания и закрывания
AU2018252851B2 (en) * 2017-04-14 2021-07-08 Msintech Co., Ltd. Opening and closing type shelf fixing clamp
US11330902B2 (en) 2017-04-14 2022-05-17 Msintech Co., Ltd. Opening and closing type shelf fixing clamp
JP7129709B2 (ja) 2017-04-14 2022-09-02 エムエスイ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開閉式棚固定クラ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217B1 (ko)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KR20100105007A (ko) 스프링쿨러용 연결부재의 장착구조
JP7129709B2 (ja) 開閉式棚固定クランプ
KR20090007325U (ko) 선반 고정장치
JP5311935B2 (ja) 洗面化粧台
KR100909253B1 (ko)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CN109385847B (zh) 一种堆叠座的拆装方法
KR102286624B1 (ko) 문걸이형 다용도 수납장치
KR100766910B1 (ko)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KR20180096931A (ko) 욕실 코너 선반
FR2809125A1 (fr) Dispositif de liaison a pince et tige filetee, pour fourrures appartenant a des ossatures differentes, et pince pour un tel dispositif
JPWO2019097812A1 (ja) 棚板
KR200420174Y1 (ko) 수납 선반용 고정구
KR200447982Y1 (ko) 수납 선반용 클램프
KR200463812Y1 (ko) 절첩식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대
KR20140095371A (ko) 빨래 건조대
KR100646015B1 (ko)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KR102124248B1 (ko) 가구용 옷걸이봉 고정구
KR20120105508A (ko) 집게 및 집게옷걸이
KR20080004131U (ko) 탈부착이 용이한 선반
KR101447215B1 (ko) 베란다용 난간 설치형 건조대
KR101427373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KR20190076191A (ko)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다용도 선반
JP2022034145A (ja) 突っ張り棒用取付具
JP5584664B2 (ja) キャビネットの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